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차 > 차문화자료

본문 바로가기


    차문화자료실    차문화자료

차문화자료

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차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차인연합회 작성일17-07-25 11:45 조회7,177회 댓글0건

본문

- 차문화 용어 : 차

차 : 다 : 茶 - 차의 이름을 가檟, 설蔎, 명茗, 천荈 등으로도 표현 한다. 진, 한나라
  때는 고苦, 이후는 도荼로 변천해 唐代에와서 차茶 자로 정착하게 된다. 작설雀舌,
  맥안麥顔이라 부르기도한다. 차의 성질은 조금 차고 그 맛은 달고 쓰면서 독이 없
  는 식물이다. 채한 음식을 소화시켜 주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소변을 잘 통하게
  하여준다. 당뇨병을 치료하고 잠을 적게 해주며 화상을 해독시켜 준다. 마실 때 따
  뜻하게 마셔야  담이 쌓이지 않는다. 오래 마시면 체내 지방을 분해하여 마르게 한
  다.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병에대한 저항력을 키워준다.
  단 공복에 진한 차는 금하는게 좋다. 불면증 환자에게 맞지 않다.
  차나무는 수천년 역사의 상록수이며 음지에서 잘 자란다.
  차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로 입춘으로부터 88일째 5월 1일경에 수확하는 일번차로
  시작하여 이 삼 사번차로 계속된다.
  茶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식물성 음료이다.
  唐代는 떡차(餠茶)를 만들어 마셨고, 宋代는 가루차(抹茶)를 마셨으며, 明代에
  와서 잎차를 우려 마시게 되었다.
  요즘은 발효도에 따라 크게 6가지(6대 차류)로 분류한다. 녹차(綠茶 불발효), 백차
  (白茶 약발효), 황차(黃茶 미생물-약후발효), 청차(靑茶효소-반 발효), 홍차(紅茶
  효소-완전발효), 흑차(黑茶 미생물-후발효) /이외 화차(花茶 꽃향이나 꽃을 넣음) 등
  茶라하면 차나무에서 난 잎이나 부산물로 만든 것을 말하고, 다른 식물로 만든 것은
  대용차로 분류한다.
차 제조공정 :
  적채 - 차 잎은 손따기, 기계따기를 한다.
  덖기 - 부초, 가마솥 이용
황차 :
  증자 - 차 잎을 증기로 찌기
  냉각 - 차 잎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냉각된다.
  조유粗揉 - 조유기에 넣어 열풍으로 비비면서 건조하기
  유념揉埝 - 차 잎에 힘을가해 수분균일화를 꾀하며 비비기
  중유中揉 - 차 잎을 다시 열풍으로 비비며 건조하기
  정유精揉 - 차 잎에 열과 힘을 가하여 모양을 고르면서 건조하기
  건조 - 수분 5% 이내로 차를 건조한다.
  선별 블랜드 - 황차의 대소 크기대로 모양을 고르고 품질을 위해 블랜드 한다.
  마무리 건조 - 다시 수분 3% 정도로 잘 건조하며 독특한 차의 향을 유도한다.
  포장 - 완성된 차를 무게를 달아 차 상자나 주머니에 넣어 상품화
차거름망 : 濾過器 : 여과기 - 차의 가루나 절편이 찻잔에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여
  과장치. 대나무나 금속제의 그물코(Mesh) 등. 홍차 도구는 Tea Strainer 라 한다.
차건 : 다건 : 茶巾 : 차수건 : 茶布 - 찻물을 훔치거나 차기구를 닦는 행주
차경 : 借景 - 한옥의 창문
차경 : 茶經 : 다경 - 780년경 중국 당나라 때 육우(733-804)가 상중하 3권으로 저
  술한 세계최초의 차 책이다. 지금도 차에 관한 학문의 原典으로 삼고 있다.
  차는 정행검덕精行儉德한 인품을 갖춘 사람이 마시기에 마땅하다 하였다. 이것
  이 중국의 다도정신이 되었다. 즉 차를 마시는 사람은 행실이 바르고 검박한 덕
  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 차는 잎차가 아닌 떡차(餠茶)를 말한다.
  차경의 版本은 32권이나 된다.
차경단 : 茶瓊団 = 차단자 : 茶団子
차골 : 茶骨 - 중국차의 한 종류
차공 : 차등 : 차말 : 차밧골 : 차원 : 차촌 -호남과 영남지방에서 차가 생산되는 곳
  을 부르는 대명사들이다.
차공덕 : 茶功德 - 이목(李穆 1471~1498) 선생이 '茶賦'를 지으며 차의 다섯가지 공
  과 여섯가지 덕을 나누어 노래한 것(오공육덕)
차공양 - 불교의 육법공양 중 차를 올리는 것
차과 : 다과 - 연고차의 덩이
차관 : 다관 : 茶罐 : 急須 : 茶注 : 注春 : 茶甁 : 茶壺 - 잎차를 넣고 끓인 물로 우려
  내는 그릇. 모양은 주전자 형, 옆손잡이 형, 뒷손잡이 형, 이 차우림 그릇을 중국
  에서는 차호茶壺라 부른다.(한국에서는 차를 넣어두는 통을 말함) 재료는 도자기,
  은, 구리, 주석, 옥, 돌, 나무, 옻칠기 등 다양하다.
차관 : 茶館 : 다관 : 茶樓 : 茶肆다사 : 茶居 - 중국인들의 사교장. 서민들의 점심
  을 먹는 곳이며, 상인들의 정보교환 장소로 이용하는 곳
차광 : 遮光 - 차광막을 이용해 햇빛을 막는 것으로 떫은 맛의 카테킨을 줄여 맛을
  좋게하고 테아닌 등이 증가해 색깔이 좋아진다. 말차 생산지는  필수 시설이다.
차괴 :茶塊 - 차를 만들 때 생기는 차 잎 덩어리. 수분이 많은 초반 제차 공정에 많
  이 생긴다.
차구 : 茶具 ; 다구 - 차를 달여 마시는데 필요한 도구들을 말함. 기본적으로 다관,
  물식힘 그릇, 찻잔, 차숟가락, 퇴수기, 차수건 등 / 차마, 풍로, 화로(은로, 무쇠,
  구리, 도기, 진흙, 돌), 숯바구니, 삼발, 부손, 부젓가락, 탕관, 차정, 차부, 철병,
  곱돌솥, 숙우(熟盂 물식힘 그릇), 잔, 盃, 碗, 종지鐘, 찻잔받침茶托, 茶盤, 茶匙,
  茶則, 茶筅(茶筌), 표주박, 작자, 차수건(茶布), 무명베, 찻상, 차구진열장(具烈),
  상보, 차통, 물항아리, 개수통(改水筒), 차긁개, 茶筒, 湯罐, 찻술(차주걱), 차쟁반,
  행주, 찻장, 차낭, 차대(茶袋) 등이 쓰임
  찻그릇은 은, 주석, 도자기를 사용하고 녹이 나기쉬운 구리, 쇠는 피해야 한다.
차구 : 茶臼 : 다구 : 茶磨 : 茶硏 : 挽臼만구 : 抹茶臼 : 唐臼 - 차를 갈아서 말차를
  만드는 돌로만든 기구
차구 : 茶甌 - 굽이 있고 입과 밑의 넓이가 비슷하게 수직으로 생긴 잔을 말한다.
