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라~마 > 차문화자료

본문 바로가기


    차문화자료실    차문화자료

차문화자료

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라~마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차인연합회 작성일17-07-25 11:56 조회5,673회 댓글0건

본문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라~마

라원 : 羅原 , 란예 : 嬾蕊, 뢰명 : 雷鳴 - 중국차 이름
라트나푸라 : Ratnapura - 스리랑카의 홍차 생산지
라페소 : Laphet-so - 아삼종계의 큰 차잎으로 만들어 먹는 미얀마의 차
랍상소우총 : Lapsang souchchong : 正山小種 - 정산소종을 유럽에서 말하는
  영어식 발음
량다 : 량차 : 凉茶 -서늘한 차. 시원한 차
러시아의 차 : 모스크바 궁정에 1618년 중국 明나라 사신이 차를 예물로 전함.
1847년 그루지아에서 차 재배에 성공 아제르바이잔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
러시아 차는 홍차를 주로 사모바르를 사용한다.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등 동유럽
의 슬라브계 여러나라에도 전파됨
력 : 䥶 - 솥의 한 종류
런치 티 : Lunch tea : Mid tea - 영국의 점심식사와 함께 마시는 차
레토르트 살균 : Retort 殺菌 - 고압솥에 100도C 이상의 수증기나 열탕으로 식품을
  가열 살균하는 방법이다. 녹차캔 제품은 120도C 에서 7~10분간 가열 살균한다.
로얄 밀크티 : Royal Milk Tea - 홍차와 우유를 넣고 끓여 만든 홍차로 일본식이다.
로우 그로운 티 : Low Grown Tea - 스리랑카의 차 생산지 가운데 고도 610m 이하
  의 낮은 지역의 홍차를 말한다.(미디엄, 하이 그로운)
로토르반 제법 : Rotorvane Manufacture - 유절기를 사용 압착 절단하여 미세입자
  로 만드는 파쇄형 홍차 제조법의 하나이다.
로트 : Lot - 생산품의 양을 말함. 일정량을 마무리한 양을 1로트라 한다.
루이보스 차 : Rooibos Tea - 남아프리카에 자생하는 침엽수(학명: Aspalathus
  Linearis) 잎으로 만든 차. 항산화력, 활성산소 억제 효과, 아토피성 피부병,
  사마귀, 백내장, 빈혈, 류머티즘에 좋다고한다.
루테인 : Rutein - 루비같은 적색을 지닌 천연색소의 하나이다. 엽록소 베타카로틴
  과 함께 널리 분포하고 있다.
루틴 : Rutin - 찻물의 색깔에 관여하는 황금색 색소성분을 말한다. 하급차에 많다.
류완 : 瑠椀 - 유리로 만든 찻사발
리나롤 : Linalool - 차의 향기 성분의 하나이다. 테르펜 알코올로 정유로서 에스테
르 상태로 존재한다.
리놀렌산 : Linolenic Acid - 불포화지방산의 하나로 포유동물의 생장에 필요하다.
  무색무취의 액체로 면실유, 옥수수유 등에서 분리 정제해 얻고, 들깨에 많다.
리보플라빈 : Riboflavin - 우리몸의 소화에 중요한 역할하는 유기화합물이다.
  산에 강하며 알칼리에 분해되기 쉽다.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관여한다.
  간, 생선, 계란, 우유, 녹색채소, 효모 등에 많고 곡류에는 적다.
리큐칠칙 : 利休七則 - 천리휴의 다도에서 행하는 7가지 다도법
 1. 꽃은 들에 피어 있는 것과 같이 2. 숯은 물이 끓을 정도로 하고 3. 여름에는 아주
 서늘하게 4. 겨울에는 아주 따뜻하게 5. 정해진 시간보다 조금 일찍마치며 6. 날씨
 가 좋을 때도 우산을 준비하고 7. 자리를 함께한 손님에게 마음을 쓸 것.
리포단백질 : Lipoprotein - 지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복합단백질을 말한다.
리프티 : Leaf Tea - 홍차 용어로 티백이 아닌 잎채 열탕으로 우려마시는 차를 말함
  온잎 형태의 잎차와 파쇄형(broken style) 잎차가 있다.
립톤 : Lipton - 영국의 유명 홍차 상표이다. 창업주 토마스 립톤의 이름을 딴 것 그
  는 홍차의 왕으로 불리며 백작의 칭호도 얻었다.

마보 : 麻步 - 중국차 이름
마테차 : Mate Tea - 남미족에서 마시는 식물성 기호음료. 마테나무의 잎으로 만든
  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등의 원주민이 옛날부터 애음해 왔다.
  커피, 녹차, 홍차에 이은 세계의 기호음료 중의 하나이다.
만개 : 滿開 : 滿發 - 꽃이 활짝 다 핀 것. 차꽃은 10~12월에 만발한다.
만병초차 : 만병초 여린잎을 연중 채취해 찌거나 볶아 이용한다.
만불차 : 萬佛茶 - 다산 초당이 있던 강진 만덕산 백련사(옛 만불사)에서 나는 차로
  다산이 만든 작은 크기의 떡차(小團茶)
만삼차 : 차로 이용할때는 달여마시는데 도라지와 비슷하다.
만상해 : 晩霜害 - 4월쯤 차의 새순이 늦서리에 의해 받는 피해를 말함
만생아 : 晩生芽 - 새싹을 딴 후 수일 뒤 아래쪽부터 자라나오는 싹을 말함. 또 이른
  봄 서리나 냉기로 피해를 입은 차밭에 늦게 싹튼 것.
