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가~나 > 차문화자료

본문 바로가기


    차문화자료실    차문화자료

차문화자료

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차인연합회 작성일09-07-08 04:45 조회11,534회 댓글0건

본문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가~나

- 1980年 12月 4日 (社)韓國茶人聯合會 제2回 茶文化硏究發表會資料 ~ 2017 계속
  작업(자료 기록 정리 작성 입력 : 全木里)

차 : [명사] 茶 - 차나무의 준말 <문현자료-1번-'차와 다' 설명 참조>
다 : [명사] 茶 - <궁> 숭늉
- 송나라 손목의 계림유사 방언(方言)에서 "고려인은 茶를 차 라고 한다" 라고
  하였으니, 고려인 역시 차를 마셨던 것이다 -(李圭景 1788-1856 의 도차변증설)

가 : 檟 - 차나무, 개오동나무, 차의 맛이 감미로운 것, 쓴차, 두 번째 딴차 고차
    를 의미
도 : 荼 - 씀바귀 도, 처음 딴 차, 육우가 한획을 빼고 차茶자로 만들었다.
명 : 茗 - 늦게 따는 차, 네 번째 딴 차
설 : 蔎 - 향기로울 설, 중국 촉나라 사람들이 차를 설이라 함. 세 번째 딴 차
차 : 茶 - 마실 때 쓰지만 삼키면 단 것, 처음 딴 것을 차라함
천 : 荈 - 차의 맛이 쓴 것, 늦게 딴 차, 다섯 번째 딴 차

가동 : 家僮 - 집안에서 일하는 아이
가례 : 家禮 - 가정의례, 중국 宋代 주희朱熹(朱子)가 지은 예서禮書. 5권과 부록 1권.
  1169년에 삼례 가운데 가정의례에 관한것을 모아 가례라는 책으로 집필한 데서 연
  유된 것으로 朱子家禮로 널리 알려짐. 관冠. 혼婚. 상喪. 제祭에 관한 예법이 기록되
  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 전해졌고, 조선조에 들어와 四禮의 기준으로 정착되
  었다. 禮訟의 원인이 되기도 했지만 , 禮學 발전에 기여하였다.
  1969년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함.
가례의절 : 家禮儀節 : 丘氏儀節 : 丘儀 - 중국 明代 유학자 구준丘濬이 편집한 禮書.
  8권.주자가례를 시행하는 절차와 착용하는 복장 등에 대해 그림을 첨부하여 해설
  해 놓았다.
가루차 : 분말차 粉末茶
가명 : 佳茗 - 좋은 차를 이름
가바차 : GABA Tea :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함량이 많은 차로 혈압상승 억제작용-
  녹차는 잎을 딴 후 쪄서 만드나 가바차는 찌기 전에 공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질
  소나 이산화탄소 기류 중에서 5시간 정도 보존하고 그후 일반방법에 따라 만든다.
가친 : 家親 - 자기 아버지에 대한 옛스러운 표현
각 : 角 - 차의 수량 단위. 고대 곡물을 재는 양의 단위. 五代 한근의 연고차를 일각
  으로 포장
각다 : 각차 : - 고대 중국의 차에관한 국가 전매제도를 지칭(당-송/원-명-청)
각다고 : - 다산의 經世遺表 지관 부공제 속에 들어있다.
  국가에서 차를 專賣하여 그이익을 전유함을 말하는 것으로, 차무역을 제안한 내용
  중국 역대의 차 전매정책을 통해 중국의 차문화사를 살핀 최초의 저작이다.
각다도전운사 : 㰌茶都轉運司 - 원나라 때강주에 설치한 세를 담당한 관청
간아 : 揀芽 - 일창일기의 찻잎(대관다론)
갈근차 : 葛根茶 - 칡뿌리 차
갈화차 : 葛花茶 - 칡꽃 차
감람차 : 橄欖茶 - 감람나무 차. 중국차의 한 종류
감명 : 甘茗 - 맛이 달고 좋은 차
감미 : 甘味 - 단맛
감천수 : 甘泉水 - 달고 좋은 샘물
갑 : 匣 - 산차의 단위 "香茗 8匣을 드리오니...이면흠의 서찰 중)
강 : 綱 - 근본, 벼리, 법, 줄, 끈, 생물 분류상의 계통, 고대 운수화물의 단위 등
  第1綱은 제일 먼저 만들어 보내는 몫을 말함.
강수 : 江水 - 강물
강차 : 薑茶 - 생강차
강복 : 江福 - 중국차의 한 종류
강귤차 : 薑橘茶 - 생강과 귤껍질 차
강발효차 : 强醱酵茶 - 홍차(95%)와 같은 효소발효차를 말함
개권(開捲), 개순(開順), 개승(開勝) : 중국차의 이름들
개수통 : 改水筒 - 退水器, 차를 달이며 나오는 물이나 찌꺼기를 버리는 그릇
개완 : 蓋碗 - 중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뚜껑있는 찻잔. 찻잎을 넣고 온수로 우려
  뚜껑을 조금 연 사이로 따루어 마신다.
