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다 > 차문화자료

본문 바로가기


    차문화자료실    차문화자료

차문화자료

차문화 용어(茶文化 用語) : 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차인연합회 작성일17-07-25 11:54 조회8,936회 댓글0건

본문

[차문화 용어 : 茶文化 用語] 다
 
다가 : 茶歌 - 노동의 차를 읊은 노래와 시
다구도찬 : 茶具圖贊 - 1269년 남송대에 심안노인(審安老人)이 쓴 것. 당시의 연고차 를 마시는데 필요한 다구 12가지를 읜화하여 설명한 작품이다. 심안노인을 원대의 동진경이라 보는 이도 있다. 그의 당호가 심안서실이다.
다가 : 차가 : 茶架 - 차를 얹어놓는 시렁
다각 : 차각 : 茶角 - 차를 우리는 사람. 그일을 맡아보는 사람. 절에서 차담당 승려
다각 : 차각 : 茶殼 - 차를 달인 후 남은 것. 차 찌꺼기
다각 : 차각 : 茶榷 - 정부가 차를 전매품으로 삼음
다갈색 : 茶褐色 - 검은 빛을 띤 적황색
다건 : 차건 : 茶巾 : 茶布 - 차수건. 무명베나 삼베 등으로 만든다
다경 : 차경 : 茶經 : 8세기 중엽 760년경 중국 唐나라  陸羽가 지은 3권의 차서.
  가장 오래된 책으로 차의 모든 것을 집약하고 당대의 차생활도 기록했는데
  상권은 차의 기원, 차를 만드는 법과 도구, 중권은 茶器, 하권은 차를 끓이는
  법과 마시는 법, 생산지와 문헌 등이 기록되어 있다.
  육우는 중국의 茶聖으로 불린다.
다고 : 차고 : 茶庫 - 차를보관하는 창고
다공 : 茶供 - 차를 달여 올림
다공 : 茶功 - 차의 좋은 점, 차의 공덕
다공리 : 茶貢里 - 경남 거제군 연초면의 지명으로 옛날 차를 진상한 곳(땃공리)
다과 : 茶果 - 차와 과일
다과 : 茶菓 - 차를 마실 때 곁들이는 과일이나 과자
다과 : 茶瓜 - 차와 오이, 간단 소박한 대접을 말함
다과 : 茶課 - 차에 세금을 매김
다과기 : 茶果器 - 다과를 덜어먹는 그릇
다과반 : 茶果盤 - 차와 과일 등을 담은 소반
다과상 : 茶菓床 - 차와 다식 과자를 차린 상. 교자상이나 주안상 다음에 내는
  후식상으로 또는 식사대접이 아닐 때 손님에게 차려낸다.계절에 어울리는 떡류,
  조과류, 생과류, 음청류, 더운차 등 각색별 유밀과,유과, 다식, 숙실과, 생실과,
  화채, 차 등을 차린다.
다과회 : 茶果會 - 차와 과자를 마련한 조촐한 모임
다관 : 차관 : 茶館 - 고려시대 외국 사신이 출입하던 다방. 중국에서 상인들간의
  사교장, 점심 후 차를마시는 곳
다관 : 차관 : 茶罐 - 찻주전자. 끓인 물로 차를 넣어 우려내는 다구, 급수急須,
  차주茶注, 주춘注春, 차병茶甁, 차호茶壺 등으로 쓰기도 한다. 만드는 재료에
  따라 청자, 백자, 분청 등 자기류와 은, 놋쇠, 백동, 주석,곱돌 등이 있다.
  손잡이 형태에따라 上把型, 후파형, 횡파형, 寶甁型(손잡이가 없는것) 등이다.
다관 : 茶鑵 - 차를 우려내는 기구
다구 : 차구 : 茶臼 - 차절구. 고려말 유학자 이곡 지은 시 寒松亭 등에 나온다.
  차를 가는 돌확.
다구 : 차구 : 茶具 - 차를 달여마실 때 사용되는 도구 일체를 말함
다구 : 차구 : 茶瓯 - 차를 담아 마시는 사발
다국 : 茶局 - 찻집
다권 : 차권 : 茶券 - 돈대신 차를 바꿀 수 있는 증서
다금 : 茶禁 - 나라에서 차의 사사로운 매매를 금지하는 조치
다기, 물항아리, 탕관, 차관, 식힘사발, 찻잔, 찻잔받침, 차통, 찻술, 개수통, 차쟁반,
  표주박, 행주, 차풍로, 찻상, 상보, 찻장 등
다기 : 차기 : 茶器 - 찻그릇. 차마실 때 사용되는 차도구의 총칭. 차탕을 만들거나
  마시는데 사용하는 그릇 
다기 : 茶旗 - 차의 잎모양을 깃발로 묘사한 것
다기명 : 茶器皿 - 다기. 다기의 뚜껑
다담 : 茶擔 - 고려시대 다담군사가 차를 운반하는 찻짐(왕이 상원일, 연등일,팔관
  회 등에 행차 때)
다담 : 차담 : 茶談 - 차를 마시며 나누는 담소, 덕담, 풍류스런 정담.
다담 : 茶啖 - 관아에서 사신 등을 접대하는 잔치상
다담상 : 茶啖床 - 손님 대접으로 차려내는 교자상. 간단한 음식상