만생종 : 晩生種 - 생육기간이 길어 늦게 성숙하는 품종을 말한다. 일본 차나무 대차
  4호가 중만생종이다. (만생품종)
만송원다례 : 萬松院茶禮 - 대마도의 만송원에서 하는 다례 
만수용아 : 萬壽龍芽 - 송대 북원에서 만든 공차의 단차 이름
만차 : 晩茶 - 늦은 시간에 마시는 차
말골 : 末骨 - 중국차의 한 종류
말리용주 : 末利龍珠 - 둥글게 만든 자스민 차.(용의구슬)
말리화 : 末莉花 : Jasminum sambac.- 목서나무과 상록소목 백색 꽃은 향이좋고
  맺친 꽃보오리 악을 따서 건조하여 차의 착향에 사용한다.
말리화차 : 자스민차 - 중국의 북쪽지방 북경, 천진, 만주 등에서 즐겨 마신다.
  花茶화차는 차에 향을 입힌 것이므로 차의 효능과 향을 함께 느낄 수 있다.
말발 : 沫餑 - 말차의 거품
말차 : 抹茶 : 末茶 : 沫茶 : Powder Tea - 가루차. 분말차, 찻잎을 맷돌에 갈아 만
  든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사용법이 까다로워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초까지 시행되었다가 없어졌다. 宋代나 고려시대 말차는 연고차를 가루내
  어 말차로 즐긴 기록이 많다. 말차는 옥로차와 마찬가지로 차광 재배한 차 잎을
  증기로 찐다음 건조시켜 맷돌과 같은 기계를 사용해 아주 미세한 가루로 만든
  차이다.
말차다완 : 抹茶茶碗 - 가루차를 타서 마시는 주발 또는 사발. 그 종류는 밝혀진
  것만 30가지가 넘어 우리 선조들의 풍류와 생활의 낭만적인 기호를 엿볼 수 있
  는 구별된 그릇으로 계절별용, 진한 농차용, 묽은 박차용, 경조사용, 1인용~다인
  용 등 시기와 산지에 따라 청자, 백자, 분청사기, 유약과 색깔 등 찻그릇으로 구별
  하기위한 조건이 수십가지나 된다. 한 중 일 동양 삼국 중에 역시 중국과 한국이
  앞서만들고 사용했고 일본은 임진왜란 이후 도공과 다완을 있는대로 수탈해가서
  무사정권이 최고의 가치로 끌어 올려 다도에 중심 기물로 삼았다. 안타깝게도 우
  리 완들의 이름도 그들이 붙여놓은 고려다완, 정호다완, 삼도다완, 분인다완, 견수
  다완, 이라보다완 등으로 불려지고 있어 하루속히 우리 다완의 옛이름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 말차抹茶의 도구 :
개치 : 蓋置 - 솥의 뚜껑을 얹어두는 도구
건수 : 建水 - 차완을 헹군 물을 버리는 그릇
노 : 爐 - 방바닥을 네모나게 파내고 상판床版이나 다다미의 일부를 잘라내어
  만든 취사용이나 난방용으로 불을 피우게 만든 장치
수지 : 水指 - 찻일에 쓰이는 물을 담아두는 그릇
조 : 棗 - 박차薄茶(엷은 우스차)를 넣는 용기
차선 : 茶선 - 말차와 물을 섞어 박차나 농차를 만드는 것(竹製)
차완 : 茶碗 - 차를 마시는데 사용하는 용기(濃茶고이차와 薄茶우스차에 따라 다름)
차입 : 茶入 - 농차의 말차를 넣는 용기
차작 : 茶작 : 차시茶匙 - 말차를 차완으로 옮기는데 사용하는 차숟가락
철부 : 鐵釜 : 물을 끓이는 쇠솥
풍로 : 風爐 - 불 조절이 가능하도록 바람통로가 있어 솥을 거는 火器
* 전차煎茶의 도구:
건수 : 建水 : 탄롱炭籠 - 찻잔 을 씻은 물을 따르는 그릇. 물을 버리는 그릇.