건계 : 建溪 - 중국 복건성의 차 명산지(건계용단, 건명차)
걸차 : 乞茶 - 차를 달라
결연과 혈연 : 結緣 血緣 - 결연은 처가로서 피가 섞이지 않았으나, 혈연은 친가
  와 외가로 피가 섞였음을 의미한다
검남 : 劍南 - 중국차의 한 종류
경액 : 瓊液 - 옥액, 차를 귀하게 표현한 것
경진 : 瓊塵 - 옥가루 , 차를 갈아 분말 상태가 된 것
경합 : 慶合 - 중국차의 한 종류
계전수 : 階前水 - 시냇물이나 계곡물을 집안 정원에 흐르게 한 물
계차 : 溪茶 - 시냇가 차나무의 차(계명溪茗)
계화차 : 桂花茶 - 계수나무 꽃차
고려도경 : 高麗圖經 : 宣和奉使高麗圖經 - 중국 宋代 서긍徐兢이 지은 책. 총
  40권.1123년 송나라 사신의 일원으로 고려를 방문한 서긍이 당시의 견문을
  그림과 글로 설명한 것으로, 28개 문門 300여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고명 : 苦茗 : 쓴 차 (苦茶)
고부간과 구부간 : 姑婦間 舅婦間 - 고부간은 시어머니와 며느리, 구부간은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를 일컫는 말이다.
고애자 : 孤哀子 - 부모님 두 분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 상주가 자신을 일컫는 말
고자 : 孤子 - 어머니는 생존해 계시고 아버지만 돌아가셨을 경우 상주가 " " "
고정 : 古井 - 오래된 우물
고재 : 高齋 - 높다랗게 지어진 집
고차 : 苦茶 - 쓴차. 작설雀舌을 말함
곡우전차 : 穀雨前茶 - 곡우 절기 전에 딴 차
공수 : 拱手 - 서서 있을 때 왼손과 오른손을 단전丹田 앞에서 모아 잡는 예법.
  옛 문헌에는 이를 차수叉手 라고 하였다. 남자와 여자가 반대이고, 흉사와
  평상시에도 반대로 한다.
공잔 : 空盞 - 빈잔
공주전차 : 孔州煎茶 - 중국차의 한 종류
공차 : 供茶 -차를 올림
관제 : 官齊 - 관리가 업무를 보거나 거처하는 집
관차 : 官茶 - 나라에서 관리하는 차
관차관 : 官茶官 - 관차를 담당하는 관리
구기차 : 枸杞茶 - 구기자로 만든 대용차
구정 : 舊井 - 오래 된 우물
궤차 : 饋茶 - 차를 보내 올리다.
국차 : 菊茶 - 국화차
균상 : 筠床 - 대나무 평상
균애 : 筠哀 - 중국차의 한 종류
귤피차 : 橘皮茶 - 귤껍질로 만든 차 (귤차)
금개 : 金蓋 - 금 뚜껑
금구다보아 : 金具茶甫兒 - 금빛 보자기
금로아 : 金露牙 - 매우 귀한 차싹
금명 : 金茗 - 중국차의 한 종류
금아 : 金芽 - 좋은 차싹
금완 : 金椀 - 금으로 만든 차완
금은화차 : 金銀花茶 - 금은화로 만든 대용차
금정 : 金井 - 좋은 우물
금정 : 金鼎 - 좋은 솥
금편 : 金片 - 중국차의 한 종류
금화명완 : 錦花茗盌 - 아름다운 꽃이 그려진 차완
금화오잔 : 金花烏盞 - 금색 꽃이 그려진 검은색 잔
기국차 : 杞菊茶 - 구기자, 들국화 참깨 등을 찻잎과 함께 달인 차
기명 : 奇茗 - 좋은 차(奇茶)
기명 : 旗茗 - 차싹
기창 : 旗槍 - 일창 일기의 모양
끽다 : 喫茶 - 차를 마심
순 : 筍 - 차나무에서 새순이 올라와 침과같이 뾰족한 상태의 찻잎. 도톰하고
  윤기 흐르는 충실한 차의 싹
아 : 芽 - 아주 여린 싹, 차나무에서 새순이 올라와 뾰족한 잎이 펴진 상태의
  찻잎 순과 달리 곁가지 중에서 제일 솟은 것
엽 : 葉 - 찻잎이 어느정도 자라 잎으로 변한 찻잎(1槍2旗)
  차는 일찍 따는 것을 가고차佳苦茶(작설). 성질이 약간 차고 독성이 없다.
  일찍 딴 것이 차茶이고 늦게 딴 것이 명茗이다.(1757.6.22 扶風鄕茶譜-황윤
  석) 차를 두고 차茶, 도, 가, 설, 명茗, 천이라 하는데 채취 시기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본디 이것은 초목의 이름이며 음료의 이름이 아니다(정약용-
  아언각비) 차의 오묘함 - 처음 차를 만들 때의 정성과 차를 저장하는 법과
  끓은 물에 차를 우려내는 데에 있다.
차나무 : 품종 구분 -
  교목형 : 喬木型 - 나무 높이가 8m를 넘는 차나무
  소교목형 : 小喬木型 - 높이가 6-7m 정도의 차나무
  관목형 : 灌木型 - 높이가 2m 이내로 줄기가 불분명 하다.
  소엽종 : 小葉種 - 찻잎의 길이가 7cm 이하
  중엽종 : 中葉種 - 찻잋의 길이가 7~10cm 인 것
  대엽종 : 大葉種 - 찻잎의 길이가 10cm 이상인 것
가목 : 嘉木 - 이로운 좋은 나무, 진귀한 나무(茶經)
가수 : 嘉樹 - 같은 뜻 " " (東茶頌)
간다 : 揀茶 - 찻잎을 따서 익히고 난 다음 골라내는 일
감 : 柑 - 귤, 재갈
감과 : &amp;#22377;鍋 - 끓이는 솥. 녹여서 만든 솥
감초 : 甘草 - 차의 별칭. 단풀
강 : 薑 - 생강
강남 : 江南 - 지금의 중국 강소성, 절강성, 복건성, 안휘성, 강서성, 호남성, 귀주성
강염차 : 姜鹽茶 - 차와 소금과 생강을 넣어 만든 차(中 소수민족 차-야오족)
개문칠건사 : 開門七件事 - 옛부터 중국에서 일상에 필요한 7가지를 말한다. 즉 땔나무, 쌀, 기름, 소금, 식초, 장, 차를 말한다.
