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아 > 차문화자료

본문 바로가기


    차문화자료실    차문화자료

차문화자료

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차인연합회 작성일09-07-08 04:45 조회13,116회 댓글0건

본문

- 차문화 용어 : 아

 (자료 기록 정리 작성 입력 : 全木里)

아가위차 : 아가위나무 열매를 말려 달여마시는 대용차이다. 5월에 꽃이피고
 9~10월에 열매가 붉게익는다. 뇌졸중에 좋다.
아과 : 간아 즉 일창일기 찻잎으로 만든 차떡. 과銙- 네모난 떡차
아로마 : Aroma - 향기. 방향. 식물의 꽃잎, 과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차의 향기
 물질은 생엽 중에 있는데 향기 성분은 600종이 넘는다.
아르기닌 : Arginine - 차에 1~2% 함유된 주요 아미노산의 하나이다. 차의 감칠맛의
 중요한 요인이다.
아린 : 芽鱗 - 새싹의 눈을 싸고 있는 비늘을 말함.

아명 : 芽茗 - 어린 차싹으로 만든 차
아종 : 악록 : 악악 : 鴉鐘 : 岳麓 : 岳鄂 - 중국차의 종류들
아차 : 兒茶 - 어린 차싹으로 만든 차
아차 : 芽茶 - 어린 새잎으로 만든 차
암천 : 岩泉 : 巖泉 - 바위 틈에서 솥는 샘
야다 : 야차 : 野茶 - 들이나 산에서 나는 야생차
야다시 : 夜茶時 - 조선 시대 사헌부의 감찰이 밤중에 모이던 일
야다향 : 野茶香 - 야생차에서 나는 향기
약다 : 약차 : 㵸茶 - 차를 달임. 차를 적심
약로 : 藥爐 : 藥鑪 - 차나 약을 달일 때 쓰이는 화로
약명 : 㵸茗 - 차를 달임
약수성 : 㵸水聲 - 차를 달일 때 나는 소리
양다 : 養茶 - 차나무를 길으는 일
양로 : 凉爐 - 탄화炭火를 일으키는 도구. 불 밑에 작은 구멍이 있고 바람을 통
  하여 불을 일으키는 곤로. 재질은 백니白泥, 朱泥, 자기제, 철제, 진유제 등
양매차 : 楊梅茶 - 소귀나무 열매를 볶아 만든 대용차
양부 : 양수 : 兩府 : 楊樹 - 중국차의 종류들
완통 : 碗筒 - 차완을 겹쳐 쌓아 넣는 통형 그릇
아미노산 : Amino acid - 찻잎 무게의 25% 정도가 식물성 단백질인데 가공하는
 도중에 일부분은 분해되어 아미노산이 된다. 이 아미노산의 50~60%를 차지하는
 것이 테아닌(theanine)으로서 차 맛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찻잎에는 약 20여종이
 들어 있다. 60도C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잘 우러난다.
아삼홍차 : Assam種 - 인도 북동부의 아삼 평원에서 생산된 홍차. 주로 브랜딩용
 원료로 밀크를 첨가하여 많이 마신다. 아삼종 차나무는 높이가 15m정도의 교목
 으로 잎은 길이 12cm, 세로 4cm이상으로 크다. 영하-4도C에서 동해를 입는다.
 잎이 작은 관목의 중국종과 큰 교목의 아삼종과 교배한 아삼잡종이 호평을 받음.
아수 : 芽數 - 육안으로 보는 싹의 수. 정아頂芽와 측아側芽의 수./ 적아수摘芽數
아순 : 잎줄기를 말함
아열대 : 亞熱帶 - 열대와 온대 사이의 지대. 여름에는 고온 겨울에는 영하가 드문
 상록수가 살 수 있는지역을 이르는데 감귤류, 비파, 올리브 등이 상록 과수이다.
아욱차 : 아욱의 씨를 햇볕에 말려 살짝 볶아서 달여 대용차로 이용한다.
아이노 티 : Aino tea - 얼음을 넣어 차게 마시는 차의 총칭인데 일본에서 북아메리카
 로 수출하는 상품명이다.
아이스 티 : Iced tea - 얼음을 넣어서 시원하게 마시는 차, 홍차.
 1904년 미국 세인트 루이스에서 열린 세계박람회에서 인도차를 홍보하던 중 더운
 날씨로 뜨거운 홍차에 호응이 없자 얼음을 가득 채운 컵에 홍차를 부어 아이스티로
 인기를 끌게 되면서 상품화 되었다.
아차 : 芽茶 - 소아와 같은 뜻. 黃芽라고 부르기도 한다. 맛도 상급차에 버금간다.
아파번차 : 阿波番茶 - 일본 도쿠시마현 아파의 산간지에서 여름에 만들어지는
 번차(番茶 질이 낮은 엽차)이다.
아편전쟁 : 阿片戰爭 - 1840~42년 청조가 아편을 금수조치를 할 때부터 영국과
  벌어진 전쟁이다. 중국차의 수입으로 무역수지를 손해본 영국이 아편의 밀수
  출에의해 중국에 유입된 은을 환류 시키려 하여 일어남. 청나라가 패배해 남
  경 조약에서 홍콩을 할애(97년 반환)하게 되고 반식민지화의 길을 열게 된다.
아폽토시스 : Apoptosis : 세포자연사 - 세포가 생리적 조건에서 사멸하는 현상
  이다. 카테킨류가 암세포(위암세포 KATO3)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그
  증식을 억제한다. 위장 이외 장, 표피, 폐, 젖, 전립선암, 백혈병 등 다양한 암세
  포에 효과.
안계철관음차 : 安溪鐵觀音茶 - 중국 복건성 안계에서 생산되는 철관음종의 차
  이다. 청차의 하나인데 북로차의 대표 차이다. 남로차 중의 명품은 무이암차
  이다.
안길백차 : 安吉白茶 - 중국 절강성 안길현에서 생산되는 녹차류다. 찻물은 상쾌
  하고 부드럽다.
안자춘추 : 晏子春秋 -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인 안영의 언행을 기록한 책
안탕모봉 : 雁蕩毛峰 - 중국 절강성 악청현 안탕산에서 생산되는 녹차이름.
안토시안 : Anthocyan - 식물성 색소 중에 적,청, 자색을 말함. 꽃, 잎, 과실
 등에 들어있다. 화청소라 하는데 물에 녹고 산성에서 적색, 중성에서 자색,
 알카리성에서 청색을 띤다. 차잎에도 조금 들어있다.
안화송침 : 安化松針 - 중국 호남성 안화현에서 생산되는 녹차이다. 차모양이
 솔잎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알가 : Argha : 閼伽水 - 범어. 향기로운 차. 불교 의식 때 올리는 맑은 물이나 차.
 산스크리트어 아르가(argha)의 음을 딴 말. 본래 신에게 바치는 공물 그릇을 가
 리킴.
알로에차 : Aloe茶 - 식물성 대용차. 알로에는 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생
  잎을 끓여 식으면 여과하여 마신다. 위염, 위궤양, 당뇨병, 간장병에 좋고, 절상,
  화상에도 쓴다.
알칼리 식품 : Alkaline food - 식품에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철 등의 무기
  질이 인, 염소, 황 등의 무기질보다 많이 들어있는 식품. 채소, 과일, 감자류 등
  이다.
암모니아 식물 : Ammonia plant - 알칼리성 토양에서 잘 자라는 식물.
암차 :  물에 담그는 차
압조법 : 壓條法 - 나무가지를 휘묻어 뿌리가 돋으면 끊어 번식하는 법. 요즘 차
  나무 번식은 삽목법을 많이한다.
액아 : 腋芽 - 측아의 일종으로 엽액(잎겨드랑이)에 형성된 싹을 말함.
야부기다 : 수북藪北 - 차나무 품종이름의 하나. 일본 스기야마(1857~1941)가
  1908년 맹종죽의 개간지에서 차씨를 심어 모수(母樹 어미나무)가 나왔는데
  남쪽의 것을 수남(藪南 야부미나리), 북쪽에 있는 나무를 수북(야부기다)이라
  한 것이다. 보성쪽에 이품종이 많이 심겼다.
야점 : 野點 - 야외에서 자리를 펴고 행하는 차회.