개치 : 蓋置 - 탕병 차병(급수) 등의 뚜껑을 얹어두는 도구
기국 : 器局 - 차도구를 넣어두는 상자
말호 : 末戶 - 중국차 이름
매다 : 매차 : 賣茶 - 차를 파는 것
매다 : 매차 : 買茶 - 차를 사는 것
매우 : 梅雨 - 5월에 내리는 비
매화차 : 梅花茶 - 매화 꽃이나 열매로 만든 대용차
명과 : 茗果 - 차와 과일
명구 : 茗瓯 - 차를 마시는 사발
명구인 : 鳴蚯蚓 - 차 달일 때 나는 지렁이 소리
명다 : 명차 : 茗茶 - 차를 일컬음
명단 : 茗團 - 둥근 차덩이
명로 : 茗爐 : 茗罏 - 차를 달이는 화로나 풍로
명발 : 茗馞 - 차를 달일 때 일어나는 거품
명배 : 茗盃 : 茗杯 : 茗柸 - 찻그릇
명삼 : 茗葠 - 찻자리에 펴까는 돗자리
명석 ; 茗席 - 차마시며 환담하고 차담을 나누는 자리
명석 : 茗蓆 - 차를 마실 때 앉는 돗자리
명설차 : 茗屑茶 - 일본의 말차
명수배 : 茗水柸 - 작은 찻그릇
명시 : 茗時 - 차를 달이거나 마시는 시간
명아 : 茗芽 - 차싹
명아향 : 茗芽香 - 여린 잎에서 나는 향기
명연 : 茗煙 - 차 달일 때 일어나는 연기
명엽 : 茗葉 - 차나무의 잎
명완 : 茗椀 : 茗盌 : 茗碗 - 찻사발을 표현한 말
명우 : 茗盂 - 찻물 담는 바리 때
명월 : 明越 - 중국차 이름
명음 : 茗飮 - 마실거리로서의 차
명자 : 茗子 - 중국차의 한 종류
명전 : 茗戰 - 차겨루기. 차 솜씨나 차 종류를 맞추는 겨루기
명정 : 茗鼎 - 세발달린 차솥
명종 : 茗鐘 - 작은 종지 찻잔
명차 : 名茶 - 이름난 좋은차. 유명한 차
명천 : 茗泉 - 찻물로 사용하는 샘. 달여진 차
명향 : 茗香 - 차향. 차의 독특한 향기
명화 : 茗花 - 차를 달일 때 생기는 거품모양
명휴 : 茗畦 - 차밭둑. 차밭의 두둑
모옥 : 모정 : 모재 : 茅屋 : 茅亭 : 茅齋 - 띠풀을 지붕으로 이은 집(초가)
목과차 : 木瓜茶 - 모과를 달여마시는 대용차
몽곽 : 蒙霍 - 어린 차싹으로 만들었다는 뜻의 중국차 이름
몽산차 : 蒙山茶 - 사천성 몽산의 차
몽정차 : 朦頂茶 - 중국 사천성 몽산에서 생산되는 차(몽정록綠, 몽정명茗)
묘편차 : 杳片茶 - 중국차의 한 종류
무이 : 武夷 - 중국 복건성의 차산지(대홍포, 육계, 수선 등)
무처 : 婺處 - 중국차의 한 종류

박측 : 薄側 - 중국차의 한 종류
밤다식 : 栗茶食 - 밤으로 만든 차음식
방명 : 芳茗 - 향기로운 차(芳茶)
배차 : 焙茶 - 차를 불에 쬐는 것
백갑내시차방 : 白甲內侍茶房 - 고려시대 관청 이름
백차 : 柏茶 - 측백차
백옥병 : 白玉甁 - 흰 옥으로 만든 차병
백옥차종 : 白玉茶鐘 - 흰 옥으로 만든 찻잔
백운 : 白雲 - 차를 달이거나 점다할 때 보이는 흰 거품(白花)
백유 : 白乳 - 흰 거품이 뜬 차
백자완 : 白瓷碗 - 흰색 자기 찻사발
백자차호 : 白瓷茶壺 - 희색 도자기로 만든 차항아리
백호차 : 白毫茶 - 잎에 흰털이 나있는 중국차의 하나
백화 : 白花 - 차를 달이거나 점다할 때 보이는 흰 거품
벽계 : 碧溪 - 푸른시내
벽라춘차 : 碧蘿春茶 - 중국 강소성의 동정산에서 생산되는 고급 녹차이름
벽아 : 碧芽 - 푸른 차싹(碧玉芽)
벽완 : 碧椀 - 푸른색 찻그릇
별차담 : 別茶啖 - 따로 베풀어지는 접대용 상차림
별차례 : 別茶禮 - 특별한 일이 생겼을 때 드리는 차례
별사차 : 別賜茶 - 임금 또는 궁중에서 내리는 차
별의차 : 別儀茶 - 따로 베푼 차
병괘화발 : 甁掛火鉢 : 병걸이화로- 소형화로에 재가 들어가 五德을 넣어 그
  위에 솥이나 찻주전자(急須)를 얹는다.
병승상 : 甁承床 - 찻주전자, 차완을 넣는다.
병차 : 餠茶 - 덩이로 만든 차
보산 : 寶山 - 중국차의 한 종류
보이차 : 普洱茶 - 찻잎을 후발효시켜 만든 잎차의 종류로서 긴압해 두고두고
 사용할 수있게 만드는데 明代 중엽부터 마시기 시작했으나 문화혁명 때 모두
 불태우고 차창을 폐쇄해 끊겼다가 70년대들어 수요가 일자 숙차, 숙병이란
 이름으로 급속 발효기법을 개발해 제품을 만들기 시작 지금은 생차와 숙차로
 구별해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복건차 : 福建茶 - 중국 복건성에서 생산되는 차의 이름 (福綠, 福合)
복사 : 복紗 - 차구를 닦거나 깔거나 한다.
봉단 : 鳳團 - 중국 송나라 때부터 생산되는 이름난 단차 (捧茗, 鳳餠)
봉차 : 奉茶 - 찻잔을 받들다.
봉차 : 捧茶 - 차를 받들다.
봉황설 : 鳳凰舌 - 작설차를 미화한 표현
부정 : 鳧鼎 - 솥의 한 종류
부초차 : 釜炒茶 - 비발효차를 만들기 위해 가마솥을 불로 달구어서 찻잎을
  덖는 방식으로 중국에서 비롯되었다.