개여 : 開&amp;#30066; - 차밭 가꾸기. 차밭에 심한 잡초들을 제거하고 거름을 주며 북돋아 주는 등의 일을 통틀어 개여라 한다. 이때 차와 성질이 잘 맞는 오동나무는 둔다
개원 : 開園 - 산골에 사는 사람들이 여름 이전에 처음 따는 차를 개원이라 했다.
갱 : 羹 - 국
거 : &amp;#31589; - 숯광주리
건 : 巾 - 행주, 수건
걸명소 : 乞茗疏 - 다산이 1805년에 아암 혜장에게 차를 보내달라고 부탁하는 편지
검 : 儉 - 겉으로 그 본색을 잘 표현하지 않는 선비 수양의 수단이다. 검약儉約 뜻
격불 : 擊拂 - 연고차를 가루내어 탕수를 붓고 차시로 저어서 거품을 내는 행위 문헌에는 휘종의 '대관다론'이 처음이다. 말차를 넣고 열탕을 부어 차선을 이용해 거품을 내는 행위
견 : 絹 - 비단
경구 : 瓊玖 - 옥맷돌에 갈아 가루내 끓임
경덕진요 : 景德鎭窯 - 중국 唐, 宋代 최대 요업지로 청백자, 청화, 유리홍, 오채 등
다채로운 자기를 구워 대량생산 수출한 명도요지
경도발효 : 輕度발酵 - 효소에 의한 산화가 20%이하의 약발효차를 이름
중국의 白茶나 대만의 包種茶 등
경수 : 硬水 - 센물,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많은 경도 20도 이상의 물
양조용 외 공업용수로는 부적당함
연수 : 軟水 - 단물, 경도 10도 이하의 물. 지하수나 천연수로 차를 달이기 좋다.
경양 : 景暘 - 볕에 말림
경정 : 京鋌 - 남당(943-957 보대) 연간에 만든 증청단차로 송대 초까지 있었고 나중에 용봉차가 생산되면서 경정은 후에 대용단(大龍團)으로 변했다.
계 : 棨 - 장신구의 창이나 송곳(다경)
계 : 桂 : 육계 : 肉桂 - 계수나무의 껍질
계화차 : 桂花茶 - 7-8월에 피는 계수나무 꽃차
계림유사 : 鷄林類事 - 宋代 손목孫穆 저술. 방언조에서 "고려 사람들은 茶를 차라고 일컫는다"고 함
추도 : 錐刀 - 송곳, 작은 칼
춘차 : 春茶 - 한여름부터 딴 차를 말한다.
조춘 : 가을 7-8월에 한번 더 따는 것을 말한다.
고 : 膏 - 찻잎 속에 있는 차의 즙. 찻잎을 고아서 얻은 엉긴 것(茶膏)
고구사 : 苦口師 - 차의 별칭 '입에 쓴 대사'라는 말로 곧 차를 가리킨다.(唐 皮光業)
고금지성 : 鼓琴之聲 - 물이 끓는소리(소이의 십육탕품)
고려도경 : 高麗圖經 - 중국 宋나라 사신 서긍(徐兢 1091-1153)이 1123년 고려를 방문 보고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로 총 46권이다. 원명 '선화봉사고려도경'을 줄인말
고로종 : 膏蘆種 - 운남 대엽종을 말한다.
고미 : 苦味 - 쓴맛
고삽미 : 苦澁味 - 쓰고 떫은맛
고차 : 苦茶 - 쓴차, 일명 雀舌
일찍 따는 것을 茶, 늦게 따는 것을 茗, &amp;#27295;, &amp;#34062;, 茗, &amp;#33608; 등은 채취 시기의 빠르고 늦음을 가지고 이름 붙인다.
고유 : 膏油 - 차에서 생기는 기름, 떡차를 만들 때 압착하고 말리는 과정에서 나온다
고형차 : 固形茶 - 분말하여 굳게만든 것과 잎그대로 굳게 한 차를 총칭
고황 : 枯黃 - 색택이 황색에 광택이 없다(관능평가)
곡우차 : 穀雨茶 - 4월 20일경 곡우 날 만든 차. 곡우전에 만든 차를 雨前茶- 우후차
공차 : 供茶 - 불교 신자가 차를 공양하는 것
공차 : 貢茶 - 대만 버블티. 홍차 우롱차, 녹차 등의 잎차에 우유를 섞은 후 열대식물 뿌리에서 채취한 젤리를 구슬모양으로 만든 타피오카 펄을 넣은 음료다.
공신과 : 貢新&amp;#37529; - 송대 어원에서 만든 연고차의 이름
과반 : 菓盤 - 다과를 담는 그릇
곽산 : &amp;#38669;山 - (중)지금의 안휘성 육안의 곽산현
관동 : 款冬 - 머위
관례차식 : 官禮茶食 - 추석명절 때 찻물에 타서 먹는 월병의 한 종류
광릉기로전 : 廣陵耆老傳 - 광릉은 지금의 강소성 강도현 동북지역. 기로전은 70세이상의 노인들에 대한 기록이다.
곽홍농박 : 郭弘農璞 - 이름은 곽박. (276-324) 이아爾雅에 주注를 달아 유명해짐
관혼상제 : 冠昏喪祭 - 관례,혼례, 상례, 제례 즉 4례라 함. 다만 저녁무렵에 치르던 昏禮가 婚禮로 용어도 바뀌었다.