약발효차 : 弱醱酵茶 - 효소발효차의 일종으로 20%이하의 경도발효차이다. 대표
  적인 대만 평림지구의 문산포종차(文山包種茶), 복건성의 백호은침, 백목단,
  수미 등 중국의 白茶는 5~10%, 靑茶는 15~20%, 包種茶는 30~40%를 발효시킨
  차이다. 백차는 흰털이 있는 차잎을 시들기(萎凋)와 건조로 만들고, 청차는 위조
  -요청-초청-유념(비비기)-건조의 공정으로 만든다. 포종차는 차에 꽃향기를 흡착
  시킬 원료로 4월과 9월 두번 만든다.
약선 : 藥膳 - 불로장수를 목적으로 약식동원(藥食同源- 약과 식물을 먹는 것도 근
 원은 하나)의 생각에 기초하여 고안해 낸 식사. 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목적.
약아 : 若芽 : 新芽 : 새싹 - 어린 싹
약용차 : 藥用茶 - 약초차 몸에 이로운 한방차 등 대용차.
약취 : 藥臭 - 약냄새. 잔류농약 등으로 나는 이상한 냄새
약해 : 藥害 - 약물에 의해 차 등 작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저해하는 피해
약효 : 藥效 - 약의 효험. 먹는 약이나 농약의 효과
양분함량 : 養分含量 - 토양이나 식물이 가지고 있는 각종 원소의 양.
양성화 : 兩性花 - 암술과 수술이 한 곳에 함께 있는 꽃.
양수적채 : 兩手摘採 - 두 손으로 차잎따기. 수적법(手摘法 손따기)의 하나.
양액습습청풍자생 : 兩腋習習淸風自生 - 차를 계속 마시면 양쪽 겨드랑이에 맑은
 바람이 저절로 솔솔 일어서 날아오를 것 같다.
어다방 : 御茶房 - 중국 황제에게 차와 약을 올리는 부서
어다선방 : 御茶饍方 - 중국의 차와 음식을 담당하는 궁중부서
어린 : 魚鱗 - 물고기 비늘 같이 생기는 물거품
어목 : 魚目 - 물고기 눈처럼 생기는 물거품
어성초차 : 약모밀차 - 민간약으로 어성초를 달여마시면 체내의 독성물질을 없
  앤다.
어안 : 魚眼 - 물고기 눈처럼 생기는 물거품
어정 : 御井 - 서울 창경궁 안의 우물
어해안 : 漁蟹眼 - 잡은 물고기와 게 눈알 처럼 끓어 생기는 물거품 모양
얼 그레이 : Earl grey - 영국에서 베르가못(bergamot) 향을 첨가해 만든 홍차.
  1830년대 찰스 그레이 백작이 즐긴데서 기인한 것으로 아이스 티에 적합한
  가향차이다.
얼룩조릿대차 : 벼과 식물인 조릿대를 천일 건조해 달여마시는 대용차. 감기예
  방, 위장에, 구내염, 고혈압, 변비, 비만빈혈에 효과가 있다.
얼리 모닝 티 : Early morning tea - 이른 아침 6시쯤 침실에서 잠을 깨우기위해
  마시는 홍차.
엄차 : 醃茶 - 진한 차
엄차 : 淹茶 - 급수急須, 진흙병(토병), 포트, 주전자, 다관 등에 차 잎을 넣고 탕
  을 붓고 우러나는 것을 기다려 차완이나 찻잔에 부어마시는 방법을 말한다.
  다경에 기록됨. 컵에 직접 차 잎을 넣고 열탕을 부어마시는 포음(泡飮)하는 차,
  주전자의 탕에 차 잎을  넣고 차를 내는 촬포(撮泡-차를 달임)라는 방법도 있다.
에구미 : 辛澁味 : 아린맛 - 일본에서 고미와 삽미가 섞인 것 같은 아린 맛. 죽순
  이나 토란줄기 등을 먹을 때의 느낌을 말함. 차의 아린 맛은 수산(약 1%)이나
  카테킨(10~18%)에 의한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에스터류 : Ester - 유기산 또는 유기산과 알코올에서 탈수에 의해 생기는 화합물.
  생체에서는 인산, 황산, 카르본산의 에스터가 있다.
에스테이트 : Estate : 조직농장 - 홍차의 생산형태로 영국, 스리랑카(세이론)에서
  발달되었다. 보통 80ha(200에이커) 이상의 광대한 차원에 생잎의 집합, 제차,
  포장까지를 일관하여 행하는 설비를 갖춘 공장을 가지고 관리자와 노동자가
  생활할 수 있는 여러 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에프터눈 티 : Afternoon tea - 오후 2시~4시쯤 마시는 차. 1840년대 영국에서 시작
 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티타임. 귀족이 즐겨 마셨으며 Tea food로 샌드위
 치, 스콘, 케이크 등을 곁들여 마신다.
에프터 디너 티 : After dinner tea - 저녁식사 후 느긋하게 즐기는 티타임.
에피갈로카테킨 : Epigallocatechin - 갈로카테킨의 입체이성체이다. 차 잎에는
 EGC로서 3~6%, 그 몰식자산과의 EGCG로서 7~13%(건조중량당) 함유되 강한
 항산화와 항암, 항균, 항동맥경화작용도 갖는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 E~ Gallate - 차엽에 들어있는 성분 EGCG로서 카테킨
 류 중에서 가장 많은 7~13% 함유. 강한 항산화작용과 항암, 항균 등 생리활성을
 가진 무색주상결정체로 강한 수렴작용도 있고 gelatin과 함께 침전되지 않는다.
에피카테킨 : Epicatechin - 카테킨의 입체이성체이다. 타닌의 구성성분으로서
 식물체에 널리 존재한다. 4종의 광할이성체가 있다. 차 잎에는 6종, 총량이
 16~33%(건조물 중량당)가 함유되어 있다. 어느 것의 카테킨도 강한 항산화작용
 이 있어 항암, 항균, 항동맥경화작용 등 생물활성을 가진다. 고미를 가진 무색의
 주상결정.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 E~ Gallate - 차 잎에 ECG로서 3~6% 함유된다. 강한 항산
 화성을 나타내 항암, 항균, 항동맥경화작용을 가지는 여러 생리 활성을 가진다.
 무색의 침장결정. 자미가 있고 gelatin과 함께 침전되지 않는다.
엘 에이 아이 : LAI : Leaf Area Index - 잎 면적지수
여노 : 女奴 - 여종. 계집종
여름차 : 夏茶 - 여름철에 채엽한 찻잎으로 만든 차의 총칭.
여산운무차 : 廬山雲霧茶 - 중국 강서성 구강시에서 생산되는 녹차의 이름
여암선차 : 呂巖仙茶 - 중국 복건성 숭안현의 성촌에 맛이 뛰어난 5그루의 차나무
 가 있었는데 이 차나무를 심은 사람이 呂仙이라 붙인 차이름.
여지홍차 : 여枝紅茶 - 중국 광동지역에서 여지열매의 과일향을 넣어만든 홍차로
 양귀비가 즐겨마셨다고 한다.
역치 : 역値 - 미각과 후각 물질에서 맛과 냄새의 강함을 나타내는 수치로 느낄 수
 있는 한계값이다.
역탄 : 역炭 - 상수리나무 숯
연꽃향차 : 蓮花香茶 - 연꽃향을 녹차 등에 흡착시킨 차. 연꽃봉오리속에 차를
  넣어 연향이 스며들게하여 우려마시는 차.
연등회 : 燃燈會 - 고려시대 성행한 불교행사. 겨울의 팔관회八關會와 더불어
 고려의 중요한 연중 행사였다. 팔관회는 왕도王都에서만 행하여졌으나 연등회
 는 전국적으로 거행 되었다. 성종 때 중단되었으나 현종 때 다시 행해졌고, 조선왕조에 와서도 4월 8일에 연등회가 있었다.
열다 : 열차 : 熱茶 - 뜨거운 차
열수 : 熱水 - 뜨거운 물. 더운 물
엽차 : 葉茶 - 잎 형태의  차
영차 : 靈茶 - 좋은 차. 신묘 신령한 맛의 차
영초 : 영모 : 靈草 : 囹毛 - 중국차의 종류들
영표자 : 癭瓢子 - 자루달린 표주박
예단다례 : 禮單茶禮
 
완 : 碗 - 주발, 그릇, 찬잔
완 : 찻잔
원몽 : 圓夢 - 1830년 12월에 지은 4수로 된 신위의 화답시로, 꿈풀이, 해몽의 뜻
원복 : 元服 - 남자가 성년이 되어 처음으로 입는 어른의 의관 혹은 그 의식.