북원차 : 北苑茶 - 중국차의 한 종류
비명 : 沸茗 - 차를 달임
비색소구 : 翡色小甌 - 청자빛나는 작은 사발
빙천 : 冰泉 - 얼음이 언 샘

사차사 : 謝茶使 - 중국의 관직 중 하나
사미승 : 沙彌僧 - 어린 남자 중
사복정 : 司僕井 - 궁안의 우물 중 하나
산강차 : 山薑茶 - 산생강으로 만든 대용차
산당 : 山堂 - 산속의 집
산동 : 山童 - 산에 사는 아이
산동 : 山同 - 중국차의 한 종류
산명 : 山茗 - 야생 차나무의 잎으로 만든 차
산실 : 山室 - 산 가옥의 방
산옹 : 山翁 - 산속의 노인, 도인, 할아버지
산재 : 山齋 - 산속에 지은 서재
산정 : 山挺 : 산제 : 山提 - 중국차의 이름
산조 : 山竈 - 야외에 만든 부뚜막
산차 : 山茶 - 야산 차나무잎으로 만든 차
산차 : 散茶 - 찻잎을 가공할 때 단차나 떡차와 같이 덩어리로 만들지 않고
  찻잎 하나하나를 그대로 만든 차를 가리킨다.
산처 : 山妻 - 낙향하여 사는 남편이 아내를 이르는 말
산천 : 山泉 - 산속의 우물, 샘
삼귤차 : 蔘橘茶 - 인삼과 귤로 만든 대용차
삼차 : 蔘茶 - 인삼을 달여만든 대용차
삼다례 : 蔘茶禮 - 삼차를 이용한 행다례
삼청차 : 三淸茶 - 잣(松子), 梅花, 佛手를 눈물로 달인 중국 대용차
상차 : 嘗茶 - 차를 맛봄
상차 : 尙茶 - 주례의 내시부 관직이름
상차 : 桑茶 - 뽕잎으로 만든 대용차
상담 : 湘潭 - 중국차의 한 종류
상성 : 商城 - 중국차의 한 종류
상아다반 : 象牙茶盤 - 코끼리 어금니로 장식한 조그만 쟁반
상지차 : 桑枝茶 - 뽕나무 가지로 만든 대용차
생수 : 生水 - 정화한 지하수 물
생일다례 : 生日茶禮 - 생일 을 맞아 축하하기위해 베푸는 다례
생황 : 生黃 - 중국차의 한 종류
서계다례 : 書契茶禮 - 대마도주에게 서계를 전할 때 베푸는 다례

서원조 : 書院造 : 쇼인즈쿠리 - 일본 무사정권인 가마쿠라 바쿠후와 무로마치
  바쿠후 무사들의 차실 건축양식으로서 중국의 서원을 본떠 지은데서 비롯됨
석당 : 石鐺 - 돌로 만든 솥
석대 : 石臺 - 돌로 만들어진 높은 대
석두천 : 石竇泉 - 돌 새암에서 나오는 샘물
석부 : 石釜 - 돌로 만든 솥
석상 : 石床 - 앉도록 만든 널찍한 돌
석요 : 石요 - 돌로 만든 냄비
석유 : 石乳 - 중국차의 한 종류
석정 : 石鼎 - 돌로 만든 세발솥
석조 : 石竈 - 돌로 만든 차나 약을 달이는 부엌
석천 : 石泉 - 돌 가운데서 솟는 샘
선차 : 宣茶 - 차를 준비하여 베품
선차 : 禪茶 - 참선을 하듯 좋은 차
선로 : 仙爐 - 신선이 씀직한 화로
선옹 : 仙翁 - 신선같은 노인, 어른
선재 : 禪齋 - 고요한 집
선장 : 선지 : 선춘 : 선흡 ; 仙掌 : 仙芝 : 先春 : 宣歙 - 중국차의 이름들
선차 : 仙茶 - 신선이 마실만한 차
선화 : 仙花 - 차꽃을 이름
설두천 雪竇泉 - 눈이 녹아 돌 길로 흐르는 샘물
설수 : 雪水 - 눈을 녹인 물
설수차 : 雪水茶 - 눈녹인 물로 달인 차
설액 : 雪液 - 눈처럼 흰 거품이 뜬 찻물
설유차 : 雪乳茶 - 눈같이 하얀 거품이 떠있는 차
설차 : 雪茶 - 눈을 녹여 달인 차
설차 : 屑茶 - 가루형태의 차
설차 : 설다 : 設茶 - 차실이나 제사에서 차를 달여내기 위해 준비하는 일.
성차 : 盛茶 - 완성한 차
성차병 : 盛茶甁 - 차를 담는 병
세차 : 細茶 - 잘 만들어진 고운 차
세차시 : 細茶匙 - 고운 차 뜨는 숟가락
세차아 : 細茶芽 - 아주 작은 차싹
세마 : 洗馬 - 중국차의 한 종류
세명 : 細茗 - 잘 정제된 고운 차
소관 : 小罐 - 작은 다관, 탕관
소구 : 小瓯 - 작은 사발
소권 : 小捲 - 중국차의 한 종류
소노 : 小奴 - 어린 여종
소단룡 : 小團龍 - 작은 용단차
소도 : 素濤 - 차를 달일 때 작은 파도처럼 흰 거품이 일렁이는 모습
소동 : 小童 - 심부름하는 작은 아이
소동파 : 蘇東坡 - 중국 북송대 문학자며 정치가
소로 : 小爐 - 작은 화로
소룡차 : 小龍茶 - 작은 용단차
소룡단 : 小龍團 - 용단차 중에 작은 것
소마 : Soma - 고대 인도의 베다교에서 제사 때 올리는 음료의 이름. 풀잎을
  찧어 짜낸 즙으로 만든 푸른색 음료이다.