교상 : 交床 - 솥 놓는 상
교지 : 敎旨 - 4品 이상의 관원에게 주는 사령장辭令狀
구 :  - 사발, 작은합, 바리(발우鉢盂)
구 :  - 부추
구열 : 具列 - 찻장, 진열대
구증구포 : 九蒸九暴- 차의 약성을 좋게하기 위해 9번쪄서 9번 말린다는 말.찻닢을 가마솥에서 덖고 유념시키며 건조하는 과정- 9는 滿數이므로 여러번의 뜻으로 흔히쓴다.(강진 보림사 竹露茶, 靑苔錢 1919년 까지 만듦)
국조오례의 : 國朝五禮儀 - 세종 때 만든 주요 국가적 의례로서, 제사 및 관례와 혼례 등의 의식인 길례吉禮, 경사스러운 의식 즉 왕실의 즉위, 성혼, 책봉 등의 의식인 가례嘉禮, 손님을 맞이하는 빈례賓禮, 군사와 관련된 군례軍禮, 죽은 사람의 시신을 정성스레 매장하는 상례喪禮를 의미한다. 군왕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그 신분에 상응하는 예제에 따르도록 예의 기본을 정립한 조선왕조시대의 대표적인 예서이다.
귤피 : 橘皮 - 귤 껍질
근 : 菫 - 씀바귀
글루코스 : 포도당 : Glucose - 과당과 함께 단맛이 있는 과일에 많이 들어있는 당 혈액 중에는 약 0.1% 들어있다.
금릉 : 金陵 - 전남 강진의 옛이름
금산취아 : 金山翠芽 - 중국 강소성 진강시 금산에서 생산되는 차
금릉 원산차 : 일제강점기에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에서 생산된 최초의 두 제품
급수 : 急須 - 일본에서 차를 끓이는데 쓰는 차 주전자를 말함 전차기의 하나,급미소(急尾燒), 차내기 라고도 한다. 중국 明代에 일본으로 전래됨. 토병(土甁), 약관(藥&amp;#38005;)류, 동기(銅器), 고도자기(古陶磁器), 수주(水注),주주(酒注), 유리, 도기, 자기 등 소재가 다양하다.
기능성 : 機能性 - 우리 몸 안에서 여러가지 작용을 조절하는 생리작용
기문홍차 : 祁門紅茶 - 중국 안휘성 기문에서 생산되는 공부홍차 명품으로, 스리랑카 산의 우바홍차, 인도산의 다즐링과 함께 세계 3대 명차의 하나
기생식물 : 寄生植物 - 딴 생물에 붙어 양분을 먹고 사는 식물
기상 : 起霜 - 녹차의 표면에 은회색의 광택이 보인다(관능평가)
기석차 : 碁石茶 - 일본 고지현의 고전적인 번차(番茶)의 하나, 후발효차의 일종
기일 : 忌日 - 돌아가신 날 즉 제삿날. 忌祭祀, 忌日祭祀, 忌祭日, 命日, 諱日 이라고도
기창 : 旗槍 - 중국 절강성에서 생산되는 녹차(龍井茶)
기호 : 嗜好 -즐기고 좋아하는 것(-식품, 음료 : 차, 커피, 코코아, 청량음료, 술, 담배,탄산음료, 우유류, 과즙, 과육, 알콜음료 등
기화차 : 騎火茶 - 금화(禁火)의 한식 때 3일내에 찻잎을 따서 만든 차
긴압차 : 緊壓茶 - 증압(증압) 하여 단단하게 만든 차로 주산지는 중국의 四川, 雲南,湖南, 湖北, 廣西 등지로서 내몽고를 포함한 변방지대 소수민족이 주로소비하고, 모양은 장방형, 타원형 등이 있고, 원료에 따라서 녹차로 만든 녹전차 홍차로 만든 홍전차, 포종차로 만든 청전차, 흑차로 만든 흑전차 등으로 구분 한다. 220년에 이미 떡차(餠茶) 기록과 唐, 宋代에도 병차가 주류를 이루었다. 장기보존이 가능한 이차는 유목민족에 애용됨.(호남성의 黑&amp;#30938;茶), 운남성의 普&amp;#27953;團茶類, 광서성의 六堡茶, 사천성의 &amp;#27825;茶가 유명하다. 큰 것은 人頭茶, 花卷茶 등이 있다.
길경 : 桔梗 - 도라지
길주 : 吉州 - 지금의 강서성 길안시
길주요 : 吉州窯 - 중국 강서성 길안부 영화진에 있어 永和窯라고 함. 자기 등을 굽다가 南宋代 농갈색의 유약으로 天目茶碗을 생산 일본에서 명품 인정 받음
김네마 차 : Gymnema Tea - 식물성 음료로 당뇨나 식이요법에 쓰인다.
김정희 : 金正喜 - 1786-1856 아호 秋史, 阮堂, 老果 등 100 여개. 이조참판서화에 뛰어나 秋史體 대성. 조선 金石學의 태두. 9년간 제주도 유배생활- 초의와 역관 이상적 등 벗과 제자들로 차와 일생
꽃차 : 花茶 - 꽃이나 차에 꽃을 섞어 넣어 만든 차(말리화차)
끽다 : 喫茶 - 차를 마신다. 차를 내린다.(끽다去, 끽다來)
끽다양생기 : 喫茶養生記 - 일본 최초의 다서, 榮西스님이 1211년경 쓴 茶書. 宋나라 말차법 내용이 &amp;#30938;茶제법과 함께 기록됨. 중국 太平御覽을 모사한 것
백운 옥판차 : 이 두 제품은 잠깐 생산되다 소비자가 없어 계속 이어지지 못했다.이후 1962년 김복순 조태연씨 부부가 화개에서 녹차 상품화의 길을 열지만 실패함
고냉차 : 高冷茶 - 해발 2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된 차
고산차 : 高山茶 - 오룡차에 있어서 고산의 의미는 해발 1000m 이상의 다원에서 딴 차
고산오룔차 : 高山烏龍茶 - 대만의 해발 1000m 이상 운무와 일조량이 적은 고산지역 다원에서 자란 찻잎으로 만든다. 반구형 부분발효차로 맛이 감미롭고 중후하다.甘醇厚重, 여러번 우릴 수 있다. 향은 맑고 순수하다.淡雅淸純, (주요산지-大禹嶺, 福壽山, 杉林溪, 阿里山 등)
자순차 : 紫순茶 - 옛날 차의 異名. 싹이 보라색이라고 이렇게 이름한 것. 石花紫순, 靈芽眞순 이란 표현을 써왔다.