용뇌 : 龍腦 - 용뇌향을 말함. 상록교목인 용뇌나무에서 채취한 무색 투명의 결정체
향료로 훈향薰香, 구강제, 방충제 등 원료로 사용함
용단승설차 : 龍團勝雪茶 - 네모난 단차에 용무늬를 찍어서 붙은 이름 눈보다 희다는
뜻으로 차싹을 비벼 익힌뒤 중심의 은실처럼 흰줄기만 취해 만들어 부른 이름
宋나라 때 1120년에 생산된 차가 700년을 견뎌 고려고탑에서 4덩이가 발견된 차
용정지수 : 龍井之水 - 中 항주에 잇는 우물로 용홍, 용추로 불림. 삼대명천의 하나
晉代 호포천, 옥천, 용추(용정)
용원승설 : 龍園勝雪 - 은선수아로 만든 3cm 정도의 방형 단차이름
유건 : 儒巾 - 혼례, 제례, 수연, 및 의식 행사에서 도포를 입었을 때 갓이나 유건을 씀
아호 : 雅號 - 남자에게는 호 혹은 아호를 지어주고, 여자에게는 당호堂號를 지어줌
이름은 천금처럼 소중하므로 함부로 부르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아호나 당호를 지
어 편하게 부르도록 하였다. 덕망, 학문, 예술 등 이름이 난 사람에게 남이 지어 주
는 수도 있지만 대개 자기가 짓는다.(다산, 추사, 퇴계 등)
아명 - 부모가 지어 호적에 오르지 않은 이름
아침 : 芽針 - 바늘같은 창기槍旗
아취 : 雅趣 - 아담한 정취, 고상하고 운치 있는 취미. 신비롭고 고상한 경지. 서로
찻잔을 주고받음을 말한다.
안영 : 자는 平仲. BC580-500 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 검약을 실천한
사람
약천 : 藥泉 - 차끓일 물을 일컬음
유화 : 乳花 - 떡차를 가루내어 끓일 때 생기는 거품
이름(관명) - 부모가 지어 호적에 올린 이름. 살아있으면 함銜자, 죽으면 휘諱자.
자 : 字 - 부모나 어른이 16세 이상 성인이 되어 관례를 치르면 자를 부여한다.
장가든 성인을 호칭할 때 이름 대신 사용하는 명사
시호 : 諡號 - 나라에서 기여한 공적을 감안 죽은 뒤에 내린다.(충무공 이순신 등)
일성자 : 日成者 - 찻잎을 딴 당일에 만든 차
순구 : 脣口 - 솥전을 지칭
칠유차 : 漆油茶 - 怒江일대에서 고차풍습과 특산물 옻을 융합한 차
아형 녹차 : 芽形 - 가늘고 어린 싹으로 만든 다양한 형태의 차(千島針珍)
안자춘추 : 晏子春秋 -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안영晏婴의 언행을 적은 책.
 유가儒家와 묵가墨家의 사상을 절충하여 절검주의節儉主義를 설명하였다.
알가 : 閼伽 - (범어) 차茶를 말함
애필양 포필음 : 崖必陽 圃必陰 - 반양반음의 야생 차밭이 좋음을 말함
월아형 녹차 : 月牙形 - 초승달처럼 납작한 형태의 차(太湖翠竹)
약엽 : 蒻葉 - 부들 잎, 죽순의 껍질을 뜻한다.
양다 : 養茶 - 차의 신을 잘보존 색향기미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
양매 : 楊梅 - 산 복숭아, 소귀나무 열매
양반차 : 凉拌茶 - 신선한 찻잎을 따서 비빈다음 큰 그릇에 넣고 물, 소금, 고추 등과
함께 담갔다가 먹거나 삭힌 죽순, 개미, 마늘 등을 더 넣어 먹기도 한다. 운남 서부
어원옥아 : 御苑玉芽 - 송대 북원에서 만든 공다의 단차이름
엄차 : 淹茶 - 찻잎을 따서 대나무 시루에 넣고 10분쯤 찐다음 대자리에 펼쳐 10분쯤
비빈 다음 대나무 통에 단단하게 다져넣고 댓잎으로 막아서 10일 정도 지하에 두었
다 먹는다 - 미얀마, 태국 북부지방에서 만든다 이름은 miang, leppet-so
연 불말 : 硏 拂末 - 매 가루털이개
연고 : 硏膏 - 찻잎을 찌고 물을 부어가면서 짓이겨 갈아서 고를 빼고, 틀에 넣어 찍
 어낸 덩이차를 불에 말려 낸 것. 먹을 때 보드라운 가루로 만들어 물에 넣어 격불해
 마시는 차. 송대에 크게 유행-주로 북원의 황실 어다원에서 생산-명대에 생산 중지
연등회 : 燃燈會 - 고려시대 성행한 봄철 불교행사. 겨울의 팔관회八關會와 더불어
 중요한 연중 행사였다. 팔관회는 왕도에서만 행했으나 연등회는 시골 마을에 이르기
 까지 전국적으로 거행되었다.
연배 : 烟焙 - 얕은 불기운으로 말린다는 뜻
연수 : 軟水 : 단물 - 경도가 100이하의 물. 지하수가 연수가 많고 천연수라고 한다.
 찻물로 주로 쓴다.
연유 : 練유 : 이겨서 비비기 - 유념기 끝 마무리 하는 무거운 회전을 말함.
연잎차 : 蓮葉茶 - 연의 어린잎을 열처리하여 차로 만든 것.
연차 : 硏茶 - 차를 갈다. 차 갈기. 익힌 차를 질호박에 넣고, 단단한 잣밤나무柯로 된
 절구공이로 짓이겨 고를 빼는 작업. 말차원료
연차마 : 硏茶磨 - 차를 가는 연모. 고려 때는 신라 때 보다 말차가 성행하였다.
 이규보는 동국이상국집에 돌을 쪼아 둥글게 바퀴를 만들어 수고로이 한 팔로 돌린다
 고 하엿다. 개성에서 발견된 차마는 돌로 만든 풀매와 비슷하다 하였다.
연취 : 煙臭 : 연기내음 - 차에 스며든 연기냄새를 말한다. 연통의 결함으로 생기는데
 정산소종正山小種 같이 송백松柏의 연취가 붙은 홍차가 유럽인들에 인기다. 요즘은
 인위적으로 착향하고 있다.
연화차: 蓮花茶 - 해 뜨기 전에 반쯤 머금은 연꽃을 벌려 細茶 한 줌을 연꽃송이
속에 가득 넣은 후 실이나 삼 껍질로 슬쩍 매어 하룻밤 지난다. 다음 날 아침 꽃송이
를 따서 찻잎을 쏟아부어 建紙로 싸서 불에 쬐어 말린다. 이렇게 여러차례 한다.
엽액 : 葉腋 : 잎겨드랑이 - 줄기와 잎사이
엽전 : 葉전 - 손을 사용한 잎고르기
엽절단 : 잎 끊기
엽진 : 葉振 : 葉打 ; 잎흔들기 - 제일단계의 건조작업이다.
엽차 : 葉茶 - 잎모양이 그대로 있는 차. 분말로 만든 말차와 구별한 말. 차 제품명.
엽차반 : 葉茶飯 - 차잎을 잘게 썰어서  지은 밥과 비벼먹는 차반.
엽축 : 葉軸 - 겹잎의 잎자루
엽타 : 葉打 : 잎두들기기 - 이슬제거, 잎 말리기. 초기의 엽진조작. 葉打機가 있다.
엽형 : 葉形 - 잎 모양
엽흔 : 葉痕 - 잎 자리
영 : 영 - 대바구니, 서너 말 들이의 대광주리(람). 수저의 통, 종다래끼(롱), 작은 농
둥거미(거) 등의 뜻
영남 :嶺南 - 중국 지금의 광동성과 광서동족자치구 일대
영락요 : 永樂窯 : 景德鎭窯 - 중국 명대 永樂年間(1403~1424)의 경덕진요의 호칭
영서선사 : 榮西禪師 - 喫茶養生記를 쓴 일본의 선승(1141~1215). 중국 송나라에서
  유학-차 종자를 가지고 귀국하여 처음으로 일본에 심었다.
영아 : 靈芽 - 가늘고 작은 햇차 잎을 신성하게 부른 것
영아부탁 : 靈芽莩坼 - 차가 발아하기 시작한 것
영양번식 : 營養繁殖 : 무성번식 : 분생번식 - 작물 증식법의 하나. 지초枝梢나 뿌리 등
  생식기관 이외의 부분을 사용하여 증식하는 것. 삽목, 취목取木, 접목 등. 차나무는
  주로 삽목으로 번식한다.