소명 : 小茗 - 적은 양의 차
소배 : 小盃 - 작은 잔
소옥 : 小屋 - 작은 집
소적 : 召的 - 중국차의 한 종류
소점 : 小簟 - 작은 삿자리(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
소정 : 小鼎 - 작은 세발 솥
소조 : 小竈 - 작은 차 부엌
소차 : 蘇茶 - 회복시키는 차
소차 : 燒茶 - 차를 끓이다(日)
소차 : 小茶 - 중국의 혼례 때 납폐를 뜻한다.(納幣)
소흥차 : 紹興茶 - 중국차의 한 종류
송라 : 松蘿 - 중국차의 한 종류
송성 : 松聲 - 소나무 잎을 지나는 바람소리 같은 차 달이는 소리
송엽차 : 松葉茶 - 솔잎차
송절차 : 松節茶 - 솔잎을 썰어 만든 대용차
송차 : 松茶 - 솔잎으로 만든 대용차
송풍명 : 松風鳴 - 솔잎을 스치며 나는듯한  찻물 끓는 소리
수랍다과아 : 粹鑞茶鍋兒 - 수랍으로 만들어진 작은 차손
수랍중명완 : 수랍중명완 - 수랍으로 만들어진 중간크기의 찻사발
수액 : 水厄 - 진대 왕몽이 차를 매우 좋아하여 유래된 차를 너무 많이 마심을
  이름.
수주 : 水注 - 주자의 일본식 명칭. 물을 담아두는 차 도구
수탄 : 獸炭 - 석탄을 가루로 만들어 짐승모양으로 뭉쳐 넣은 것.
승금 : 승설 : 勝金 : 勝雪 - 중국차의 한 종류
분건입 : 盆巾入 - 분건을 넣는 그릇. 분건은 분盆을 닦는 천
시다 : 施茶 - 차를 베풀다.
시차 : 試茶 - 차를 시험하다. 차를 달이다.
시동 : 侍童 - 심부름하는 아이
시명 : 試茗 - 차를 시험하다.
시비 : 侍婢 - 심부름하는 계집종
식이 : 式彞 - 중국차의 한 종류
신다 : 신차 : 晨茶 - 새벽 차
신명 : 新茗 - 새로 만든 차
신무 : 信撫 - 중국차의 한 종류
신수 : 新水 - 새로 떠온 물
신아 : 新芽 - 새로 돋은 차싹
신차 : 新茶 - 새로 제다한 차
신천 : 新泉 - 새샘. 새로 길어온 물
심실 : 深室 - 집안 깊숙한 조용한 방
쌍각용차 : 雙角龍茶 - 쌍방으로 용을 조각한 차
쌍계차 : 경남 하동의 쌍계제다에서 생산된 차
쌍상 : 쌍승 : 雙上 : 雙勝 - 중국차의 한 종류들
아명 : 芽茗 - 어린 차싹으로 만든 차
아종 : 악록 : 악악 : 鴉鐘 : 岳麓 : 岳鄂 - 중국차의 종류들
아차 : 兒茶 - 어린 차싹으로 만든 차
아차 : 芽茶 - 어린 새잎으로 만든 차
암천 : 岩泉 : 巖泉 - 바위 틈에서 솥는 샘
야다 : 야차 : 野茶 - 들이나 산에서 나는 야생차
양로 : 凉爐 - 탄화炭火를 일으키는 도구. 불 밑에 작은 구멍이 있고 바람을 통
  하여 불을 일으키는 곤로. 재질은 백니白泥, 朱泥, 자기제, 철제, 진유제 등
완통 : 碗筒 - 차완을 겹쳐 쌓아 넣는 통형 그릇
조부 : 鳥府 - 탄을 넣는 그릇. 火箸, 우소, 炭割이 붙는다.
차건 : 茶巾 - 차완을 닦는 천
차건입 : 茶巾을 넣는 그릇.
차량 : 茶量 : 茶則 : 茶匙 - 찻잎을 알맞게 차관에 넣는 기물. 재질은 대나무,
나무, 도자기, 금속 등
차심호 : 茶心壺 : 茶壺 - 차잎을 넣는 그릇
차완 : 茶碗 : 명완 : 茗碗
차주 : 茶注 : 급수 : 湯甁 - 재질은 백니, 주니, 백자, 은재 등
차탁 : 茶托 - 차완을 얹는 대. 주석제를 주로하여 박회箔繪를 한 것. 옻칠,
  대나무, 목제 등. 형식은 단정, 간소, 원형이 최상
탕관 : 湯罐 : 탕병 - 끓이는 그릇
탕병대 : 湯甁대 - 화로에서 내려놓은 탕병을 두는 대
화협 : 火협 - 부젓가락
수주 : 水注 - 后手, 上手 2종이 있다.
수주대 : 水注대 : 水指대 - 수주, 수지를 얹는 대
수지 : 水指 - 물을 넣어두는 그릇. 병작이 붙는다.
-<일상의 차에서는 탕비기湯沸器, 급수急須, 차완, 차량, 차심호, 차탁 만
  있으면 아주 가까운 손님의 대접에는 충분하다.>
* 잎차용 다구:
수조 : 水槽 - 물을 떠 놓는 항아리. 주로 도자기, 옹기, 유리
숙우 : 熟盂 - 끓여 뜨거운 찻물을 식혀쓰는 그릇.