고유 : 苦&amp;#31411; - 그릇이 얇아서 갈라지거나 깨지는 것을 말함.
고차 : 苦茶 - 쓴 차. 봄에 딴 차. 작설. 나무 종류이지 채소의 부류는 아니다
고차 : 陶罐과 쇠솥, 철판 등을 사용해 차를 구울 때 쉬지않고 뒤집고 흔든다. 차가 바삭바삭 해지고 향이나면 끓는 물을부어 마신다. 맛은 쓰다. 운남차는 본래 성질이 무겁고 강하며 맛이 쓴데 고차로 마시면 더욱 쓰다. 차관 안에는 차가 물보다 많다. 고차는 고원지방에 사는 사나이들이 불 주위에 둘러앉아 담소를 나누며 마시는 차이다.- 운남의 라후족, 와족, 리수족, 怒族, 이족, 白族, 苗族 등
고타차 : 송이버섯 모양의 타차를 말함
곡 : 穀 - 낙엽교목으로 닥나무 곡, 닥나무 상(桑)의 뜻
공대 : 차공대
공미 : 貢眉 - 백차의 생산 시기에 따라 붙여진 차의 이름
수미 : 壽眉 - " " " "
곡차 : 穀茶 - 현미, 보리, 옥수수 등 곡류를 가공해 현미차, 보리차, 옥숫차 등으로 우려내 마시는 차
곡우차 : 穀雨茶 - 매년 4월 20일경 곡우날을 중심으로 만든 차로 곡우 전에 잎을 따서 만든차를 雨前茶라 하고, 후에만든 차를 우후차라 한다.
곡화차 : 穀花茶 - 여름 벼꽃 피는 시기에 딴차
골든룰 : Goiden Rules - 홍차를 잘우리기 위한 방법(좋은 차의 선택, 신선한 물 끓임, 차의 양, 우림 시간조절, 다구의 예열, 고른 농도로 따르기 등)
골든링 : Golden Ring - 홍차의 테아플라빈 함량의 다소에 따라 우려진 홍차에 황금색의 테가 생기는 현상
골든칩 : Golden Chip - 황금색의 심아(芯芽)로 만든 홍차로 그 양이 많이 들어갈수록 고급으로 여기고 비싸진다.
공다 : 供茶 - 불교에서 차를 공양하는 것(佛茶供養)
공차 : 貢茶 - 나라에 공물로 바치는 차(당, 송대 부터)
공부차 : 工夫茶 - 중국 복건성 남부, 광동성 남부의 청차(靑茶 울롱차)를 정성을 드려 만든 차
공부차구 : 工夫茶具 - 청차류 전용 다기 세트(찻주전자 急須, 4개의 잔 茶杯, 앞접시 茶船 이 세가지가 기본이다)
관능검사 : 官能檢査 - 해당 검사자격을 갖춘 사람의 감각(시각, 후각, 미각, 촉각)에 의한 다양한 방법으로 차의 품질을 평가하는 검사
광동청차 : 廣東靑茶 - 중국 광동성에서 생산되는 오룡차류(봉황수선, 봉황단총, 광동철관음, 서암철관음 등)
교목 : 喬木 - 차나무 높이가 8m 이상 되는 대엽종으로 운남성의 오래된 차나무들
교반 : &amp;#25605;拌 - 찻잎을 섞는 것
구곡홍매 : 九曲紅梅 - 중국 절강성 항주 서남부 전단강안에서 생산되는 홍차(一紅 또는 구곡오룡이라 함)
구구 : 九區 - 天下. 세상, 옛날 천하를 9등분으로 나눔
구결 : 口訣 - 비법을 전수하는 말
구기자차 : 枸杞子茶 - 구기자 잎과 열매로 만든 차
구방상마 : 九方相馬 - 명차를 잘 감별하는 사람을 뜻한다. 진秦나라 때 구방고九方皐가 천리마를 잘 알아보듯
구비 : 救沸 - 끓는 물을 식히는 것
구화 : 謳和 - 노래로 화답한다는 말
국균발효차 : 麴菌醱酵茶 - 균류 즉 170 여종의 미생물 발효차(중국의 보이차, 육보차,
방포전차, 복전차, 일본의 기석차(바둑돌차), 흑차 등)
국화차 : 菊花茶 - 국화 곷으로 만든 대용차. 간장을 보하고 눈, 머리를 맑게하고 향과 맛이 좋아 여성 차의 대표로 꼽힌다. 만드는 법은 군방보(621), 증보산림경제(1766), 임원심육지(1827), 규합총서(1815), 조선요리제법(1934, 1942),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43)
군산은침 : 群山銀針 - 중국 호남성 악양현 동정호 가운데 섬인 군산지방에서 생산된 황차의 하나로 청대에 황실에 바치던 귀한 차. 원래 녹차를 생산하다 후대 에 황차로 바뀌어 짐. 이차에 더운 물을 부으면 차싹이 곧게 뜨다가 천천히 가라앉아 三起三落(세 번 떳다가 세 번 가라앉는 모양)이라 이름
궁정다례 : 宮廷茶禮 - 궁궐안팎에서 조정규례에 따라 행하여지는 다례 차례는 삭망, 명절, 조상의 생일 등 아침에 차를 올리는 제사 의전이다.