차군사 : 茶軍士 - 고려 때 궁중 밖에서 왕족에게 차를 올리거나 준비하는 일을
  위해 차구와 짐을 나르는 차군사가 있었다.
차궤 게 : 소금그릇 숟가락
차긁개 : 우려 낸 다관에 남은 차 찌꺼기를 꺼내는 다구
차기 : 茶氣 : 茶目氣 : 장난기 - 일본에서 사람을 농으로 얼버무려 넘기는 기질을
  말함. 차도의 기, 그 마음들.
차기 : 茶器 : 다기 - 음차 즉 차마시는데 사용되는 차도구의 총칭이다. = 茶具
차꽃 : 茶花 - 찻자리, 찻상, 차석, 차방에 장식하는 꽃. 소좌부의 꽃, 수기의 꽃,
  차석의 꽃, 차인의 꽃, 차회의 꽃, 화정의 꽃이라 부른다.
차나무 : 동백과 동백속의 다년생 상록수로 학명은 Camellia Sinensis(L) O. Kuntze.
  중국종의 관목灌木(Var. Sinensis 잎이 작고 추위에 강함, 주로 녹차용)과 아셈종
  Assam의 교목喬木(Var. Assamica 잎이 크고 추위에 약함, 주로 홍차용)으로 대별
  된다. 중간의 산종과 마니푸루계 등 변종이 많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거나 재배
  되고 있는 차나무는 중원(대륙 신라, 김해 가야, 백제 고지원종)으로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제주도에 분포되어 있다. 중국 소엽종, 대엽종, 버마 산종, 인도 대엽종
  등 차나무는 세계에 30속屬, 500종種이 자라며, 한국에는 4속 6종이 있다.
  차나무는 연평균 기온이 14도C 이상, 강우량 1400mm 이상 되어야 한다.
  實花相逢樹로 가을에 꽃- 열매- 낙과- 월동- 꽃- 열매- 낙과를 반복하며 열매와 꽃이
  서로 만난다.
차나무 병충해 - 애모무늬 잎말이나방,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오누키애매미충,
  응애, 잎말이 나방류, 차굴나방, 차응애 등이 있다. 따라서 방제를 위해 각종 농
  약을 사용하는데 보통 3회 이내 수확14일~3일전 1000~3000배로 희석해서 사용
  하도록 안전 규정이 정해져 있다.
차나물 : 茗菜 : 명채 - 녹차를 마신 후 연한 찻잎을 이용해 고명과 깨 등을 넣어 무
  치거나 데쳐 먹는다.
차낭 : 茶囊 : 다낭 - 차 보관 주머니(천장에 매달아두기도 함)
차 넣기 : 차를 달일 때 차 종류에 따른 고유의 맛을 내기 위해 봄 가을은 中投法,
  여름에는 上投法, 겨울에는 下投法으로 한다. 차의 양은 1인당 3~4g 정도이고,
  물의 양은 20~130ml 로 온도에 따라 침출시간을 조정해 마신다.
차농 : 茶農 - 차나무를 가꾸어 차를 생산하는 농사
차담상 : 다담상 : 茶啖床 - 여럿이 차를 마실때 둘러앉게 놓는상
차당 : 다당 : 茶堂 - 북원에서 차 만드는 일을 관장하여 맡은 부서.
차덕 : 茶德 - 중국의 禹貞亮이 제창한 '차의 10덕'은 以茶散鬱氣 차는 우울한 기분
  을 흩어지게 한다. 以茶覺睡氣 졸음을 깨게 한다. 以茶養生氣 기력을 살린다. 以
  茶除病氣 병을 제거한다. 以茶利禮 예절에 이롭다. 以茶表敬 차로써공경을 표한
  다. 以茶實味 맛으로 칭찬된다. 以茶修身 차로써 몸을 수양한다. 以茶雅心 마음
  을 바르게 한다. 以茶行道 차로서 도를 행한다. 또 일본의 明惠上人(1173~1232
  일본에 차씨를 전파시킴, 모우에)승려가 주창한 '차의 십덕'이 있다. 諸天加護 여
  러 하나님이 보호하신다. 父母孝養 부모님을 효성스럽게 봉양한다. 惡魔降伏 악
  마는 항복한다. 睡眠自除 잠이 저절로 제거된다. 五臟調和 오장이 조화된다. 無
  病息災 병이 없고 재앙이 그친다. 朋友和合 친구와 화합한다. 正心修身 마음이
  바르고 몸을 수양한다. 煩惱消滅 번뇌가 없어진다. 臨終不亂 죽음에도 환란이
  없다. 등이다.
차도 : 다도 : 茶道 - 차 잎 따기로부터 달여 마시기까지의 茶事를 통해 몸과 마음
  을 차 정신에 따른 中正 즉 모자람도 넘침도 아닌 덕을 쌓아가는 상징적인 길.
  차의 색 향 미는 반복 수련하면서 습득되듯 말을 조심해야 된다. 그게 행동이 되
  고 행동이 반복되면 습관이 된다. 그 습관이 품성이 되고 인격이 된다. 품성이
  쌓이면 덕이 는 것이다. 우선 차의 어려움에 9가지(9難)가 있다. 造 차만들기, 別
  감별하기, 器 그릇, 火 불, 水 물, 煮 삶기 굽기, 抹 가루내기, 煎 달이기, 飮 마시기.
차도구 : 茶道口 : 다도구 : 茶立口(차립구), 勝手口( 승수구) - 일본 차실의 입구.
  주인이 차를 점(點 차를 끓여 냄)하기 위하여 출입하는 차실의 입구를 말함.
차따는 시기에 따른 차이름 :
 납차 : 臘茶 - 동지 후 첫째 말일(납월) - 음력 12월(섣달) 중국남쪽
 사전차 : 社前茶 - 입춘 후 다섯 번째 - 양력 3월 27일 이전
 화전차 : 火前茶 - 한식 이전 - 4월 5일 이전
 화후차 : 火後茶 - 한식 이후 - 4월 5일 이후
 우전차 : 雨前茶 - 곡우 이전 - 4월 20일 이전
 시우차 : 時雨茶 - 곡우 후 8일 - 4월 30일 전후
 우후차 : 雨後茶 - 곡우 이후 - 양력 4월 20일
 입하차 : 立夏茶 - 입하 때 - 5월 5일 이전
 하우차 : 夏雨茶 - 양력 5월 5일 이후
 추차 : 秋茶 - 입추 때 -양력 8월 8일 전후
차떡 : 차 잎을 재료로 빚은 떡
차란 : 茶蘭 : (학명 Chloranthus spicatus) : 금율란 : 金栗蘭 - 중국남부와 동남아시
  아의 난지에 분포하는 상록 저목으로 꽃을 차의 착향에 이용한다.
차례 : 茶禮 - 혼인차례, 차회(연등회, 팔관회), 궁중다례, 유가다례, 불가다례, 도가
  다례, 왕실다례, 승려다례, 화랑다례, 일반다례, 관혼상제다례, 유교차례, 신인융합
  다례, 사신영접다례(원접차례, 친림차례, 접견차례) 등 차를 올리고 마실 때의 모든
  예의 범절.
  장자손의 집이나 산소에 간단한 차과포를 마련하여 예를 드리는 것
  제수를 차려놓고 지내는 제사와는 엄격하게 구분된다. 옛날에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 명절 때 가묘와 사당 그리고 성묘하며 차례를 지냈다.
  차례에는 밥(메)과 국(갱)을 쓰지 않는다.