차건 : 茶巾 - 다구를 닦는 행주. 주로 면 과 마
차담상 : 茶談床 - 찻잔과 다식을 놓는 상
차로 : 茶爐 - 물을 끓이는 기구. 숯불, 풍로, 전기곤로 등
차반 : 茶盤 - 찻잔 등 다구를 보관 운반할 수 있는 쟁반.
차관 : 茶罐 - 차를 넣고 끓인 물을부어 차를 우려내는 주전자. 주로 도자기
찻상보 : 찻상을 덮는 보자기
차시 : 茶匙 - 차통에서 차를 떠내는데 사용하는 차숟가락. 주로 대나무, 금속
찻잔 : 茶盞 - 작은 잔. 주로 도자기로 다양한 형태와 색깔이 있다.
차탁 : 茶托 : 잔받침 - 찻잔을 받치는 접시. 주로 도자기, 나무, 유기, 칠기, 금속
차통 : 茶桶 : 茶壺 - 사용할 차를 조금 옮겨 담는 통
탕관 : 湯罐 - 찻물을 끓이는 주전자. 주로 금속, 도자기, 유리 등
퇴수기 : 退水器 - 다기를 데운 물이나 차 찌꺼기 등을 담는 그릇. 주로 도자기
<외 다과기, 찻상, 찻장 등이 있다.>
* 말차용 다구:
잎차용 다구 외에 더 필요한 도구
차완 : 茶碗 - 사발 크기의 그릇으로 다양하다.
차선 : 茶선 - 찻잔에 말차를 넣고 데운 물을 부어 젓는 도구. 대나무
차완보 : 차완 받침 보자기
명설 : 茗設 - 가천 : &amp;#27295;&amp;#33608; - 나온지 오래된 쇤찻잎, 곡우 후에 딴차
명전 : 茗戰 - 차 겨루기. 차와 물과 찻그릇의 우열을 가리는 것
명차 : 名茶 - 유명한 차. 이름난 차
명차 : 茗茶 - 찻잎을 사용해 만든 정통차를 말함. 대용차와 구별
매화차 : 梅花茶 - 1766년 중보산림경제(유중림 저), 1815년 규합총서(빙허각 이
씨), 1934년 간편조선요리제법(이석만 저), 1942년 조선요리제법(방신영 저) 등
에서 매화 봉오리를 따서 말려두었다가 여름철에 따뜻한 물에 넣어 꽃도보고
맑은 향도 맡으며 즐길 수 있는 차이다.
맥과차 : 麥顆茶 - 차의 순이 보리(麥) 알갱이(顆)를 닮아서 붙인 차이름. 곡우전
첫물차를 비유한 말
멜라닌 : Melanin - 페놀류가 산화 중합되어 생성된 갈색 또는 흑색의 고분자 색소
맹월 : 孟月 - 사계절이 시작되는 첫 달로 1월, 4월, 7월, 10월을 의미한다.
멸구 먹은 차싹 - 해충 멸구에 해를 입은 새싹. 이 싹으로 홍차나 오룡차를 만들면
특이향을 내 인도나 대만에서 다질링 홍차나 백호 오룡차를 만든 것
명 : 茗 - 늦게 딴 차의 명칭. 본초강목에 茗은 쓴 차이며 그 맛은 달고도 쓰며
약간 찬 기운이 있지만 독은 없다고 했다.
명대 차 : 明代茶 - 1368~1644년의 명나라 태조 朱元璋이 1391년 연고차와 같은
고형차는 백성의 노고를 더할 뿐이므로 엽차 그대로 나라에 진상하도록 한 후
엽차가 숭상되면서 남아있는 茶經의 판본이 대부분 명대에 간행된 것이다.
明代 茶書로는 製茶新譜(전춘년 1500~1547), 煮泉小品(전예형 1530년경) 등
唐代(618~907 고형차를 고급차로 숭상), 宋代(960~1279 연고차를 고급차로),
元代(1279~1368 연고차를 계속고급차로 숭상)
명병 : 銘柄 - 차상품에 붙이는 상표(브랜드)이다. 중국은 역사가 오랜대다 산지
가 넓어 다종 다양한 차의 품명이 있고, 일본도 양질의 차를 생산하는 宇治茶,
本山茶, 川根茶 등이 있다.
명선 : 茗禪 - 2001년 전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된 만생종 차나무 이름(소엽종)
명음 : 茗飮 - 차를 마심.
명일초차 : 明日草茶 - 나리과의 명일초 잎과 뿌리를 섞어 우려마시는 대용차
명전 : 茗戰 : 鬪茶 - 고려때 사원에서 행하던 차를우려 겨루는 풍속
명전차 : 明前茶 - 중국의 淸明節(4월5일경) 전에 만든 차.(민천차-碧라春)
명죽 : 茗粥 - 차죽
명차 : 銘茶 - 우랼 산지의 이름난 좋은 차
모 : 芼 - 풀, 채소
모 : 模 - 본뜨다, 거푸집. 법(法)
모과차 : 목과 : 木瓜 - 모과는 장미과의 낙엽고목이다. 9~10월에 채취해 쓰는데
기침, 천식, 목의 염증, 냉성에 달여마시는 대용차이다.