궁중다례 : 宮中茶禮 - 궁 안에서 행하는 조정규례 이외의 다례를 말함.신라 문무왕이 즉위한(661년 3월)뒤 매년 정월 3일과 7일, 5월 단옷날, 8월5일과 보름에 차례지냄.  고려 조정의 茶房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례를 집행 하였다
吉禮- 원자 탄생의 축하의식, 왕세자의 책봉의식, 왕자비의 책봉의식, 공주의 탄생 축하의식, 공주의 혼례에 다례를 집행함.
嘉禮- 명절인 팔관회(음 11.14-15), 연등회(음 2.15), 元正, 동지의 조하의식, 대관전에서의 君臣 연회에 다례
賓禮- 노인의 사연(賜宴)의식, 北朝 사신의 영접의식에 다례
凶禮- 엄중처벌에 대하여 임금께 대답하는 의식인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에 다례가 있었다.조선시대는 다방, 사옹원, 內局의 주방, 봉상사 등의 관아에 의해 집례됨.사신을 맞을 때는 원접다례(의주, 정주, 안주, 평양, 황주, 개경 등에서),태평관에서 친림다례, 인정전에서 접견다례 등 엄격하고 복잡한 절차에 따라 거행됨.
권 : 권 - 나무를 휘어서 만든 바리, 틀
귓대사발 : 귀때사발 : 귀대접 : 熟盂 - 물을 따르기 편리하게 귀대가 달린 사발
규 : 規 - 병차를 찍어내는 규격에 맞는 틀(거푸집). 둥근 그림을 그리는 공구, 원형, 법도, 모의 등의 뜻
규방다례 : 閨房茶禮 - 부녀자가 거처하는 안방에서 행하는 다례
규합총서 : 1815년경 빙허각 이씨 - 조선시대 한글판 가정백과 책이다.茶品조에 宋代 도곡이 지은 천명록(&amp;#33608;茗錄 970년)의 차백희 등 인용됨
다품- 다백희, 계장, 귀계장, 매화차, 포도차, 매실차, 국화차
귤강차 : 橘薑茶 - 귤껍질(귤홍, 홍피)과 생강, 작설차를 함께 달여 걸른 차
귤화차 : 橘花茶 - 귤꽃을 말려 끓인물에 우린 차
그린티 : Green Tea - 발효하지 않은 녹차를 말함
그린티 라떼 : 가루차(말차)와 설탕을 혼합해 데운 우유를 부으면서 잘섞어 만든 차
금당기주 : 琴堂記珠 - 신헌(申櫶 1811-1884)의 신대장군집 권5에 수록된 기록문, 내용의 상당부분이 초의와 다산에 관계된 것들이다.
금법조 : 金法曹 - 연이 정해진 궤도를 이탈하지 않고 제 궤도를 지킨다는 뜻
긴압차 : 緊壓茶 - 돌, 유압기 등을 이용해 일정한 압력을 주어 다양한 모양을 만든 차 四川地方 긴압차
重慶타茶- 雲南 대엽종, 福鼎大白茶 등 녹차로 만든 타차이다 康전茶, 金尖茶 湖南黑茶 花전茶(종전 花卷茶), 100년 역사의 천량차千兩茶1860년경 부터 생산된 茯전茶(特茯, 普茯), 中茶牌복전차, 湘尖茶, 黑전茶 廣西黑茶 六堡茶- 해발 1000-1500m 관목형 중엽종 주류
湖北 靑전茶 - 100년 역사 차 표면에 川자 상표가 새겨짐
安徽 安茶 - 육안차 라고도 한다. 200년 역사, 반발효의 일종, 기문홍차로 유명한
안휘성 祁門이 주생산지 - 동남아 열대시장에서 주로 소비
米전茶 - 홍차 부스러기나 저급 홍차 분말을 눌러 만든 차. 홍전, 화향전 이라고도함. 벽돌모양에 도안은 '牌樓牌', 별과 기차가 그려진 '火車頭牌', '鳳凰牌'가 유명하다.
구형 녹차, 청차 : 球形 - 찻잎의 형태가 공처럼 둥글게 말린 형태(銀球茶, 鐵觀音)
권형 녹차 : 卷形 - 소라의 형태와 같이 말린 녹차. 나형螺形 이라고도 함
나추밀 : 羅樞密 - 비단으로 만든 체를 의인화한 말(羅合)
나형 : 螺形 - 찻잎 외형이 소라와 같이 둥글게 말려있는 모양(洞庭碧螺春)
낙노 : 酪奴 - 육우가 다경에서 품평했던 고급차. 휘종 선화 2년 정가간이 만든차
낙장 : 酪漿 - 소나 염소의 젓
난석토 : 爛石土 - 風化腐爛之石의 준말. 사암이나 석회암 등이 풍화작용으로 푸석푸석한 땅으로 약산성 부식토가 많다. 차나무가 자라기 제일 좋은 땅이다.물빠짐이 좋고 적당한 습도를 오래 유지하고 영양분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난향 : 蘭香 - 난초향 같이 차의 향이 좋은 것을 말한다.
남경우화차 : 南京雨花茶 - 중국 강소성 남경시에서 생산되는 녹차로 그곳 기념탑인 雨花臺에서 유래함
남방의 가목 : 嘉木 - 육우의 다경 권두에 쓰여진 문구로 차의 명사로 가목은 차나무를 말하고, 남방은 江南을 이름이다.
남당 : 南唐 - 937년에 남경을 중심으로 한 금릉에서 이변이 세운 나라.