차로 : 다로 : 茶爐 - 차물을 끓이는 화로
차롱 : 茶籠 : 차바구니 - 생잎을 따서 넣는 용기. 손으로(수적채) 딸때는 소형 바구
  니, 가위따기(협적채)를 할 때는 큰 바구니를 사용한다.
차마무역 : 茶馬貿易 - 옛날교역 중 견마무역에서 동서양의 무역로를 실크로드라고
  부른 것같이 그길을  따라 운반 된 차를 말에실어 주변 민족과 교역한데서 나온 말
차만 : 茶挽 : 차갈기 - 연차(硏茶 : 엽차)를 차구(茶臼 : 절구)에서 갈아 말차로 만든 것
차맛 : 茶味 - 차의 맛. 달고 부드러운 것을 으뜸으로 삼고, 쓰고 떫은 것은 하품이다.
차맷돌 : 차마 : 茶磨 - 말차를 만들기 위한 기구로 찻잎이나 연고차를 부수어서 갈아
  내는 맷돌
차명 : 茶茗 : 도명 : 荼茗 - 도는 차의 고자이다. 빨리 따는 것을 도, 늦게 따는 을 명
  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어린 싹을 따는 것을 도, 경엽으로 만든 번차를 명이라 부름
차모 : 茶母 : 다모 - 관비 중 차를 담당한 여자
차문화 : 중국 당대 이후 차를 마시는 풍속이 동아시아를 시작으로 여러 방면에 문화
  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경제적인 이익이 수반되면서 차문화는 전세계로 전파되어
  보다 다양한 차생활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차문화국제교류 : 茶文化國際交流 - 한 중 일을 비롯한 각 나라마다 차 생산에서부터
  학술, 문화, 산업에 이르기 까지 고급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한국은 1996년 5월 25일~28 국제차문화서울대회를 16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사)
  한국차인연합회 주최로 여의도 경제인연합회관에서 개최하였다. 이를 계기로 다양
  한 차문화국제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차박사 : 茶博士 -  차를 잘 만들고 달이기로 이름난 사람을 일컬음
차반 : 다반 : 茶盤 - 차잔을 받치는 다리없는 반. 찻그릇을 담는 조그마한 예반.
  다구를 정돈하여 두는 도구용의 쟁반과 찻잔을 나르기 위한 쟁반.
  재질은 목재류가 많고 모양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8각형 등
  혼인잔치 때나 생일잔치 때 음식 한 상 차려 내 놓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차반 : 다반 : 茶飯 - 차를 사용하여 지은 밥의 총칭.
  예물로 가져가는 맛 좋은 음식 또는 맛있게 잘 차린 음식을 말함.
차백희 : 茶百戱 - 차를 달이는 과정의 차솔을 이용하여 거르지 아니한 차탕을 휘
  저을 때 만들어지는 나비 꽃 등 여러가지 나타나는 모양을 감상하는 재미를 말함
차번 : 茶番(일) : 차 시중을 드는 사람. 속이 들여다보이는 일
차변불가용 : 茶變不可用 - 변한 차는 쓰지 않는다. 차를 만들면 처음 푸른색이다.
  저장함에 법도대로 하지 아니하면, 점점 녹색-황색-흑색-백색으로 변한다. 이를
  마시면 곧 위가 냉해지고, 심해지면 수척한 기운이 쌓이게 된다.
차병 : 茶餠 : 차떡 - 차를 이용하여 만든 떡의 총칭
차보아 : 茶甫兒 - 차를 담는 보시기
차복 : 茶腹 - 차를 마셔서 배가 부른 상태. 차로인해 일시적으로 공복을 면하는 것
차부 : 茶釜(일) : 차를 끓이는 솥
차분 : 茶盆(일) : 찻잔을 얹는 쟁반
차사 : 茶事 : 찻일 - 다도에 관한 여러가지 일을 말한다.
차사 : 茶祀 : 차례 : 茶禮 - 음력 매월 초하룻날, 보름, 명절, 조상생일 등 낮에 지내
  는 제사를 이름.
차산지 : 茶産地 - 차를 생산하는 곳. 차의 명산지
차삽 : 茶澁 - 제차기의 내부나 조탄 또는 차완 등에 산화 착색된 흑갈색의 앙금
차상 : 茶床 : 차를 달이기 위해 기본 다구를 올려놓는 상과 찻잔만 받쳐 손님께
  내는 상 등 대 중 소 다양하다. 차를 올려 놓는 상.
차상 : 茶葙(일) : 찻잎을 넣어두는 방습 나무상자
차상보 : 찻상이나 다과상을 덮을 때 쓰는 덮개. 색깔은 옛날부터 빨강색과 남색으
  로 밖과 안을 삼아 사용하여왔다.
차상자 : 茶箱子 : 차빈 : 茶檳 - 차의 수납 또는 수송에 사용하는 큰 상자.
  야점(야점 : 야외에서 차를 달이는 일) 때에 차 도구를 넣는 휴대용 상자
차상포 : 茶床布 - 찻상 위에 까는 천
찻상 : 具烈 : 차구 진열장 - 床型과 시렁의 架型이 있다.
차색 : 茶色 - 차의 빛깔. 차는 푸른 것을 으뜸으로 삼고, 찻물은 남백색을 아름답게
 여긴다. 노랑, 검정, 빨강, 어두운 빛깔이 도는 것은 모두 차의 품격에 들지 못한다.
차생활의 구덕 : 茶生活의 九德 - 1 건치健齒 2 폄비貶肥 3 성주醒酒 4 해로解勞
  5 방암 防癌 6 분노分老 7 이뇌利腦 8 소면少眠 9 조각助覺
차석 : 茶席(일) : 차회를 하는 방
차선 : 茶選 - 찻잎을 가리는 것. 줄기나 마른 잎 등을 골라내기
차선 : 茶筅(茶筌) - 말차를 낼때 차 가루를 푸는 도구. 대나무를 잘게 쪼개어 만든다.
         고려 태조 왕건의 건국원년에 뇌원차를 마심과 하사 전적, 중국 송대 대관차론
         에 처음 나온다. 1270년경 다구도찬에 야자나무 껍질로 만들어 사용 기록,
        일본은 가마쿠라시대(1192~1333) 전기 1300년대 설.
        다도용 차선은 1975년 전통적 공예품으로 지정되었다.
차선 : 茶禪(일) : 다도와 선
차선일미 : 茶禪一味 - 차도와 선도의 양자는 부이일여不二一如 라는 설을 말함
차선일치 : 茶禪一致(일) : 다도의 경지와 선의 일치
차세 : 茶稅 - 조선시대 차에 매긴 세금. 세관에서 수입차에 매기는 세금
차소 : 茶所(일) : 차의 명산지
차수 : 茶水 - 찻물, 차 달이는데 쓰이는 물
차수 : 茶樹 - 차나무. 상록수로 개장형, 직립형, 중간형이 있다.
차수 : 茶壽 - 108세의 장수를 뜻하는 덕담. 茶의 한자 풀이 조합이 108 이 된다.