영일 : 永日 - 하루종일
영축 : 贏縮 - 남고 모자람, 옛날 연고를 할 때 붓는 물의 잔 수가 많고 적음이 차에따라 다른 것을 말함.
예취기 : 刈取機 - 농업용 수확기계
오각다 : 烏䇶茶 - 차의 한 종류
오갈피차 : 五加皮茶 - 식물 오갈피의 어린잎과 줄기, 뿌리를 말리고 조제해 마시는
 대용차이다.
오과차 : 五果茶 - 중국의 대용차 중 하나
오구 : 烏甌 - 검은 색 사발
오다 : 熬茶 - 다른 것을 가미해서 끓인 차(옛 라마교 신도들이 절에서 쓴 말)
오대 : 五代 - 唐 말 874년 북중국 평야에서 봉기한 황소의 난을 평정한 884년 이극용
과 패권을 다투던 주온과 아들 주전충이 907년 먼저 세운 나라가 후량-923년 후당-
13년후 후진-947년 후한-951년 후주-그후 960년에 조광윤이 후주를 멸하고 宋을건국
오랜지 페코 : Orange pekoe - Orthodox 제법으로 만든 홍차의 등급구분. 상품명.
 오랜지는 홍차 색깔을 나타내고, 페코는 백호白毫로 어린 싹을 가리킨다.
 홍차의 일정크기를 나타내는 전문용어.
오룡차 : 烏龍茶 : oolong tea - 6대차류 중에 청차의 호칭이다. 홍차와 녹차의 중간
 부분 또는 반발효차(20~70%)를 이른다. 완성된 차의 색깔이 까마귀와 같이 검고
 모양이 용과같이 굽어 붙여진 중국의 특산품이다. 오룡차는 복건성 무이산 암차岩
 茶가 그 기원이다. 무이산은 해발 700여m 36봉 72암으로 여기서 대홍포, 철라한,
 백계관, 수금귀, 기란, 오롱, 매점, 육주 등의 품종이 생산된다. 이러한 반발효차는
 기름기가 많은 요리에 잘 어울린다. 오룡차에는 武吏山 大紅袍茶, 鐵觀音茶, 水仙,
 凍頂烏龍茶, 白毫烏龍, 文山包種茶 등이 있다. 가벼운 발효(산화)의 포종차는 태양
 위조-실내위조-초엽-유념-옥해-건조하고, 발효정도가 높은 오룡차는 태양위조-초엽
 (炒葉)-회연(回軟)-유념-옥해(玉解)-건조한다.
오매차 : 烏梅茶 - 말린 매실로 만든 대용차
오명 : 午茗 - 오후의 차
오미자차 : 여름에 오미자를 물에 우려 마시는 대용차. 1943년 방신영 저 '증보개정
  조선용리제법'에도 기록됨.
오비 : 五沸 - 물을 끓일 때의 마지막 단계
오비명 : 五沸鳴 - 물을 끓일 때 마지막 다녜에서 나는 소리
오소독스제법 : Orthodox 製法 - 전통적인 홍차를 만드는 방법이다. 위조-유념-발효-
 건조의 공정으로 leaf style에서 broken style의 홍차가 된다./ CTC제법에 대한 용어
오자선호 : 午子仙毫 - 중국 섬서성 서향현에서 생산되는 녹차류.
오잔 : 烏盞 - 검정유약으로 구운 천목다완을 말함. 중국 宋代 복건성 건양 建窯에서
 만든 黑盞이 유명하다.
오주연문장전산고 : 五洲衍文長箋散稿 - 1850년 李圭景이 찬술한 책이다. 60권 1400
 여항에 이르는 방대한 책으로 식생활 관계만 400여항에 이른다. 여기에 魚茶食, 枾
 茶食, 種茶法, 도차변증설과 육우의 다경, 구종석의 本草衍義, 晏子春秋, 곽박의 爾雅,
 웅번의 선화북원공다록, 모양의 개다휘초, 나대경의 학림옥로, 김부식의 삼국사기,
 최치원의 계원필경, 손목의 계림유사, 장우신의 전다수기, 모환문의 만보전서 등과
 중국의 이름난 차 책이 열거되어 있다. 그는 북경에서 수입되는 중국차의 등급을
 1. 보이차 2. 백호차 3. 청차 4. 황차 라고 하였다.
오차 : 午茶 - 오후에 마시는 차
오체 : 체두 - 찻잎이 줄기와 붙은 볼록하게 굵은 부분
 좋은 차를 만들 때는 차색을 염려해 제거한다.
오취 : 烏嘴 - 까마귀 부리만하게 돋은 차의 싹을 따서 만든 차를 비유한 말
옥계 : 玉溪 - 맑은 물이 흐르는 시내
옥구 : 玉甌 - 옥으로 만든 사발
옥로 : 玉露 - 차양을 만들어 햇빛을 조절한 새싹으로 만든 고급녹차이다.
옥록차 : 玉綠茶 - 일본에서 만든 녹차로 증제와 부초제로 나눈다. 구부러진 구슬
 모양으로 정형된 녹차이다. 70~80년전 소련에 수출용으로 용곤차라 하였다.
 산지는 사가, 구마모토, 미야자키현 등이다.
옥류 : 玉溜 - 방울방울 옥과같이 떨어지는 물
옥류천 : 玉溜泉 - 옥과 같이 샘솟아 흐르는 물
옥설 : 玉屑 - 구슬 같이 고운 차가루
옥수수차 : 옥수수를 살짝 볶아서 이용하는 대용차이다. 옥수수 수염은 오줌소태에
 좋다.
옥완 : 玉椀 - 옥으로 만든 주발
옥유 : 玉乳 - 옥처럼 곱게 다려진 차
옥정 : 玉井 - 옥처럼 맑은 우물
옥진 : 玉塵 - 눈의 별명
옥진 : 玉津 - 중국차의 한 종류
옥천차 : 玉川茶 - 당대 시인 노동의 아호인 玉川子에 기인한 단어로 노동은 은거
  하며 차를 좋아했고 차시를 읊었다.
옥천사 : 玉泉寺 - (중)호북성의 옥천산에 있는 절. 수隋나라 개국황제 文帝(楊堅)
 12년(592)에 천태종天台宗의 지의 스님이 창건함. 宋代에 선종의 절이 됨
옥해 : 玉解 - 차를 만들다 뭉쳐진 차덩어리를 깨뜨리는 것을 말한다. 청차 제조 때는
 옥해 사분기를 사용한다.
온윤포 : 溫潤泡 - 중국 청차(오룡차류)의 엄차법(淹茶法-차기에 끓인 물을 부어 데우
 고 차를 넣어 열탕을 부어 달인다)을 말한다. 의흥산 뒷손잡이 자사호에 찻잔 4개를
 사발모양의 쟁반에 넣은 것이다.
온조탕 : 溫棗湯 - 씨를 뺀 큰대추를 물에 끓여 낸 즙과 생강즙, 꿀을 고루 섞어 자기
 항아리에 넣고 휘저어 매잔마다 한숟가락 정도를  떠서 끓는 물에 넣어 마신다.
 출전-1766년 유중림 찬 '증보산림경제'
온차 : 溫茶 - 따뜻한 차
온태 : 溫台 - 중국차의 한 종류
옹기 : 甕器 - 진흙만으로 초벌구이를 한 질그릇과 여기에 잿물을 입혀 다시구워 단단
 한 오지그릇의 총칭이다. 상고시대 때부터 사용되어오다 신라에서는 와기전瓦器典
 이란 옹기를 굽는 직제가지 두었다. 조선시대 때는 서울과 지방에 100여명의 옹기장
 을 두었다.
와관 : 瓦罐 - 질그릇 다관
와구 : 瓦甌 - 질그릇 사발
와로 : 瓦爐 - 질그릇으로 만든 화로
와발 : 瓦鉢 - 질그릇으로 만든 바리때
와비 : 일본 다도의 근본이념을 나타낸 말이다. 센리큐(千利休)의 작고 소박한 차실에
 서 차를 대접하고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는 가운데서 구현하고자 한 한적한 정취, 소박
 하고 차분한 멋, 한거 등의 의미를 지닌 말이다.
와상 : 臥床 - 사람이 누울 수 있도록 만든 평상
와정 : 瓦鼎 - 질그릇으로 만든 세발 솥
완 : 碗 - (茶經) 월주(청유)의 것이 상품, 정주의 것은 다음, 무주의 것은 그 다음이다.