남방록 : 南方錄 - 일본의 다도를 대성시킨 센리큐의 제자인 난보소케이가 스승을 모시면서 익힌 다도의 소양을 기록한 책. 전9권으로 에도시대 遠州流, 石州流에게 영향끼쳐
납면차 : 蠟面茶 - 宋代 복건성에서 나는 건차를 달이면 찻물위에 녹은 밀랍과 같은 유액상(乳液狀)의 거품이 뜨는 윤기에 따라 붙인 차이름
납전차 : 臘前茶 - 찻닢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이름. 동지 뒤의 세번째 戌日인 臘日 직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를 말함. 조선시대에도 납전차를 땃다.
납후차 : 臘後茶 - 동지 후 납일 직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
역양토 : 역壤土 - 난석이 더 풍화된 사질토. 작은 자갈이 섞여 표토가 깊고 물이 잘 빠진다. 차나무에 두번째 좋은 땅이다.
황토 : 黃土 - 거의 부식이 다 된 토질로 비에 휩쓸려서 평지에 쌓여 일반 농작물 재배에 좋다. 점성이 많아 여러모로 이용 한다. 여기서 자란 차는 하등품으로 친다.
난화형 녹차: 蘭花形 - 난초 줄기처럼 길게 뻗은 상태로 선단이 살짝 휘어진 형태 尖形 녹차라고도 한다(太平후魁)
남차병서 : 南茶幷序 - 1830. 11. 15 금령 박영보(朴永輔 1808-1872)가 지음. 초의와 가장 가까웠던 인물로 벗인 이산중에게서 초의의 떡차를 조금 얻어 맛보고 반해 즉시 붓을들어 일면식도 없던 초의에게 장편의 시를지어 감사의 뜻을 전하고 화답을 청한내용으로, 초의차를 세상에 알린 詩작품 시를 받은 초의도 감격, 친구하자며 '증교'시 두수를 화답했다. 신위도 화답하여 '납차시 병서'를 지어 초의에게 주었다.
납면 : 蠟面 - 증청 단차로 만들 때 향료와 고유를 넣어서 끓인 후에 유화가 납이 엉긴 듯이 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낭청 : 浪靑 - 대만의 청차(오룡차) 제다과정의 요청(搖靑) 방식을 말함
내질 : 內質 - 차의 품질평가에서 찻물의 색깔, 향기, 맛을 가리킨다. 이것과 달리 형상, 광택은 외관이라 한다.
내차 : &amp;#22902;茶 - 버터차, 밀크차. 주로 티베트, 몽골에서 마시는 차로 병차, 단차, 전차류를 끓여 소다, 소금, 버터를 넣어 교반하여 따라 마신다. 또 티베트에서는 밀가루를 이 차로 반죽하여 주식으로 한다.
냉녹차 : 冷綠茶 - 차를 제조할 때찻잎의 수증기에 의한 증제과정 시간을 보통 때보다 길게하여 성분이 찬물에도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만든차
냉장차 : 冷藏茶 - 냉장창고에서 저장한 차. 창고내의 온도를 0-5도C 이내로 보존하면 변질되지 않고 신선한 풍미를 유지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직후에 냉장하여 9월경부터 출하한다.
냉접 : 冷摺 - 차를 가열하지 않고 마찰기로 마찰하여 빛깔을 변화시키는 방법(부초차 釜炒茶, 아프리카 전용 옥록차)
네물차 : 녹차 제조시기에 따라 분류되는 차이름. 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초순까지 만든 차를 말함
노옥천 : 盧玉川 - 이름 노동盧同. 당대 시인. 호는 玉川子
노제 : 路祭 - 발인하여 장지로 가는 도중에 마을 앞이나 고인의 근무처 및 좋아하던 곳에서 간략히 지내는 제사.
노차 : 老茶 - 오래된 차
노차 : 露茶 - 이슬 맞은 차싹
노미차 : 老米茶 - 차가 귀한 곳에서 쌀을 볶아서 대용하는데 이것을 노미차라 한다.
노죽대방 : 老竹大方 - 중국 明代 안휘성 음현에서 생산된 녹차를 말함
노지 : 露地 - 일본 차실의 부속 뜰로 茶庭이라함
노차장 : 老茶壯 - 중국의 차를 파는 오래된 상점
녹수낭 : 鹿水囊 - 물 거르는 자루
녹지삽 : 綠枝揷 - 초여름에 가지를 삽목하여 뿌리를 내리게 하는 것
녹차 : 綠茶 - 불발효차 동백나무과(Theaceae 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 찻잎을 화열로 덖거나(釜炒) 증기로 쪄서 잎속의
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산화를 방지하고 고유의 녹색을 보존시킨 차. green tea
녹차용은 소엽종으로 탄닌 함량이 적은 새로돋은 어린잎을 사용한다.
차는 향과 색을 중요시 한다. 향에는 순향(純香 안팎이 똑같은 향), 청향(淸香 설
지도 너무 익지도 않은향), 난향(蘭香 고루 든향), 진향(眞香 곡우전 차신이 충분
히 갖추어진 향)이 있고, 함향(含香), 누향(漏香), 간향(間香) 등은 하품에 속한다.
색은 맑고 푸르러야 좋고, 황, 흑, 홍, 혼(昏 어둠)은 불합격에 속한다.
맛은 녹차 특유의 향기가 그윽하고 묵직한 느낌을 주며 매끄럽게 삼켜지는 맛-
녹차의 날(한국) : 1981년 5월 25일 진주 촉석루에서 (사)한국차인연합회에서 차의
날로 제정 선포한 날로서 매년 5월 25일을 차의 날 기념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녹차의 날(일본) : 매년 5월 1일 또는 2일(팔팔밤)을 녹차의 날로 제정 캠페인을 통
하여 녹차의 보급을 꾀하고 있다. 또 4/29 푸른 날, 5/5 어린이 날 까지 녹차 주간
으로 하여 각지에서 차 잔치 행사를 한다.