                   喜壽 77세, 米壽 88세, 白壽 99세 등의 의미로 지음
차수왕 : 茶壽王 - 중국 운남성 서쌍판납 남미산의 곡간에 있는 큰 나무
             높이 5.48m 둘레 10.9m 수령 800년 추정
차수품천 : 茶水品泉 - 차는 좋은 물을 필요하다. 바위 틈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으뜸
차시 : 茶匙 : 차칙 : 茶則 : 찻숟가락 : 차뜨개 - 차를 떠내서 넣는 작은 숟가락
차시배지 : 차를 처음 심은 곳. (신라 때 김대렴이 견당사로 다녀와 지리산 쌍계사 계
  곡에 심어~)
차식판 : 茶食板 : 다식판 - 차식을 박아내는 틀. 한 판으로 된 것과 아래위 두판으로
  된 것이 있다.
차실 : 茶室 : 다실 : 차회를 하는 방
차실 : 茶實 : 차열매 - 오매화(烏媒花)의 하나인 차꽃은 8~11월에 피어 초겨울에
  열매를 맺는다.
차아 : 茶芽 : 新芽 : 신아 - 차나무의 새싹.
차양갱 : 茶羊羹 - 한천과 차 분말, 설탕 등을 넣어 만든 양갱이
차양재배 : 遮陽栽培 : 피복재배 : 被覆栽培 - 햇빛을 차단하여 새싹을 키우는 법
  옥로나 연차는 70%로 개시해 최종 95~98%로 약 20일간 차광시킨다.
차양향 : 遮陽香 : 차광향 : 遮光香 : 피복향 : 被覆香 - 차광하여 만든 차에서 나는
  특수한 향기.고삽미는 줄고 감칠맛이 증가된 특유의 향.
차여과기 : 차거름망 - 우린 차를 따를 때 찻잎 등 찌꺼기를 걸러주는 기구.
  재질은 표주박, 대나무, 플라스팃, 스테인레스, 도자기 등으로 망을 달아 만든다.
차연 : 茶硏 - 차를 갈아 가루로 만드는 기구. 약연(藥硏)
차연 : 茶烟 - 차를 달일 때 나는 연기
차엽 : 茶葉 - 차 잎
차옥 : 茶屋(일) : 재료로 차를 파는 가게, 요정, 찻집
차온 : 茶溫 - 차를 만들 때 온도계로 측정한  찻잎의 온도
차와 다 : 茶 - 중국은 북부지방은 챠, 남부지방은 다. 일본은 차로 발음한다.
  字典에 茶를 차-다, 用語 차라 하였다. 訓蒙字會에는 차-다라 함. 字類註釋
  에는 차-차 (佮音, 다)라 함. 鷄林類事 (高麗方言 숙종시대)에는 송나라에서
  차를 다라하고 茶匙를 다술(茶戌)이라 한다고. 우리나라에는 육로로 화북의
  차가 해로로 중국 강남의 다가 들어와서 혼재되어 쓰이고 있다.
  복건성 발음은 Te, Tay에서 유래된 다. 광동성 발음인 Cha에서 유래된 차.
  지금 세계인이 쓰는 발음은 티(Tea)와 차(Cha)만 남아 쓰이고 있다.
차와 탕 : 茶와 湯 - 차는 음료, 예절, 생활건강, 풍류에 목적을 두고 엷게 달인다.
  탕은 병치료와 약의 용도로 진하게 달인다.
차원 : 茶園 : 다원 - 차밭. 인위적으로 조성된 차밭
차음 : 茶飮 - 차를 마심
차음화 : 茶飮話(일) : 차를 마시며 나누는 가벼운 세상 이야기
차의 구덕 : 茶의 九德 - 1 머리를 맑게한다. 2 귀를 밝게한다 3 눈을 밝게한다
  4 입맛과 소화를 좋게한다. 5 술을 깨게한다 6 잠을 적게한다. 7 갈증을 멈추게
  한다 8 피로를 풀어준다 9 더위와 추위를 막아준다.
차의 기원 : 청대 고염무의 일지록(日知錄)에 '진나라가 촉을 그세력 아래두고
  촉나라 사람들이 차마시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기원전 200~300년경
  사천지방에서 음차습관이 있었다고~
차의 날 제정 :  (사)한국차인연합회가 1981년 5월 25일 진주 촉석루에서 '차의 날
  제정 선언문'을 발표하고 5월 25일을 차의 날로 제정 선포하였다.
차의 명칭 : 다는 차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다른 이름이 많다. 가, 설, 명, 천, 도 등
  가檟, 천타 荈詫, 설蔎, 채초菜草, 선選, 과로목瓜蘆木, 천荈, 명茗, 타詫, 타奼,
  고로皐蘆 등 10여 가지였으나  도荼로 칭했으나  唐代(758년경) 육우가 다경에
  도자의 한획을 줄여 차茶자로 씀으로서 9세기경에는 차자가 보편적으로 사용함
차의 분류 : 침출차(물에 달여 우려 마시는 차), 추출차(차원료를 즙을 내거나 추출
  한 것을 가공한 것), 분말차(차 잎을 미세한 가루로 만든 차), 액상차(추출, 농축해
  액상으로 가공한 차), 고형차(차를 원료로 분말, 병차 등 고형으로 만든 차) 등 /
  불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 / 정통차, 대용차 / 녹차, 홍차, 반발효차, 후발효차,
  가공차 / 납전차, 사전차, 화전차, 화후차, 기화차, 우전차, 우후차, 입하차, 매차,
 추차, 소춘차 / 1번차, 2번차, 3번차 / 봄차, 여름차, 가을차 / 잎차, 단차(떡차), 말차,
 화차(향편차) / 전통차, 외래차, 고유차 / 녹차, 백차, 청차(오룡), 홍차, 황차, 흑차 /
 반야, 죽로, 작설, 화개 / 용정, 벽라춘, 오룡, 황산모봉, 철관음, 우지옥로, 우지전차,
 현미차 / 엽차, 말차, 편차, 병차 / 첫물차, 두물차, 세물차, 네물차, 우전차(극세작),
 세작, 중작, 대작(말작)
차의 성분 : 카페인(Caffeine 1827년 발견 茶素 쓴맛), 타닌(Tannin. Polyphenol 차의
  색깔, 향기, 맛 좌우. 6종류의 Catechin 으로 구성되 떫고 쓴맛 낸다), 단백질(알부
  민, 글로블린, 아미노산 10종류 중 Theanine 이 감칠맛 내), 비타민(A, B1, B2, C,
  니코틴산, 토코페롤, 루틴 등), 무기질과 기타(칼륨, 인산,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구리, 나트륨, 아연/ 자당, 포도당, 과당 등 탄수화물이 단맛 더해, 플라보놀이 입
  냄새 제거, 불소 성분이 치아건강 도와) 등 30여가지.
차의 심사 : 외관심사(형상, 빛깔), 내질심사(향기, 수색, 자미, 각색) / 감각에 의한
  관능심사법, 기계기구에 의한 과학적심사법
차의 재배조건 : 기온- 평균 14도~16도, 최저기온- 영하 5도, 연강수량- 1300mm
  이상, 토양산도- PH 4~5 / 하동, 보성, 울산, 밀양 등 경남, 전남, 제주지역에서
  재배 가능하다.
차의 효능 : 강심, 이뇨, 살균, 각성작용, 피로회복, 소염, 단백질 침전, 중금속 침전
  작용, 괴혈병 예방, 단맛, 차향기 발산 등/ '옥천의 진공이 나이 여든에도 얼굴빛이
  복사꽃 같았다. 고목이 되살아나듯 장수하게 하더라(초의의 동다송)/ 차의 9德, 차
  의 5功 6德(한재 이목의 다부- 오래 살게하고, 병을 낫게, 기운을 맑게, 마음을 편
  안하게, 신선과 같게, 예의롭게 한다)등
차의 효용 : 개인문화, 건강증진, 기호, 예절, 느림의 미학, 마음의 여유, 풍류, 질서,
  차 자체가 사람을 예의롭게 한다. 모자람도 넘침도 없는 중정의 도를 배우고 벗들
  과 이웃과 사람들과 고아한 고급문화를 일구는 매개물이다.