 악주의 것이 상등품, 수주와 홍주의 것은 다음, 형주(백유)의 것은 그 다음이다.
완전발효차 : 完全醱酵茶 - 홍차를 말하는데 효소에 의한 산화 즉 발효도가 85~95%
 발효시킨차를 이른다.
완형 흑차, 생차 : 碗形 - 그릇모양의 틀에 넣어 눌러 만든 긴압차. 구형臼形. (타차)
왕동 : 王同 - 중국차의 한 종류
왜차 : 倭茶 - 일본 차를 말함
요차 : 澆茶 - 차를 달이다.
요홍 : 용계 : 용차 : 용봉 : 饒洪 : 龍溪 : 龍茶 : 龍鳳 - 모두 중국 차의 이름들이다.

원기지사 : 圓機之士 - 연자를 말함
원주형 녹차 : 圓珠形 - 진주와 같은 작은 원형 차(平水珠茶, 涌溪火靑)
오행 : 五行 -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
상생 : 相生 -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상극 : 相剋 - 金剋木.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수흔 : 水痕 - 유화가 갈라지는 현상.
오행상관 : 五行相關 -
목木 금金 화火 수水 토土
간肝 폐肺 심心 신腎 비脾
동東 서西 남南 북北 중中
춘春 추秋 하夏 동冬 사계종四季終
안眼 비鼻 설舌 이耳 구口
청靑 백白 적赤 상想흑黑, 황黃
신辛 산酸 고苦 함鹹 감甘
옥절풍 : 玉節風 - 옥제의 부절, 순의 미칭, 고상한 절조
와우 : 瓦盂 - 진흙으로 만든 그릇
외관 : 外觀 : 拜見 - 차품평 심사용어로 겉으로 보기다. 차의 형상, 빛깔 등을 눈으로
 판단하거나 가루나 줄기 등의 섞임 등으로 판정한다.
외배 : 外焙 - 북원의 어다원에서 만든 것을 정배라 하고, 그 이웃의 밖에서 정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것을 말함. 정배보다 질이 떨어짐, 북원의 인접 지역에서 딴
 찻잎으로 만든 것을 천배(淺焙)라 함
요변 : 窯變 - 도자기를 구울 때 유약이나 불꽃의 원인 등으로 예기치 않게 나타난
 변화를 말함.
요청 : 搖靑 - 청차(오룡차류)를 만들 때 실내 위조 사이에 차잎을 진동, 반전, 교반
 하는 것을 말한다.
용계화청 ; 湧溪火淸 - 중국 안휘성 경현에서 생산되는 녹차의 이름이다.
용뇌 : 龍腦 - 보르네오와 수마트라가 원산지인 상록교목인 용뇌수에서 채취한
 향료, 무색투명한 결정체로 향료의 원료, 훈향, 구강제, 방충제 등에 쓴다.
용단 : 용단병 : 龍團 : 龍團餠 - 중국 송대 단차 중에 황제에게 바치던 좋은 차  
용단봉병 : 龍團鳳餠 - 宋代 건안에서 만든 증청단차, 둥근 떡차의 표면에
 용과 봉황의 무늬를 찍은 덩어리차. 그리고 花紋의 도장을 찍고, 용문이 있는 것
 을 용단, 봉문이 있는 것을 봉단이라함. 후에 작게 만든 것을 소용단, 소봉단이라
 해 정위가 처음 만들고 뒤에 채양이 완성함.(龍鳳)
용봉사단 : 龍鳳賜團 - 송의 황제가 하사한 용봉차
용배 : 龍焙 - 용봉차를 만들었던 북원에서 만든 차
 용봉의 거푸집을 설치한 어원에서 만든 차
용보단 : 宋代 떡차 8개의 무게가 한근으로 용뇌향과 같은 향약을 넣고 만든 향차
용수 : 湧水 : 솟아나는 물. 지하에서 용출되어 나오는 물.
용아 : 龍芽 - 용봉차를 만든 차싹
용연향 : 용정아 : 龍涎香 : 龍井芽 - 중구차의 이름들
용원 : 龍園 - 연고차 용단승설. 연고차를 만들던 기관 혹은 장소. 북원을 지칭함
용정군체종 : 龍井群體種 - 중국 절강성에서 생산되는 납작한 모양의 녹차
용정차 : 龍井茶 - 중국 녹차의 대명사. 아주 어린 싹만을 따서 만들기 때문에 제조
 과정이 까다롭다. 처음 덖는 과정에서 최종 제품이 될 때까지 솥 안에서 덖고 비비
 기를 하여 편평한 모양의 차가 되도록 만든다. 용정차의 등급은 차를 따는 시기 외
 에도 산지에 의해서도 구분되는데 사봉용정, 매오용정, 서호용정으로 구분된다.
용천 : 湧泉 - 샘솟는 우물. 찻물을 끓일 때 용솟음 쳐 올라오는 모양
우 : 盂 - 바리 때
우 : 芋 - 토란
우기 : 雨期 - 일년 중 강우가 많은 시기. 홍차의 경우 우기, 건기에 따라 차의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스리랑카의 남서사면의 딘브라는 4~8월, 남동부 우바는 !1~3월이
 우기이다. 남인도는 4~8월, 북인도는 6~10월이 우기이다.
우다 푸셀라와 : Uda Pussellawa - 스리랑카의 홍차 산지이고, 홍차 이름
우마미 : umami : 감칠맛 - 일본의 학술용어. 4원미 즉 감미, 산미, 함미(鹹味 염미)
 고미 외의 맛의 요소를 말함. 차의 감칠맛은 아미노산류에 의한 것이다.
우바 하이랜드 : Uva highlands - 우바차를 생산하는 지역 및 농장. 해발고도 1200m
우바홍차 : Uva 紅茶 - 세계 3대 홍차산지의 하나. 스리랑카 중부 산악지대 우바에서
 생산되는 홍차. 찻물색은 오렌지 계통의 선홍색이고, 향은 꽃향기 박하향풍, 맛은
 기호도 높은 떫은 맛이 자극적으로 강하다. 마루 와타부아레 일대가 유명산지다.
우엽 : 雨葉 - 빛물에 젖은 생찻잎(선엽). 이슬맞은 차싹도 마찬가지로 젖은 찻잎은
 제품 품질이 떨어져 좋지않다.
 
우전감로 : 雨前甘露 - 4월 곡우 전에 처음 올라오는 새순으로 만든 녹차의 이름.
 (주 한국제다 제품명)
우전옥로 : 雨前玉露 - 이른 봄 차나무 위에 차광막을 씌워 재배해 만든 녹차 이름.
 (주 태평양 오설록 제품명)
우전차 : 雨前茶 - 찻잎 따는 시기 즉 곡우(4월 20~21일) 전에 차 잎을 따서 만든차.
우전아 : 雨前芽 - 곡우 전의 차싹
우치차 : 宇治茶 : 우지차 - 일본 경도부 우치시 산성 지역에서 생산되는 차이름.
우후차 : 雨後茶 : 곡우 이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
운간월 : 雲澗月 - 운감차와 월간차를 말한다.
운경 : 운룡 : 운합 : 월단 : 월토 : 運慶 : 雲龍 : 運合 : 月團 : 月兎 - 중국차의 이름
운두우각 : 雲頭雨脚 - 뭉글뭉글 피어오르는 유화를 지칭
운무차 : 雲霧茶 - 높은산과 안개로 맑고 높은 향을 품은 중국 명차의 호칭이다.
 안휘성의 盧山 운무차, 黃山毛峰, 황산운무, 절강성의 華丁 운무차 등
움 : 萌芽 : 맹아 - 새싹
원상 : 園相 - 차나무의 생육상태를 말함. 기상재해, 병충해, 엽색, 엽층, 수세 등
 차원의 상태를 말한다.
원이 : 元李 - 자두
원후차 : 猿후茶 - 중국 절강성의 천태산 과 천목산에서 원숭이로 하여금 벼랑에
 있는 차를 따서 만든차.
월동아 : 越冬芽 - 겨울 월동 중의 싹을 말함.
월주요 : 越州窯 - 중국 宋代 이전 중국도예의 대표. 한대 말기에서 송대 월국을
 중심으로 넓혀진 가마로 송대 청자의 원류이다. 육우도 월주요 차완을 추천하였다.