농차 : 濃茶 - 농도를 진하게 죽같이 걸죽하게 타는 차를 말한다. 여러 사람이 돌아
가며 마신다. 말차
농차 : 籠茶 : Basket fired tea - 블랙 퍼스트 티 - 수출용 일본 녹차
뇌소차 : 雷笑茶 - 곡우 전에 딴차를 이르는 조선시대 명칭
뇌원차 : 腦原茶 - 고려 때의 단차로 새로나온 차잎을 쪄서 찧어만든 덩이차
맷돌에 가루를 내 타서 마시는 단차인데 989년-1049년 때의 어용차
팔관회, 연등회 등의 국가행사에 사용함
뇌차 : 중국 호남성 도원현 일대의 차습속
누와라에리야 - 스리랑카 남서부 산악지대의 중심이되는 피서지로 실론 홍차 생산
지의 하나 해발 1800m 고지/ 남동에 우바 서쪽에 덴브라와 고급홍차 산지가 있다.
닐기리 차 : Nilgiri Tea - 인도 남부 산맥의 구릉지에서 생산되는 홍차
떫은 맛이 적고 맛이 깔끔하다. 스리랑카와 비슷한 기후라 실론티와 유사하다.
다검 : 茶鈐 - 차 집게, 차를 굽는데 사용하는 집게로 청죽이나 금, 쇠로 만든다.
다구 : 茶具 - 풍로, 숯 광주리(거), 탄과(숯 깨는 기구), 화협(火箸/부젓가락), 솥,
교상交床, 협(夾집게), 체(합合), 지낭(紙囊종이주머니), 맷돌(연拂末/가루 털개),
칙(則찻숟가락), 네모난 물통(水方), 녹수낭(물 여과자루)
표주박(희표犧瓢나무표주박), 대젓가락(竹夾), 소금단지(차궤게/소금 숟가락),
숙우熟盂, 다완茶碗, 삼태기(분), 솔(찰札), 개수통(척방滌方), 찌꺼기통(재방滓旁),
수건(巾), 차선반(구열具列/진열대), 다기를 담는 모듬 바구니(도람都籃) 등
나합 합 : 羅合 盒 - 체와 합
낙노 : 酪奴 - 차의 별칭
낙차 : 駱茶 - 낙타 등 동물 젖을 발효시킨 음료
남국다 : 南國茶 - 남쪽지방에서 많이 나는 차를 말함
남령 : 南靈 - 양자강의 남령수로 좋은 물로 이름이 남 
납차 : 臘茶 - 섣달차, 맥과차麥顆茶. 상등품의 여린 잎을 골라 곱게 갈아 체에 거른 후 뇌자 등 여러 향유를 섞어 떡 모양으로 찍어내 마르면 향기 나는 기름으로 윤기를 내고 꾸민다(대룡단,소룡단) 공납에 충당하므로 민간에서는 보기 어려웠다. 중국차의 일종 작설차
납차엽 : 臘茶葉 - 좋은 찻잎
납면 : 蠟面 - 중국차의 한 종류
내시다방 : 內侍茶房 - 왕실의 차를 담당하는 부서
내천 : 來泉 - 중국차의 한 종류
냉면초 : 冷面草 - 차를 말한다
냉차 : 冷茶 - 시원한 차
년연법 : 碾硏法 - 차를 갈아 제조하는 법
노군미 : 老君眉 - 중국차의 한 종류
노동 : 盧仝 - 중국 당대의 시인
노미차 : 老米茶 - 볶은 쌀로 만든 차
노비 : 老婢 - 나이 많은 여종
노승 : 老僧 - 나이 많은 중
노차엽 : 老茶葉 - 쇤 찻잎
노차장 : 老茶莊 - 오래된 차상점
노황 : 露黃 - 녹차에서 소량의 노란 잎과 부스러기가 섞여 있다(관능평가)
녹명 : 綠茗 - 녹색 차
녹아 : 綠芽 - 녹색 차싹
녹영 : 綠英 - 중국차의 한 종류
녹운 : 綠雲 - 차를 달이면 일어나는 거품
녹유 : 綠乳 - 차를 지칭한 또다른 표현
녹윤 : 綠潤 - 녹색이 선명하고 광택이 풍부하다(관능평가)
녹차 : 錄茶 - 발효되지 않은 차. 덖거나 쪄서 만든 불발효차
녹취 : 綠翠 - 푸른 비취와 벽옥의 녹색에 선명한 빛이 나는 고급녹차(관능평가)
녹태전 : 綠苔錢 - 우리나라 떡차의 한 종류
녹합 : 祿合 - 중국차의 한 종류
녹황 : 綠黃 - 황색 중심에 약간 녹색을 띤다. 탕색과 엽저의 용어로 쓰임
농명 : 濃茗 - 진한 차
농차 : 濃茶 - 진한차. 죽처럼 된 분말차. 일본 고이차 -큰 찻사발에 가루차를 넣고
  물을 부어 섞어서 여럿이 돌아가면서 마시는 차법. 원래는 중국 당나라 때부터
  유행한 차법이지만, 일본의 가마쿠라 바쿠후와 무로마치 바쿠후 무사들이 특별
  한 형식으로 발전시켜 일본 다도의 핵심이 되었다.
뇌원차 : 腦原茶 - 고려차의 한 종류
눈록 : 嫩綠 - 선명한 녹색에 엷은 황색이 약간 섞인 고급녹차(엽저와 탕색에 사용)
눈명 : 嫩茗 - 어린 잎으로 만들어진 명차
눈엽 : 嫩葉 - 어린 잎
눈예 : 嫩蘂 - 중국차의 한 종류
눈차 : 嫩茶 - 어린잎으로 만든 좋은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