차이 : Chai - 우유와 향신료를 넣어 끓여 마시는 인도의 밀크 티를 말한다.
차이 : 茶飴 - 말차로 만든 엿이다.
차인 : 茶人 - 차와 관련된 업종에 종사하거나  차를 즐겨 마시는 사람. 다도를 좋아
  하는 사람. 차를 생산하는 사람. (탕자湯者, 수기자數寄者)
차입 : 茶入(일) - 엽차용기
차자 : 茶子(일) - 차에 곁들이는 과자. 농가에서 아침식사 전에 먹는 간단한 식사.
  일이 손쉬움
차작 : 茶扚 - 말차를 위한 숟가락
차잔 : 茶盞 - 차(물)를 담는 잔
차장 : 茶欌 - 찻그릇이나 과일 등을 넣어두는 자그마한 장
차쟁 : 茶錚 - 차를 달이는 세발달린 손잡이 솥
차적가 : 茶摘歌(일) - 차 잎을  따며 부르는 노래
차적채 : 茶摘採 : 차따기 - 차를 만들기 위해 차싹을 손이나 기계로 따는 것
차적협 : 茶摘鋏 : 가위 : 茶鋏 : 摘採鋏 - 차싹을 적채하는 가위
차점 : 茶店(일) - 차나 과일을 팔며 휴식할 수 있는 찻집. 차의 소판매상. 차 점방
차정 : 茶亭 - 차 정자. 고려시대 이자현의 淸平山, 정안의 洗心亭, 최충헌의 茅亭,
  이규보의 冷泉亭, 이행의 모옥, 성석연의 衛生堂. 조선시대 신위의 한보정, 정약
  용의 강진 茶山艸堂, 황상의 一粟山房, 김정희의 竹爐之室, 초의의 두륜산 一枝庵
차정 : 茶庭(일) - 차실에 딸린 뜰
차정 : 다정 : 茶旌 - 차를 판다는 표시 깃발
차제구 : 茶諸具 - 차에 관한 여러가지 도구
차조 : 茶祖 - 차의 조상. 중국은 神農 炎帝 또는 陸羽를 일컬음
차종 : 茶種 - 차를 따라마시는 종지
차종 : 茶鍾 - 뚜껑이 있는 차담는 잔
차종자 : 茶種子 - 차나무 열매 씨
차주론 : 茶酒論 - 唐나라 현종대(730년) 수기인데 차와 술이 서로 자랑을 늘어
  놓으며 다투는 것을 재미있게 꾸민 내용이다. 결국 물이 나서서 뭘그렇게 다
  투고 있나 사람은 地. 水.火. 風 넷이 다스리고 있다. 茶君 내가 업으면 너의
  형태가 없다. 酒君 내가 없으면 너의 모습도 없다. 지금부터는 사이좋게 지내라
차죽 : 茶粥(일) - 차를 달인 물로 끓인 죽
차청 : 茶請(일) - 차에 곁들여 내는 과자
차촌 : 茶村 : 다촌 - 고려시대에 형성된 차를 재배하도록 정해준 동네
차칙 : 茶則 - 찻숟갈
차탁 : 茶托 - 차잔을 받치는 작은 판. 찻잔받침. 盞托, 花托
차탕 : 茶湯 : 다탕 - 차를 달이기 위해 끓인 물
차태 : 茶台 - 차잔을 놓는 다리가 긴(높은) 상
차통 : 茶筒 - 차를 보관해 넣어두는 대롱모양의 통
차포 : 茶布 : 다포 - 차잔위를 덮는 보자기
차포 : 茶鋪 - 차를 파는 가게
차표 : 茶杓(일) - 가루차를 떠내는 작은 숟가락
차풍로 : 茶風爐 - 차를 끓이거나 달일 때 쓰는 풍로. 연료는 숯이나 섶나무, 최근
  에는 전열장치를 해(凉爐) 편리하게 만들어 쓴다.
차호 : 茶壺 : 다호 - 차를 넣어두는 단지모양의 통. 차를 담아 놓는 항아리.
  일본에서는 농차용 말차통을 茶入, 엽차용을 茶壺라 한다.
  차를 낼 때 찻통의 차를 우릴 만큼만 넣어두는 작은 항아리로 뚜껑 모양에 따라
  차호와 차합으로 구분 된다.
차화 : 茶話(일) : 다화 - 차를 마시면서 주고받는 이야기. 茶談
차황 : 다황 : 茶黃 - 찻잎을 익힌 것 즉 증청한 상태의 차를 말함, 製茶 술어
차향 : 茶香 - 차의 향기. 차에는 진향眞香(곡우 전 차의 싱그러움이 고루 갖추어진
향), 난향蘭香(불김이 고루 든 것), 청향淸香(설지도 않고 너무 익지도 않은 것),
순향純香(안팎이 똑 같은 것)이 좋고, / 또한 함향含香, 누향漏香, 부향浮香, 문향
問香 등은 좋지 못한 향기이다.
차회 : 茶會 - 차를 마시는 모임. 茶事
찻잔 : 茶盞 - 차를 따라 마시는 잔
찻잔탁 : 茶盞托 - 찻잔 받치는 그릇
착미 : 着味 - 전차나 말차 제조시 조미료를 첨가하여 차맛을 좋게 제조하는 것
          着味茶, 添加茶. 일본에서는 금지된 지역 현도 있다.
착색 : 着色 - 차의 빛깔을 좋게하기 위해 발색제나 착색료 등을 사용한다.
착향 : 着香 - 차에 다른 향기를 부여하는 일로 꽃이나 향료를 사용한다.
          着香茶, 花香茶. (말리화차)
차성음 : 茶性淫 - 주위의 습기나 잡 냄새를 흡수하는 성질
차신전 : 茶神傳 : 다신전 - 1830년에 초의 장의순이 45세 때 중국의 백과사전인
만보전서에서 빼내어 쓴 책이다. 그안에 모환문이 쓴 '차경채요'가 실려 있고,
이 내용은 1595년 중국 명대 장원이 지은 '차록'을 베낀 것이다.
차 잎을 채취하는 것 부터 기초적인 모든 것을 22개 항목으로 쉽게 기록했다.
차위 : 茶衛 - 차의 위생. 차를 만들 때에는 정성스럽게 하고, 저장할 때에는 건조하
게 하며, 우릴 때는 청결하게 한다. 정성을 다하고, 건조하게 하고, 청결하게 하면
다도는 다한 것이다.(차신전)
착다수시끽다인 : 㒂茶須是喫茶人 - 차만은 모름지기 차인과 마시는 것이
좋다.
찰 : 札 - 솔
참녹 : 전남농업기술원에서 2001년 육성한 조생종 차나무 이름. 직립형 저카페인종
찻물 : 차를 달이는 물. 예로부터 물맛의 우열을 가려 평할만큼(品泉) 차에 있어서
  물은 차맛을 좌우하는 몸이다. 다신전에 '차茶는 물의 신神이요 물은 차의 체體이
  니 진수眞水가 아니면 그 신이 나타나지 않으며  진차眞茶가 아니면 그 신이 나타
  나지 않으며 또한 그 체를 볼 수 없다고 하였다. 차의 품질 만큼 좋은 물이 있어야
  한다는 것.(고려 말 충주 달천, 금강산 우중수, 속리산 삼타수와 냉천정 샘물, 송악
  안화사 샘물이 유명, 신라시대는 한송정 다천, 오대산 서대 우통수, 조선시대는 속
  리산 복천암 우물, 두륜산 자우산방 유천이 유명했다.