월출선향 : 月出禪香 - 영암 월출산의 고유 재래종 차나무의 어린 싹만을 따서 만든
 오설록의 수제명차 이름이다.
위조 : 萎凋 - 차의 생엽을 시들게 하는 중국 용어. 식물의 건조로 시들고 마른다.
 홍차 또는 부분발효차 제조공정의 첫 단계로서 향기를 생성시키고 잎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생 찻잎을 시들게 한다. 실내위조(자연위조와 공정위조)와
 일광위조가 있다. 녹차 등 불발효차에는 하지 않는다.
위조향 : 萎凋香 - 차의 생엽을 시들게할 때에 생기는 특수한 향기를 말함. 홍차와
 청차의 제조 때 위조과정은 청엽 알콜류가 현저히 생성된다.
위탁판매 : 委託販賣 - 다른사람에게 일정액의 수수료를 주고 상품 판매를 의뢰하
 는 판매방법의 하나.
윈도우 머신 : window machin - 평탄한 차밭에서 겨울 동해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
 는 송풍기.(한 대당 1 ha 정도면적 사용)
유가다례 : 儒家茶禮 - 고려 말기부터 채택된 朱子家禮에 따른 冠婚喪祭의 다례를
 말한다.(儒敎茶禮) 관례는 15~20세가 된 남자에게 관을 씌우는 의례로 주부가 點茶
 하여 차병을 들고 사당(家廟)의 신위에 차를 따라 올림/ 혼례는 납채와 묘현 때 사당
 에 아뢰는 다례/ 상례는 발인 때 등 영좌에 올렸다/ 제례는 茶로 제례를 행하였다.
 기제사 때 헌다, 명절, 속절, 초하루 보름의 삭망 때 차를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유기농법 : 有機農法 - 농약과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퇴비 등을 이용한 친환경
 농업형태를 말함.
유기재배차 : 有機栽培茶 - 2001년부터 국제적인 유기식품 검사 인증제도에 준거하
 여 인증받은 차를 말함. 화학비료, 농약 사용을 피하는 것을 기준으로 재배한 차.
유념 : 유捻 : 비비기 - 차의 제조공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손이나 기계로 비벼주는
 조작을 말한다. 煎茶, 玉露, 釜炒茶, 靑茶類 등을 만들 때 한다.
유다 : 유차 : 孺茶 - 고려시대 노규선사가 이규보에게 선사한 차의 이름
유당 : 酉堂 - 김노경(金魯敬 1766-1840). 추사 김정희의 부친
유산균차 : 乳酸菌茶 - 유산균 발효차를 말함. 미얀마와 타이의 먹는 차, 중국과 일
 본의 담그는 차 등이 있다. 미얀마의 먹는 차(라페, 소우)가 유산균발효차이고 젖은
 차이며, 마시는 차(라페, 초우)가 가마에 덖는 불발효차이고 마른 차이다. 3~5월 까
 지는 마시는 차를 만들고 장마철 이후에는 먹는 차를 만든다.
유수 : 유手 : 두 손으로 비빔 - 조유기, 중유기의 추축에 붙어있는 유념용 부품.
유수 : 流水 - 흐르는 물
유압 : 柔壓 - 차를 만들 때 찻잎에 가하는 압력.
유액 : 乳液 - 식물의 유세포나 유관속에 있는 백색 또는 황갈색의 젖과 같은 액.
유약 : 釉藥 - 도자기의 강도와 실용성을 위해 표면에 나무 재灰나 석회 등을 사용해
 표면에 용착시킨 엷은 초자질층을 만드는 용액을 말한다. 유약의 종류는 도기유,
 석기유, 자기유 등으로 도기유는 1100도C 내외, 석기유는 1200~1300도, 자기유는
 1300도 내외에서 용해된다. 사용 원료에 따라 장석유, 알칼리유, 석회유, 식염유,
 연유, 아연유 등으로 나누어진다. 외관상태에 따라 백유, 색유, 청자유, 유리유, 흑유,
 투명유, 유탁유, 무광택유, 결정유, 균열유 등으로 나눈다. 최초의 유약은 기원전
 3300년대로 추정되는 고대 이집트의 알칼리유이다. 연유는 중국 하남성 金村의 묘
 (기원전 550~380년)에서 녹갈색 연유호鉛釉壺가 발견됨, 갈색유는 기원전 100년경 중국 前漢 중기부터 나타남, 녹색유는 서기력 전후에 등장해 後漢에서 전성기를 이룬다.
 우리나라에서 저화도 연유가 시유된 예는 충남 부여군 능산리에서 출토된 7세기경의
 녹색유 기대器臺이다. 통일신라시대의 골호骨壺, 기와瓦, 벽돌塼 등 전성기를 맞으나
 곧이은 청자의 발달로 소멸한다.
유엽 : 濡葉 - 비나 이슬로 젖은 잎. 우아雨芽, 노아露芽 라고도 한다.
유원총보 : 類苑叢寶 - 1644년 조선시대 문인 김육金堉의 저서 총 47권 23책 으로
 인본 백과전서이다. 주로 임진왜란 이후 중국의 여러 서적을 참고하여 편찬한 것으로
 차연구의 효시라 할 수 있다. 권37 茶에는 저차일경著茶一經, 진차眞茶, 권다, 수차일
 관受茶一串, 소식차消食茶, 일음백완日飮百椀, 뇌명차雷鳴茶, 선장차僊掌茶 등이 있
 다.
유자차 : 柚子茶 - 1766년 증보산림경제(유중림 찬) 출전-생유자와 배를 채소처럼
 잘게 썰어 꿀물에 넣고 잣을 띄워 마신다. 숙취를 푸는데 좋다.
유재 : 幽齋 - 조용하고 그윽한 서재를 말함
유절 : 유切 - 수유제차에서 중화中火 후의 끝마무리 비비기의 1단계 조작을 말함.
유점 : 油點 - 잎겨드랑이에 붙은 살눈.
유차 : 孺茶 - 고려 때의 土産茶. 전남 송광사에서 松都의 양반들에게 보낸차로 요
 즘의 작설차(早芽茶)를 말함.
유천 : 乳泉 - 종유석에서 나는 샘물을 말하나, 산 바위 사이에서 솟아흐르는 좋은
 샘을 모두 지칭해 쓰기도 한다. 석간수石澗水
육대분류 : 六大分類 - 중국차의 제법에서 주로 색에따른 분류법이다. 찻물의 색깔이
 녹차(불발효차), 황차(후발효차), 백차(부분, 약발효차), 청차(반발효차), 홍차(발효차),
 흑차(후발효차).  7대분류- 花茶를 포함한 분류.
육로산거영 : 六老山居詠 - 1818년 茶山과 수룡袖龍 색성(1777-?), 철경鐵鯨
 응언應彦, 침교枕蛟 법훈法訓, 철선鐵船 혜즙惠楫(1791-1858) 등 5인이 원나라
 승려 석옥 청공(石屋 淸珙 1272-1352)의 山居詩 24수를 차운하여 함께묶은 시집
 36장으로 된 필사본 1책이다.
육묘 : 育苗 - 씨나 삽목에 의한 영양번식 등을 통해 묘목을 기르는 것.
육반차 : 陸班茶 - 중국차의 한 종류
육보차 : 六堡茶 - 1500년 전부터 중국 광서성 장족자치구에서 만든 흑차의 일종.
 제법은 원료가공과 증제의 두 과정으로- 신선한 잎을 볕에 바랜 후에-초청(炒靑
 솥에서 덖어서 살청)-유념-퇴적발효-홍건(紅乾 탄화를 쬐어 건조)의 공정으로
 모차(毛茶 黃茶)를 만들고, 증제는 모차를 증기로 부드럽게하여 긴압하고 자연건
 조 시킨다. 차의 맛은 국곰팡이 냄새가 있고, 오랜 것일수록 고급으로 평가된다.
육안차 : 陸安茶 - 중국 안휘성 육안현에서 생산되는 맛이 좋기로 유명한 차
육우 : 陸羽 - (733-804) 陸子羽 중국다도의 시조. 雅號는 桑苧翁. 竟陵子, 東岡子,
 동원. 자는 홍점鴻漸. 10년이 걸려 780년(建中元年) 차경茶經(上中下)을 완성함.
 茶器에 관한 논설은 唐代의 도기가마를 아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있다.
 760년경 승교연, 안진경 등과 교류 하였고, 후대에 茶神으로 추앙받고 있다.