모문석 : 毛文錫 - 중국 오대십국 시대(10세기 초- 960년)의 전촉 사람. 자는 平珪
하북성 고양 사람. 당대에 14세 진사, 촉에서 한림학사, 예부상서, 판중추원사
겸 문사전대학사, 사도. '茶譜' 한권을 지었다.
모수 : 母樹 - 종자, 삽수, 접수, 줄기, 뿌리 등을 채취하는 우량형질의 수목
모수원 : 母樹園 - 수확 목적이 아닌 우량수목을 생육 관리하는 농원
모차 : 毛茶 - 중국에서 初製 즉 일차공정을 끝낸 차를 말함. 일본의 黃茶에 상당.
2차가공한 것을 精茶 또는 再製茶라 한다. (변차의 모차에는 서로변차용으로서
毛莊茶가, 남로변차용으로 故莊茶가 있고 각기 재제된 복전, 방포 또 강전, 금첨
으로서 팔림
모형 녹차 : 矛形 - 차싹으로 만들어진 형태가 납작하고 창끝과 같다(龍泉玉劍)
목경 : 木莖 - 차잎에 붙은 줄기
목경분리 ; 木莖分離 - 荒茶에서 목경을 제거하여 차의 가치를 높이는 것.
과거에는 茶選이라하여 사람이 골라냈는데 지금은 기계로 정전식 분리기와
색채선별기로 잎과 목경을 나눈다.
목대제 : 木待制 - 병차를 넣고 부수는 데 사용한 항아리처럼 통과 방망이로 된
기구. 차를 부수는 절구와 같은 역할을 한다.
목멱산 : 木覓山 - 서울 남산의 옛이름(동다송에도 나온다)
목본식물 : 木本植物 - 초본식물과 달리 목질조직이 발달한 식물을 말한다.
목오 : 木吾 - 나무방망이
목책철관음차 : 木柵鐵觀音茶 - 타이베이 목책에서 생산되는 청차류의 하나임.
외형은 갈색이 돌며 녹색으로 말려진 구형이고, 우린물은 짙은 황색이다.
몬순 : Monsoon - 인도양 북부에서 볼 수 있는 계절풍. 여름-남서풍, 겨울-북동
풍, 스리랑카는 몬순에 따라 우기와 건기가 생겨 좋은 품질의 홍차를 만드는
우량차 생산시기를 결정한다.
몰식자산 : 沒食子酸 - 폴리페놀 화합물의 하나. 차의 중요성분인 카테킨류의
구성 성분으로 공기 중에서 갈변하고 수렴성이 있다.
몽골차 : 원대 이후 티벳으로부터 라마교와 함께 전파된 것으로 추정.
주로 녹전차와 홍전차를 달여마시는데 우양의 젖이나 버터, 소금, 소다, 볶은
조를 넣기도 한다.
몽산차 : 蒙山茶 : 蒙頂茶 - 중국 四川省의 이남현, 명산현, 노산현의 경계에 있는
몽산 정상의 차나무에서 생사되는 2천년 역사의 명차. 약효가 뛰어나 仙茶라 하
였다. 녹차류- 甘露, 萬春銀針, 玉葉長春, 황차류- 黃芽, 石花 등이 있다.
몽정감로는 일심일엽一芯一葉의 눈아嫩芽를 고온에서 살청-덖음炒-비빔(유념)
-홍烘-정형의 공정으로 만들어 향이 진하고 상쾌하다.
몽정황아는 살청殺靑후-민황悶黃의 공정을 거쳐 만드는데 황금색의 차로 향기
롭고 순해 당나라 때부터 알려졌다.(국사보에 황차 중에서 가장 뛰어난 차라함)
몽하편병서 : 夢霞篇幷序 - 박영보가 꿈이야기를 듣고 초의를 위해 지어준것
묘목 : 苗木 - 식재할 어린나무.
묘벽 : 妙벽 - 오묘한 깨달음
묘아 : 苗牙 - 어린 잎이 돋아나는 것
묘포 : 苗圃 - 어린 묘목을 육성하기 위한 밭. 차는 삽목이 주임으로 삽목상 포장
무기질 : 無機質 : Mineral - 생리작용에 필요한 무기성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아연, 코발트, 망간, 철, 구리, 몰리브덴, 셀렌, 인 등 광물.
차 잎은 칼륨,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다.
무비수아 : 無比壽芽 - 송대 북원에서 만든 공차의 이름
무석호차 : 无錫豪茶 - 중구 강소성 무석시 교외 태호 주변의 구릉지대에서 생산
되는 녹차이다. 외형은 은색 털로 덮여 둥글게 말려 있다. 탕색은 녹색이다.
무이산 대홍포차 : 武夷山 大紅抱茶 - 중국 복건성 강서성에 접한 숭안현의 산.
36개의 봉, 99개의 기암 바위사이 九曲溪가 흐르는 명산 경승으로 여기 바위에서
생산되는 차를 무이암차라 부른다. 무이산 대홍포는 청차(오룡차)의 하나로서
무이암차 중의 으뜸으로 절벽에 네그루 정도가 남아 있다. 독특한 향이 진하다.
청대부터 알려져 무이암차를 북암차, 안계철관음차를 남암차라고 한다.
무차 : 無茶 - 일본에서 난폭하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로 다도의 마음이 없음에
서 나온 말.
무차고차 : 無茶苦茶 - 일본에서 무질서하다는 의미로 쓰는 말.