  한 번 끓인 물이나 김이 샌 물 등은 찻물로 적당치 않다.
찻불 : 찻물 끓이기. 화력의 상태(火後)나 물이 끓는 정도(湯候)를 잘 구별해야 한다.
  화력의 상태는 불꽃이 있는 숯불(活火)가 좋다. 너무 센불(武)이나 너무 약한 불(文)
  은 좋지 않다. 물이 ㄲㅀ는 정도를 분간하는 탕변湯辨에는 形辨, 聲辨, 氣辨이 있다.
  형변은 물거품을 보고 구별하는 방법인데 게눈, 새우눈, 물고기눈, 연주와 같은 상
  태는 설 끓은 물(맹탕萌湯)이다.
찻상 : 茶床 - 굽이 있는 다기용 상.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서랍
  형 등으로 목재류가 많다.
찻수건 : 茶巾 - 다구를 닦는데 쓰는 행주
찻숟가락 : 茶匙 : 찻술 : 차뜨게 : 茶則 - 잎차용과 말차용이 다르다.
찻일 : 차사 : 茶事 : 다사 : 차에 관한 여러가지 일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茶會를 말하는데 효曉의 차사, 조朝의 차사, 정오正午의 차사, 야신夜
  噺의 차사, 불시不時의 차사, 반후飯后(과자)의 차사, 적견跡見의 차사 등 차사칠
  식이라하는데 정오의 차사를 정실亭室의 차사로 한다.
찻잎 따는 시기 : 곡우 전후가 적당한데 찻잎생긴 모양을 보고 따는 것이 좋다.
  찻잎 모양은 창(槍 어린 순이 창끝처럼 뾰족해)과 기(旗 이파리가 깃발처럼 붙어)로
  설명하는데 일창일기나 이기 때가 적기이고 삼기나 사기는 그 다음이다.
  그날의 일기도 좋아야 한다. 새벽부터 해가 중천에 떠 이슬이 걷힐 때까지가 좋다.
차의 기능성 : 機能性 - 차를 마시므로 우리 몸 안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생리조절
  작용을 말한다. 예로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항균, 항충치, 노화억제, 항염효과 등
차의 탕 : 湯 - 차를 끓여 권하고 마시는 예의 범절이며 일본의 말차 끽다법이다.
차의 보관 : 保管 - 제조된 차는 흡습성과 흡착성이 강해 변질되기 쉽고 맛과 향이
  떨어지게 된다. 차는 수분 함량이 3~5.5%의 건조식품으로 밀봉하여 0~5도, 습도
  55~65%의 차 전용 냉장고 등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후발효차는 달라서 자연상태
  로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착향 : 着香 - 꽃이나 향료 등을 이용해 차에 다른 향기를 나게하는 것이다.(말리화)
찻솔 : 차선
찻잔 : 茶盞 - 차를 마실 때 쓰는 다완 모양의 작는 잔을 말한다. 찻종, 차구, 차완 등
  의 잔이 있고 잔의 굽이 높을 수록 지위가 높은 분이 사용하였다.
  재질은 도자기, 은제, 금제, 나무, 돌 등이다.
찻쟁반 : 차반 : 다반 : 茶盤 - 우린 차를 담아 내는 소반
찻종 : 茶鐘 - 차를 마실 때 쓰는 종의 모양을 뒤집어 놓은 듯한 잔을 말한다.
찻주전자 : 차관 : 다관 : 茶罐 - 차를 우리는 주전자
창강 : 창기 : 昌康 ; 槍旗 - 중국차의 종류
창미 : 倉味 - 지프라기 등 창고 냄새
창첨 : 創添 - 새로 만들어 덧붙여 바치는 것
창포차 : 菖蒲 - 창포의 뿌리로 만든 대용차
채다 : 採茶 : 채엽 - 찻잎 따기
채단 : 綵緞, 采緞 - 신랑이 아내를 맞이하기 위하여 신부의 집에 보내는 폐백
채장 : 綵莊 - 색깔이 고운 무늬를 단차團茶에 장식해 찍는 것
처사 : 處士 - 학덕이 높지만 벼슬하지 않는 선비
척방 : 滌方 - 개숫물통
척번자 : 滌煩子 - 차를 가리키는 별칭. 괴로움을 씼어낸다는 의미
천 : 荈 - 늦게 딴 차의 별칭
천근성 : 淺根性 - 작물의 뿌리가 지표면에 가까운 토양에 분포하는 성질.
천리휴 : 天利休 : 센노리큐 - 1522~1591 일본 전국시대 다도를 정립한 인물로
  와비차 전통을 세우고 和敬淸寂(조화와 존경, 밝음과 부동심을 의미)의 정신
  을 강조했다.
천차 : 천다 : 薦茶 - 차를 대접함
천목산 : 天目山 - 지금의 절강성 항주의 어잠현에 있는 산
천문동 : 天門冬 - 한약재, 폐병, 천식, 가래에 좋다.
천산 : 淺山 - 중국차의 한 종류
천배 : 淺焙 - 북원 정배에서 아주 가까운 곳, 일명 외배
천부 : 차에 관해쓴 최고의 시
천연수 : 天然水 - 자연의 물. 지하수, 샘물.
천주차 : 泉州茶 : 泉茶 - 옛날 번차의 하나. 자라난 차나무의 싹을 낫으로 베어 내
  쪄서 햇볕에 말려 만든다.
천지차 : 天枝茶 - 대용차의 한 종류
천차 : 荈茶 - 늦게 딴 쇤 잎차
천포 : 荈脯 - 차와 말린 고기
철관 : 鐵罐 - 쇠탕관
철관음 : 鐵觀音 - 중국 오룡차용의 차나무 품종. 그것으로 만든 차로 반 발효차에
  속한다. 강홍배, 외형은 구형이고 탕색은 선명한 등황색을 띤다. 맛은 감미롭고
  부드러운 甘潤, 맛과 향에 홍배(火候) 풍미가 강하다.
  (원산지-복건성 안계현 / 산지-대북목책, 남항, 리산적교두)
철구 : 차를 마시는 찻잔. 나눔 잔
철다 : 철차 : 啜茶 - 차를 마시다
철당 : 철鐺 - 볼록한 모양의 솥
철명 : 啜茗 - 차를 마시다
철병 : 鐵甁 - 철제로 만든 물 끓이는 주전자(湯沸). 쇠로 만든 병이나 항아리
첨 : 襜 - 수레의 휘장, 행주치마. 위에덮는 보자기
첨차 : 甛茶 - 중국 남부 계림의 산악지대에 자생하는 장미과 식물로 만든 음료
첫물차 : 차 제조시기(4월~5월 초순)에 따라 부르는 우리나라만의 호칭이다.
청강 : 淸江 - 맑은 강
청구 : 淸口 - 중국차의 한 종류
청다구 : 靑茶 甌 - 푸른색 찻사발
청량음료 : 淸凉飮料 - 비알콜성 음료의 총칭으로 탄산, 과즙, 커피계 음료,
  차류 음료, 광천수 등 청량감을 주고 갈증을 풀어주는 것으로 차류에는 녹차,
  홍차, 오룡차 음료 등이다.