 그는 얼굴은 못생겼고 말은 더듬었으나 입담이 좋아 말솜씨의 재능이 있었고
 결단럭이 뛰어났다. 그러나 방랑기가 있어 마음만 먹으면 어디든지 갔으며 한번
 약속한 것은 결코 바꾸지 않는 의리의 사람이었다고 한다.
육우경 : 陸羽經 - 육우와 그의 저술 다경을 말함
육우정 : 陸羽鼎 - 육우와 차딸이는 솥
육우천 : 陸羽泉 - 육우와 찻물 길을 샘
육자 : 陸子 - 육우를 뜻한다. (예: 공자, 맹자,장자, 노자, 묵자)
육정 : 六情 - 6가지 감정 (희, 노, 애, 락, 애, 오)
육차 : 육다 : 陸茶 - 육우의 차
육청 : 六淸 - 6가지 음료 (물, 미음, 맑은술, 진국술, 감주, 기장술)
 제후의 진수성찬珍羞盛饌에서 향기로운 차가 으뜸으로 불림
율무차 : 율무를 재료로 한 대용차. 벼과의 한해살이 초본인 율무는 이뇨, 건위,
 거친 피부에 좋다. 쌀과 죽을쑤어 매일 한 끼씩 먹으면 주근깨가 없어진다.
율미차 : 栗米茶 - 율무로 만든 대용차
위고비각 : 位高秘閣 - 잔은 항상 잔대위에 있음을 말한다. 비각은 높은 관직
위홍려 : 차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관하는 갈대로 만든 바구니.
으름덩굴차 : 으름덩굴의 열매와 줄기를 차로 이용한다. 열매는 팔월찰八月札,
 목통자木通子, 팔월과八月瓜 등으로 불린다.
은구 : 銀甌  - 은으로 만든 사발
은당 : 銀당 - 은으로 만든 솥. 좋은 솥
은로 : 銀爐 - 좋은 화로. 은으로 장식된 하로  
은록 : 銀綠 - 짙은 녹색의 표면에 은회색의 광택이 보임(관능평가)
은병 :  銀甁 - 은으로 만든 화병
은상 : 銀床 - 은으로 만든 작은 상이나  은으로 장식한 상
은우 : 銀盂 - 은으로 만든 바리때
은장다완 : 銀裝茶椀 - 은으로 장식한 찻사발
은창차 : 銀창茶 - 중국차의 한 종류
은하 : 銀荷 - 은으로 만든 연잎 모양의 작은 쟁반
은합 : 銀盒 - 은으로 만든 합
은행차 : 銀杏茶 - 은행의 열매와 잎을 이용한 대용차.
음다 : 음차 : 飮茶 - 차를 마심
음명 : 飮茗 - 차를 마시다.
음윤 : 陰潤 - 축축한 음습한 날. 이런 날은 보관된 차통을 열지 않는다.
음차 : 飮茶 - 차 마시는 아취. 손님이 적은 것을 귀하게 여긴다. 많으면 시끄럽고,
 시끄러우면 곧 우아하고 아름다운 정취가 부족하게 된다.
음차유복 : 飮茶濡復 - 차를 여유있게 마음놓고 마심. 경남 하동군 쌍계사 진감국사
 의 비문에 나오는 글이다.
음식법 : 1854년 나온 책으로 찬자는 미상이다. 이 책에는 각종 대용차가 음청류에
 들어 있다. 음청류에는 구기자차, 대추차, 결명자차, 모과차, 유자차, 오미자차, 옥
 수수차, 보리차, 좁쌀차, 생강차, 배숙, 복숭아화채 등이다.
음양오행설 : 陰陽五行說 - 천지간의 모든 것은 상반되고 보완하는 이원二元의 것으
 로 음양에 따라 지배되고 있다고 한다. 오행은 만물을 지배하는 요소로서 木,火,土,
 金,水에 귀속시킨다. 예로 인체는 오장五臟(간,심,비,폐,신), 오부五腑(담,소장,위,
 대장,방광), 음식은 오미五味(산酸,고苦,감甘,신辛,함鹹), 오성五性은 (한寒,열熱,
 온溫,량凉,평平) 등과 같은 고대 중원의 세계관을 말한다.
음차 : 飮茶 - 차를 마시는 과정을 말함. 즉 色, 香, 味의 삼묘三妙를 감상하면서 여유
 있게 마시는 것이 좋다. 손님이 적은 것을 귀히 여겼다. 홀로 獨茶하면 신神-신명스
 럽고 그윽하며 속세를 잊은 경지, 둘이면 승勝-좋은 정취와 한적한 경지, 3~4명이면
 취趣-즐겁고 유쾌한 경지, 5~6명을 범泛-평범하고, 7~8명이면 시施-베푸는 음식과
 같아 博愛라 하여 옛사람들은 손님이 많을 때는 차를 내지 않고 부드러운 말로 대접
 하는 것이 상책이라 하였다.
음차기구 : 飮茶器具 - 차를 마시기 위하여 필요한 기구를 말함.
음차재료 : 가루종류, 과일류, 곡류, 약재류, 유류, 해조류 등
음화녹차 : 窨花綠茶 - 말리화차,주란화차, 계화차 등 중국의 재가공 녹차로 꽃의
  향기를 녹차에 스며들게 하여 만든 것이다.
읍례 : 揖禮 - 옛날 남자들이 절(拜禮)을 할 수 없는 상황 즉 야외나 길거리 등에서
 양손을 붙잡고 앞으로 올렸다가 내리며 예의를 표했던 것
응자 : 鷹觜 - 매의 머리에 털 뿔같이 생긴 차모양
응조차 : 鷹爪茶 - 차순이 매발톱 같이 생겨 붙인 차이름. 곡우전에 딴 차
의흥차호 : 宜興茶壺 - 중국 강소성 태호 서부지역 의흥요에서 생산된 차주전자.
 유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약 1200도C의 고온으로 구운 자사紫砂 또는 자니紫泥
 라하는 급수急須(차를 달이는데 쓰는 주전자). 색깔에 따라 홍니紅泥, 이피니梨皮泥
 白泥,  鳥泥, 黃泥, 綠泥 등으로 이름붙여 차인들이 애호하는 의흥의 특산 다기이다.
이 : 飴 - 엿
이번차 : 二番茶 : 두물차 - 일번차 적채摘採 후 45~50일쯤 딴 차로 일번차보다 못하다
이분 : 泥粉 - 60호 그물코를 통과한 미세가루를 말함.
이아 : 爾雅 - 주공周公의 저서. 중국 고대의 유가 경전에 나오는물명物名을 해설한
  13經의 하나로 19권으로 구성된 사전류로 천문, 지리, 음악, 器材, 초목, 鳥獸 등의
  낱말을 해설했다. 주周나라에서 한漢나라까지의 여러 학자가 여러 경서의 주석들
  을 채록한 것이다.
이아주 : 爾雅注 - 동진 때 곽박(276-324)이 지은 책
이어 : 이魚 - 잉어
이원 : 異苑 - 남송 때 유경숙劉敬叔이 지은 괴담집怪談集 10권
이차가공차 : 二次加工茶 - 만든 차를 재가공한 차로 말차, 분말차, 고형차, 긴압차,
 단차, 연차, 현미차, 화차 등을 말함
이차 폴리페놀 : 차잎에 함유된 카테킨류 1차 Polyphenol 이 제조과정에서 변화되어
 생성된 카테킨 중합물을 말한다. 홍차나 청차에 함유된 Thearubidin류, Theaflavin류
 Theacynensine류 등.
이취 : 異臭 - 차 심사용어로 차 본래의 향기가 아닌 냄새. 주로 원인을 모르는 냄새를
 말하고(곰팡이 냄새, 묵은 냄새 등),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약취藥臭, 유취油臭, 연취煙
 臭 등으로 말한다.
이탕기 : 耳湯器 - 물식히는 그릇
이편 : 泥片 - 진흙 조각. 중국차의 이름
인공건조 : 人工乾燥 - 온도, 습도, 바람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건조하는 방법.
 가압건조, 상압건조, 진공건조로 대별되고 분무건조, 포말건조, 진공동결건조 등
인공위조 : 人工萎凋 - 위조탱크 등을 이용 통풍으로 생잎을 시들게하는 방법.
 비가 오는날은 생잎층을 온풍투기透氣 만으로 한다.
인더스트리얼 티 : Industrial Tea - 여행 할 때나 휴게소 등에서 쉽게 마실 수 있도록
 만든 캔, 페트병, 유리병 등에 담아 놓은 차 음료.