묵록 : 墨綠 - 짙은 어두운 녹색에 광택이 난다. 춘차의 중국 녹차. 가마솥에 기름
을 너무 많이 발라 비롯된 현상(관능평가)
묵은 차 : 老茶 - 생산된지 2년 이상된 녹차를 말함
문산포종차 : 文山包種茶 - 15~20% 정도로 낮게 발효시킨 靑茶(오룡차)
차잎은 녹색에 가깝고 황금색의 수색에 향이 강하다.
문정 : 文鼎 - 무늬를 넣어서 짠 다로(각루화문의 솥을 뜻함)
물 : 水 - 서역기西域記에 물의 8가지 덕德 1.가볍고輕 2.맑고淸 3.차고冷 4.연하고
軟 5.맛있고美 6.냄새 없고不臭 7.마실 때 알맞고調適 8.마신후 탈이 없는 것無患
明代 徐獻忠도 수품전질에서 八功德水는 鍾山의 靈谷寺에 있다. 1 맑고 2 차갑고
3 향기롭고 4 부드럽고柔 5 달고 6 깨끗하고 7 목이 메지않고 8 숙병을 제거除病
물끓이기와 식히기 : 찻물은 끓여서 익힌 물을 차류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온도로
식혀서 사용한다. 고급 우전녹차는 60~70도C, 보통 녹차는 70~80도C, 하급 발효
차는 90~100도C로 우려 마신다.
물 주전자 : 물을 끓이는 주전자. 예전은 화로나 풍로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전기
포트나 곤로를 이용해 무쇠나, 도자기, 동, 은제 주전자를 주로 사용해 끓인다.
물목기 : 物目記 - 부조扶助하는 물품과 금액의 수량을 기록한 용지
물바가지 : 표자 : 杓子 - 물솥湯鼎에서 湯水를 떠낼 때 쓰는 물바가지.
보통 대나무로 만든다. 표주박을 반쪽 내서 쓰기도 한다.
물식힘그릇 : 귓대사발 - 끓인 물을 식히고, 우린 차의 맛을 일정하게 하기위해
차를 나누는 두가지 기능으로 사용하는 귀대가 달린 사발을 말한다.
물응축 : 녹차를 만들 때 차잎의 비빔 상태의 표현으로 화력, 가압, 환기의 조화가
이루어진 상태를 양호한 물을 말한다.
물 항아리 : 물통 : 唐代 나무로 짠 물통 수방水方 : 明代 도자기로 만든 운둔雲屯 :
청동 물항아리 : 고려청자 물항아리 : 옹기류 물항아리 등 차를 달이는 데 쓸 물을
제우기 위해 담아두는 그릇. 요즘은 뚜껑 있는 도자기류를 많이 사용한다.
미궐 : 薇蕨 - 고비고사리
미디엄 그로운 : Medium grown - 스리랑카의 해발 610~1220m 사이의 중간지대 차
생산지. 고도에 따라 높은 곳은 하이 그로운, 낮은 곳은 로우 그로운으로 나눈다.
미리세틴 : Myricetin - 찻물 색깔에 관여하는 페놀물질의 플라보놀을 말한다.
미삼차 : 尾蔘茶 - 인삼의 가는 뿌리를 달인 대용차.(1943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미세분 : 微細粉 : 이분 : 泥粉 : Dust - 전차煎茶의 끝마무리 때 생기는 가루.
보통 60호 체 그물에서 빠진다. 홍차에서는 더 미세한 크기를 가르킨다.
미얀 : 태국 북부에서 만든 茶
미엥 : Miang - 태국과 라오스에서 만든 발효차. 유산균과 초산균으로 몇달간 발효
시켜 새콤달콤한 특유의 향이나고 씹어먹는 차이다.
미진 : 眉珍 - 茶의 명칭 중 하나
민남수선 : 閔南水仙 - 중국 복건성 영춘, 남안, 선유, 진강 등에서 생산되는 명차
수선 품종 차잎을 쇄청-양청-요청-살청-유념-초홍-복홍과 포유-홍건 과정제조
탕색은 밝은 금황색에 향기는 맑고 높으며 맛은 달고 두텁다. 오래 우러나는 특
징을 가져 1959년부터 수출시작
민북수선 : 閔北水仙 - 중국 복건성 건양시, 건구시, 남평시 등지에서 생산되며
청대부터 만들어진 명차. 봄, 여름, 가을 세계절 모두 생산이 가능하며 수선생
엽을 쇄청-요청-살청-유념-홍건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색은 윤기나는 황
색이고 향은 진하고 난향이 난다. 청대 말 수출량이 500t에 달하였고 주소비국
은 홍콩, 마카오 지구, 동남아, 오세아니아, 미국 등이다.
민황 : 悶黃 - 황차 특유의 찻잎을 쌓아두고 방치하여 발효시키는 과정
밀면모 : 密綿毛 - 차나무 등 식물 각부분 표면에 붙은 솜털을 말한다.
밀성차 : 密城茶 - 밀양부 관아 뒷산 기슭에서 나는 차
밀운용 : 密雲龍 - 송대 건안차 북원공다. 소용단보다 더 정교히 만든 작은 덩이차
밀크 티 : Milk Tea - 우유를 넣은 홍차를 말하는데 데운 우유를 홍차에 넣는 잉글
리쉬 밀크 티와 홍차와 우유를 함께 넣고 끓이는 일본식 로얄밀크 티가 있다.
동미 : 凍味 - 뜨거운 보이차를 마시면 몸이 따뜻해지면서 긴장이 풀리는 그런
느낌이 들지 않는 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