청록 : 靑綠 - 녹색에 청색을 띤 것. 녹차의 엽저와 청차의 외형에서도 쓰임.
청명차 : 淸明茶 - 중국에서 4월 5일경의 청명절 시기에 만든 차를 말한다.
  청명절 이전에 만든차를 明前茶라 부르며 귀하게 여긴다.
청백자 : 靑白磁 - 엷은 청자유를 칠한 백자에 가까운 자기. 청자에서 백자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생긴 것으로 宋代, 元代 대량생산된 강서성의 景德鎭窯
  작품이 많다.
청엽 알데히드 : 靑葉 Aldehyde - 청엽 알코올과 함께 녹차의 특징을 지우는
  향 성분의 하나이다. 야채나 과일 등에 널리 존재한다.
청엽 알코올 : 靑葉 Alcohol - 녹차를 특징짓는 향 성분의 하나이다. 약 20종의
  녹차 향기 성분 중  대표적인 성분이다. 발효차인 오룡차나 홍차보다 향 성분
  은 적다. 녹차 중의 함유량은 약 46ppm이다.
청자 : 靑磁 - 소지素地와 유약에 함유된 미량의 철분이 환원소성으로 산화 제
  일철로 되고 청~청록색으로 발색된 陶磁器이다. 불은 1250~1300도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磁化자기. 고려시대 비색翡色(회색이 바탕이 된 녹청색)
  청자가 유명하다. 신라, 고려, 조선 청자가 조금씩 다르다.
  중국의 월주요청자, 북송의 여관요청자, 남송의 관요청자, 용천요청자, 북방
  청자라 부르는 요주청자, 임여요청자가 모두 조금씩 다른데 宋代에 최고의
  청자가 만들어 졌다. 유명요는 요주요, 교단요, 남송대에 용천요, 명대의 七官
  靑磁가 높이 평가 된다.
청제증전차 : 靑製蒸煎茶 - 1738년 일본 야마시로의 우지차 공장 기술자인
  나가타니 소우에가 만든 일본 잎차의 원형. 찻잎을 증기로 찐 다음 불기운을
  이용하여 말리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청차 : 淸茶 : 오룡차 :烏龍茶 : 울롱차 - 6대 차류의 하나. 투명하고 맑은 탕색의
  효소에 의해 반발효된 차이다. 수색은 녹차와 홍차의 중간색인 갈색을 띤다.
  달콤한 향이 좋아 잔향을 음미할 수 있는 차이다.
  일광이나 실내 위조-요청(교반)-초청(부초)-유념-건조의 공정거침.
  복건, 광동, 대만 등이 주산지며 생산량은 중국차 총생산량의 약10%(8만톤).
  제품은 무이암차, 철관음, 수선, 육계 등이 유명하다.
청차 : 靑茶 - 푸른차. 중국차의 한 종류. 일본의 말차
청천 : 淸泉 - 맑은 샘물
청천백석차 : 淸泉白石茶 - 호도, 잣을 밀가루로 작은  덩어리를 만들어 넣은 차
청취 : 靑臭 : 풋내 - 향기의 결함을 나타내는 말로서 전차의 제조공정에서 차에
  남는 풋내를 말한다.
체 : 체 - 말총, 인견, 구리선 등 철사로 그물을 만들어 가루나 잎상의 것을 선별
  하는 용구. 1치(3cm) 사이의 그물코 수가 10개이면 10호(10번), 20개가 있으면
  20호라 불러 번호가 클수록 가늘다. 이 그물코를 통관 것을 체밑, 체에 남은 것
  을 체위라 부른다.
체초기 : 體炒機 - 부초차, 옥록차 제조에서 모양을 갖추어 굳게하는 끝마무리용
  기계이다. 철판제의 회전통 안에서 차가 압박되어 마찰되면서 특유의 모양과
  빛깔로 된다. 가열방식은 직화나 열풍식이 있다.
초고압살균 : 超高壓殺菌 - 무가열로 수천 기압에서 살균하여 식물의 맛, 향, 영
  양성분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효소의 활동을 멈춰 쓴맛,
  냄새 등을 억제하는 첨단가공기술이다.
초고온살균 : 超高溫殺菌 - 130도~150도의 온도에서 0.5~4초의 단시간에 균을
  사멸시키는 방법.
초당 : 草堂 - 초가지붕을 이은 집
초부 : 初釜 - 일본에서 새봄을 맞아 로에 처음 솥을 거는 것을 말함. 또는 그 솥
  의 탕을 사용하는 茶事를 말한다.
초암 : 草庵 - 흙벽에 초가지붕을 가진 소박한 건물. 센노리큐의 차실 개혁으로
널리 보급된 일본의 차실 건축양식 중 하나(소안)
초엽 : 炒葉 - 덖음차(부초차) 제조공정의 제1단계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가열한
  솥에 생잎을 넣고 교반하면서 차온을 높혀 효소활성을 실활시키는 조작이다.
초음 : 初音 - 최초로 딴 차 잎으로 만든 말차抹茶
초의 : 艸衣 - 속성은 張씨, 이름은 意恂, 법호가 草衣(수계시 완호 스님이 내림),
  자는 中孚(다산이 지어줌), 본관은 仁同이다. 15세에 출가 훗날 煎茶博士로 불
  렸다.(신위 박영보의 남차시를 통해) 1786-1866. 조선 후기 대선사로 일지암에
  기거하며 다도를 정립해 이어주었다. 다산 정약용(1762~1836), 소치 허(1809~
  1892), 추사 김정희(1786~1856) 등과 폭넓은 교류를 가졌는데 특히 추사와 함
  께 다산초당을 찾아 24연배의 다산을 스승처럼 섬기면서 유학의 경서를 읽고
  실학정신을 계승하며 시부詩賦를 익혔다. 다산은 각다고를 쓰고, 초의는 동다
  송을 지으며 우리 토산차를 예찬하여 한국의 다도는 이 두분을 만나 이어진다.
초자 : 草子 : 추골 : 麤骨 - 중국차의 이름들 
초장 : 草長 - 초본식물의 지표면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초차 : 草茶 - 작설차雀舌茶의 다른 이름
초청녹차 : 炒靑綠茶 - 가마솥에 덖어서 살청한 찻잎을 유념한 다음 최종적으로
  가마솥의 열을 이용해서 건조해 만든 중국녹차이다.
초탕 : 初湯 : 일전 : 一煎 - 차를 우릴 때 1회 째 우려낸(침출)차를 말한다.
초향 : 焦香 - 차를 건조할 때 온도가 너무 높아져 생기는 냄새.
촉성재배 : 促成栽培 - 새차가 빨리 나올수록 높은 값으로 거래되므로 비닐하우
  스 등을 이용 가온재배하는 것인데 조생품종이 적합하다.
촌수 : 寸數 - 방계傍系의 친소親疎 거리를 알 수 있도록 만든 고유한 제도이다.
  고려사에 촌수가 등장하는데, 중국과 일본에는 촌수 개념이 없다.
총섬유소 : 總纖維素 - 수용성과 불용성의 식이섬유소를 총칭한 말
총수 : 파 뿌리
총질소 : 總窒素 - 차에 함유된 가용성과 불용성의 모든 질소성분의 질소총량
  켓달법으로 측정하는데 일본차는 품질이 좋을 수록 총질소 함유량이 많다.