인도계 잡종 : 印度系 雜種 - 차나무 종류 중에 Assam 잡종을 말함.
인돌 : Indole - 차의 생잎에 약간 존재하는 중요 향기성분으로 불쾌한 냄새를 가진
 무색 결정체이다. 콜타르, Jasmine 기름, 동물의 배설물 등에 들어있다.
인동덩굴차 : 한방에서 인동덩굴의 잎과 줄기를 말린 것을 인동忍冬 이라 한다.
 인동 꽃을 금은화라 하는데 꽃이피는 5~6월에 꽃봉오리를 따서 그늘에 말리고,
 잎과 줄기는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 말려서 달여마시는 대용차이다.
인두차 : 人頭茶 - 중국 운남성의 긴압차로 모양이 사람 머리와 닮았다하여 붙인 차.
인삼차 : 人蔘茶 - 인삼으로 만든 대용차
인스턴트 : Instant - 물을 가하면 즉시 원래형태로 돌아가는 건조식품에 붙여진
 이차 가공품. 조제, 요리, 음용, 저장성이 좋아 간편식품, 즉석식품으로 통한다.
일강차 : 一綱茶 - 백산차를 말함. 겨울 기침을 가라앉히는데 인삼탕 만큼 효과가
 있다고 했다.
일광위조 : 日光萎凋 -  차의 생잎을 강한 햇볕아래에서 단시간에 시들게 하는 것.
 부분발효차 제조공정에서 주로한다.
일구 : 一甌 - 차를 마시는 사발沙鉢
일명 : 一鳴 - 탕이 끓는 소리
일번차 : 一番茶 : 첫물차 - 월동 후 최초의 새싹을 적채한 초엽으로 만든 차.
일본다도 : 日本茶道 - 일본인은 차를 마시며 심신을 수련하여 인간의 도리를 추구
 하며 꾸밈없고 소박한 와비(草庵)정신을 강조한다. 차문화 정신은 천리휴가 주장한
 선종의 시규인 화경청적和敬淸寂과 리큐칠칙으로 대표된다.
 일본에 차가 전해진 것은 나라시대인 9세기 초로 조선에서 다른 문화와 함께 전래
 된 것으로 본다.
일본차 : 日本茶 - 아파번차阿波番茶, 미마시카번차美作番茶, 쿠로차黑茶, 이시쓰치
 흑차石鎚黑茶, 고이시차碁石茶, 단차磚茶, 카와이번차河合番茶, 카게호시차陰干茶,
 교번차京番茶, 키토번차木頭番茶, 고센지번차高仙寺番茶, 키자와한차木澤寒茶,
 이스케한차足助寒茶, 미야자키번차宮崎番茶, 스루가청차駿河靑茶, 카미야마번차
 上山番茶, 가가와현의 멧돌로 갈아만든 덩어리차, 증제녹차蒸製綠茶, 말차抹茶,
 배초차焙炒茶, 전차煎茶,피복차被覆茶, 옥로玉露, 옥록차玉綠茶, 현미차玄米茶 등
일본전국차생산단체연합회 : 日本全國茶生産團體連合會 - 1970년 도쿄에 설립된
 전국단체. 주요사업은 차생산 계획수립, 생산기술 개선 향상 보급, 정보수집 배포,
 유통개선과 수요확대, 연구회의 개최 등이다.
일본차업중앙회 : 日本茶業中央會 - 일본 민법에 기초하여 만든 공익법인이다. 2차
 세계대전으로 통폐합, 해산 등개조되어 1960년 정관변경 인가받아 1975년 조직개
 정- 전국차생산단체연합회, 전국차상공업협동조합연합회, 일본차수출조합, (사)신
 주쿠차업회의소, (사)교토부차업회의소, 가고시마현차업회의소 등 6개 단체를 가진
 회로 차업의 종합적 개량발전을 꾀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한다.
일본차나무 품종 : 가나야미도리(만생종), 구리다와세(극조생), 사에미도리(중생종),
 야부기다(1953년 육성된 중생종), 후슌(1991년 육성된 내한성이 강한 만생종) 등이다.
일본홍차협회 : 日本紅茶協會 - 1939년 설립~1971년 홍차수입 자유화로 재발족한
 전국단체이다. 업계창구사업, 소비촉진사업, 특별연수, 연구회를 개최한다.
일비 : 一沸 - 다경에 나오는 물의 끓는 첫단계를 말한다. 즉 생선눈과 같이 희미하게
 소리하는 것/ 二沸 - 솥 가장자리에 샘이 용솟음 치듯 거품이 일어나는 것/ 三沸 - 파도
 를 치고 부글부글 끓는 것/ 그 이상은 물이 피로하여 마셔서는 안된다. '일비 때 물을
 그 양에 맞춰 소금으로 맛을 조정한다' 로 되어있다.
일쇄차 : 日晒茶 : 日乾茶 - 햇볕에 쬐어 말린 차.
일전 : 一煎 : 초탕 - 한 잔의 전차. 제일전
일즙일채 : 一汁一菜 - 밥 한 그릇에 국 한 그릇. 즉 초암차사의 간단한 차림을 뜻함
일지암 : 一枝菴 - 초의가 중년(1830년)에 건립하여 만년까지 기거하던 공간
 일지는 唐나라 때 천태산에 살았다는 전설적 은자 寒山詩에서 따온 말이다.
 뱁새는 제몸을 깃들이는데 일지, 즉 나뭇가지 하나면 충분하다. 곧 초의의 욕심없
 는 삶의 자세를 상징하는 이름인 셈이다. 우사芋社, 九蓮寺는 일지암의 다른 명칭
 위치는 두륜산 꼭대기 바로 밑이었다. 당시 주변에는 소나무와 대나무가 무성했다.
 지금의 일지암은 1980년 (사)한국차인연합회가 전회원들의 뜻을모아 복원한 것이다.
일창일기 : 一槍一旗 : 창은 가지, 芯芽. 기는 잎을 말함. 찻잎이 처음 움터나온 여린
  첫잎. 차란 움은 일찍 돋지만 싹은 뒤늦게 튼다.(일기일창, 一芯一葉)
  조금 지나면 두번째 잎(일창이기)과 세번째 잎(일창삼기)이 펴진다.
  (중국 서호 龍井茶의 적채는 특히 중요하다)
일창양기 : 一槍兩旗 - 창모양의 싹 하나와 기모양의 잎 둘의 모양
임원십육지 : 林園十六志 - 1827년 徐有榘구 찬. 113권의 대백과전서이다. 茶에는
 총론과 뇌차, 족미차, 해아향차, 청천백석차, 누영춘, 구기차, 국화차, 강죽차, 강귤차,
 유자차, 포도차, 당귀차, 녹두차, 백엽차 등 요즘의 대용차가 수록되어 있다.
임하필기 : 林下筆記 - 李裕元(1814-1888)의 저술로 우리차와 일본차, 중국차를 기록
 이유원은 고종 10년(1873년) 영의정이됨. 총 39권으로 권 21에 竹田茶, 권 22에 茶詩
 廳에 茶時와 제좌 둘이 있는데 하루에 한번씩 모여서 차시에 차를 마셨다.
입하 : 立夏 - 24절기의 7번째로 곡우 다음 양력 5월 5~6일. 여름이 시작됨을 이르는
 말로 이 때 만든 차를 立夏茶라 한다.
잇꽃차 : 잇꽃은 어혈을 치료하는데 널리 쓰인다. 여기에 복숭아씨를 섞어쓰면 더좋다.
잎눈 : 꽃눈의 대칭어로 발아 후 가지로 자라는 눈. 꽃이 피지 않는 눈.
잎자루 : 잎새를 받치고 줄기에 붙어있는 자루부분.
잎차 : 葉茶 : 엽차 - 파쇄 가루나 뭉치로 만들지 않고 찻잎상태로 유지한 차를 말한다.
잎차형 홍차 : 葉茶型 紅茶 - 티백이나 파쇄형이 아닌 잎 그대로 형태의 정통홍차
 등급-새싹(tip)이 많이 함유될수록 고급품이다. FOP(flowery orange pekoe-일창일기
 의 흰솜털이 있는 새싹이 많은 꽃향기 나는 홍차) OP(orange pekoe-솜털이 있는 일
 창이기의 어린잎으로 만든 것) P(pekeo-세번째 잎으로 만든 것) PS(pekoe souchong
-네 번째의 잎으로 만든 것) S(souchong-다섯 번째 잎으로 만든 것) 로 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