  단백질, 카페인, 유리아미노산, 핵산 등 영양분이 되는 질소는 질산, 아질산,
  암모니아 형태로 존재하거나 이들 전부의 질소량을 합한 것
총콜레스테롤 : 혈장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의 총량
추동번차 : 秋冬番茶 - 가을부터 초겨울에 예취한 찻잎으로 제조한 하급차
추명 : 秋茗 - 가을에 딴 차. 가을에 달인 차
추번차 : 秋番茶 - 온난한 지방에서 전정한 잎을 원료로 제조한 번차. 잎모양이
  큰 신차伸茶를 말한다.
추비 : 秋肥 - 가을에 주는 비료 또는 기비를 보충하기 위하여 주는 비료
추사 : 秋史 -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아호 秋史, 阮堂, 老果 등 100 여개.
  이조참판. 서화에 뛰어나 秋史體 대성. 조선 金石學의 태두. 9년간 제주도 유배
  생활- 초의와 역관 이상적 등의 도움으로 차와 일생
추색 : 송대 북원공다 중에 잎이 조금 자란 것으로 만들어서 세색에
비해서 좀 거칠고 등급이 낮은차. 일명 조색. - 간아, 소룡, 소봉, 대룡, 대봉 등
추쇄 : 망치로 두드려 부수다.
추수 : 秋水 - 가을의 맑은 물
추차 : 秋茶 : 가을차 - 입추(8월8일)~상강(10월 23일) 사이 잎을 따서 만든 차.
  대만포종차의 추차는 유명하다.
추차 : 麤茶 - 거친차
추차아 : 麤茶芽 - 거친 차싹
추출분말차 : 抽出粉末茶 - 차의 가용성분을 추출하여 농축 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든 것. 찬물이나 온수에 녹이면 차가 되는 간편형태의 것
추출차 : 抽出茶 - (정의) 식물성 물질을 주원료로 하여 그대로 착즙하거나 추출한
  것을 가공한 것 또는 이에 다른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고형, 또는 액상
  등으로 가공한 기호성 식품을 말한다.
  (규격) 성상: 고유의 빛깔과 향미를 가지고 이미, 이취가 없어야 한다.
  (2011년 식품공전)
축부수 : 竺副帥 - 대나무 솔, 가루차를 격불할 때 사용함, 일종의 다선
춘차 : 春茶 - 중국 대만에서 茶期를 春夏秋로 나눌 때 봄의 차를 말한다.
  봄에 제조한 차
춘명 : 春茗 - 봄에 만든 차
출각 : 出殼 - 차를 달이거나 우려낸 찻잎 찌꺼기
출물 : 出物 - 조제차를 재가공하여 정선제품으로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줄기, 가루부엽, 두차 등을 말한다. 중국서 부차副茶라 한다.
출아 : 出芽 - 땅에 종자를 심어 발아한 새싹.
출아비 : 出芽肥 - 새싹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한 봄 거름의 추가비료.
  일번차의 붕아 직전에 시비하는 속효성의 질소질 비료.
출화 : 出花 : 자단 : 煮端 - 전차의 제일전
출회기 : 出回期 - 차의 생산이 최성기를 맞이해 원차의 출하가 성행하는 시기
충담 : 忠談 : 충담사 : 師 - 향가 '찬기파랑가'를 지은 신라의 차인승려.
  경덕왕 24년(765년) 왕과 만나 차를 올리며 삼월 삼짇날과 중양절(9월9일)에
  남산의 삼화령 미륵세존에 차를 바친다는 내용이 '삼국유사' 권2에 실려 있다.
  '안민가'를 지어 군신과 백성의 의무를 노래한 것이 전한다.
충전기 : 充塡機 - 병이나 관罐, 주머니 등에 찻물을 채우는 기계이다.
취목 : 取木 : 휘묻이 : 압조법 : 壓조法 - 차나무 가지를 구부려 땅에 묻고 뿌리가
   나면 친목에서 끊어내어 묘목으로 하는 영양번식의 한 방법이다.
취아 : 翠芽 - 차싹의 물총새 같은 싱싱한 푸르름을 나타낸 말
측근 : 測根 - 주근으로부터 파생하는 이차적인 뿌리이다.
측백차 : 側柏茶 - 측백잎을 원료로 한  대용차
측색치 : 測色値 - 색차계 등으로 측정한 색상, 명도, 채도 등의 수치를 말함
측아 : 側芽 : 액아 : 腋芽 : 곁눈- 엽액에 달린 눈. 지조의 각 마디에 형성된 싹
측지 : 側枝 - 원가지(主枝)에서 갈라진 가지
치자 : 梔子 : 꼭두서니과 식물. 중국 화동차(花董茶)의 착향용으로 쓴다.
칙 : 則 - 차숟가락
칡차 : 칡의 뿌리나 꽃을 이용해 달여 마시는 대용차이다.
친수 : 親樹 : 모수 : 母樹 - 삽수를 하기 위하여 특별히 관리된 차나무를 말한다.
칠자병차 : 七子餠茶 - 중국 보이차 브랜드로 7개를 한 통으로 포장한다.
칠종상차 : 七種常茶 - 작설차에 7가지 약초를 가미해서 각증상에 맞춰 마시도록 한
  常備茶
칠헌차 : 七軒茶 - 성이다른 일곱군데의 차를 모아 아이들에게 마시게 하면 일생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중국 강소성 소주지방의 통과의례의 하나이다.
침사 : 沈渣 - 차완에 차를 따라 둘 때 밑에 모이는 찻가루
침지 : 沈漬 - 찻잎을 물 등에 담그는 것
침채차 : 沈菜茶 : 담금차 : 절임차 - 후발효차의 하나로 증자 찻잎을 통에 담아 저장
  하여 유산균이나 초산균으로 발효시킨다.태국 미얀마 북부의 라퍼소, 중국 운남성
  오지의 죽통산차竹筒酸茶. 일본 토쿠시마현의 아파번차阿波番茶, 고치현의 기석차
  碁石茶도 그 일종이다.
침초 : 砧樵 - 차를 가루로 낼 때 쓰는 망치
침추 : 砧椎 - 호박 절구공이, 다듬잇돌, 쇠방망이, 침구(砧臼)
침출차 : 식품공전 2011 ; 기호성 식품의 어린 싹이나 잎, 꽃, 줄기, 뿌리, 열매 또는
  곡류 등의 원료를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거나 이에 다른 식품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서 물에 침출하여 그 여액을 음용하는 기호성 식품을 말한다.
  * 단일침출차 : 단일식물의 싹이나 순, 씨앗, 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단일 곡류
    (단 홍차의 경우 발효된 차엽 90%이상)만을 가공하여 물에 침출한 여액을 음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1 녹차 2 오룡차 3 홍차 4 가공곡류차
  * 혼합침출차 : 단일침출차를 2종 이상 혼합하거나 또는 이를 가공한 것을 말한다.
침형 녹차 : 針形 - 모양이 가늘고 바늘과 같다(安化松針, 南京雨花茶)
침형 흑차 : 枕形 - 목침 모양의 틀에 넣어 눌러 만든 목침모양의 긴압차(강전, 金尖)
칩 : Chip - 홍차 제품 중의 심(芯 싹의 미전개 정아)부분. 칩이 황색으로 보이는
  Golden Chip과 흑 회색의 Silver Chip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