다당 : 茶鐺 - 차 달이는 솥
다당주 : 茶當酒 - 차로써 술을 대신하는 것
다대 : 茶臺 - 차를 올려놓는 대
다도 : 차도 : 茶道 - 차를 마시는 다사를 통하여 심신을 닦는 행위,평범하고
  일상적인 일을 통해 중정을 잃지않는 예법과 군자의 기질, 덕을 기르는 일
  동양 3국 이 모두 사용하고 있다.
다동 : 차동 : 茶僮 - 차 심부름을 하는 아이
다라 : 차라 : 茶羅 - 찻가루를 곱게 내는 채, 차를 거르는 채
다략 : 茶略 - 차나무의 개략(明代 전춘년이 지은 제다신보)
다려 : 茶廬 - 차를 파는 가게(일본)
다렴 : 茶帘 - 가게에 차를 판다고 표시한 주렴
다례 : 차례 : 茶禮 - 음력 초하루, 보름, 명절 등 낮에 차를 올리는 제사.
                              접빈. 손님께 대접하는 의식
다례과반 : 茶禮果盤 - 과일과 과자 등이 차려진 소반
다례연 : 茶禮宴 - 차를 베푸는 연회
다례의 : 茶禮儀 - 다례를 하는 의식
다례지의 : 茶禮之儀 - 다례하는 의식
다로 : 차로 : 茶爐 : 茶鑪- 차를 달이는 화로
다록 : 茶錄 - 차에 대한 기록, 宋代 채양의 저서 이름
다루 : 茶樓 - 차를 마시기 좋게 지은 사방이 트인 건물
다롱 : 茶籠 - 생차를 넣어두는 대나무 바구니
다료 : 茶寮 - 끽차점, 다방, 요리점
다류 : 茶類 - 차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류를 말함
다리 : 茶里 - 차를 생산하는 곳
다리 : 茶利 - 차로 인해 얻는 이익
다림 : 茶林 - 차나무 숲
다매 : 茶梅 - 산차의 별종, 동백나무의 별칭, 차나무는 동백나무과에 속함
다마 : 차마 : 茶磨 - 차 맷돌. 덩이차를 가루 내는데 쓰는 도구.(석전운石轉運)
  고려시대 성행한 말차를 가는데 사용한 맷돌(성종이 손수 차를 갈았다는
  기록)이인로의 시 '승원다마', 이규보가 선물받은 다마, 개경에서 출토된
  다마 등 중국 장강 북쪽에서 나는 청몽석 다마가 유명
다마사 : 茶馬司 - 차와 말의 무역을 담당하는 국가기관
다마자 : 茶馬子 - 차 맷돌
다말 : 차말 : 茶末 - 차를 맷돌 등에 갈아 분말로 만든 것.
다맥 : 茶麥 - 대용차용 보리
다명 : 차명 : 茶茗 - 차를 칭하는 단어
다명 : 茶鳴 - 차를 달일 때 나는 소리
다모 : 차모 : 茶母 - 관비 가운데 차를 담당하는 여인. (영조 때 직분변경)
  다방에 있는 여시중. 관청에서 심부름하는 여자
다몽 : 茶夢 - 꿈속의 차
다무 : 茶霧 - 차를 달일 때 나는 수증기
다미 : 차미 : 茶味 - 차의 맛
다미 : 차미 : 茶糜 - 차죽
다미가 : 茶蘼架 - 차시렁
다반 : 차반 : 茶盤 - 다구를 정돈하여 두는 쟁반, 찻잔을 나르는 쟁반 목재로
  만든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팔각형 등의 모양이 있다. 찻그릇을
  얹는 예반, 혼인 잔치나 생일잔치 때 차려내는 손님 상
다반 : 차반 : 茶槃 - 차를 나르는 쟁반
다반 : 茶飯 - 차를 이용해 지은 밥, 예물로 차린 음식(개차반-행실이 고약한 자)
                    차와 음식
다반사 : 茶飯事 - 밥먹듯 차를 자주마시는 일, 보통의 일, 예사로운 일(恒茶飯)
                           늘 있는 일.
다방 : 차방 : 茶房 - 신라, 고려 궁중에서 차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청(연등회)
 중국은 관부내의 차 달이는 곳을 말함. 찻집, 끽차점, 차를 마시며 쉴수 있는
 영업집, 차를 넣어두는 방.
다방주점 : 茶坊酒店 - 차가게와 술집
다방태의소감 : 茶房太醫少監 - 다방의 한 벼슬 이름
다배 : 茶盃 - 차를 담아 마시는 그릇
다배 : 茶焙 - 차를 말림. 건조기
다백 : 茶帛 - 제사에 올리는 차
다백회 : 茶百會 - 1815년경 규합총서(빙허각 이씨) 설부에 나오는 옥선고, 만감 후, 냉면초, 고구사 등의 차를 끓일 때 변화무상한 차의 변화를 다백회라 부름
다법 : 차법 : 茶法 - 차를 달이는 방법. 나라에서 차를 통제하는 법
다병 : 찻병 : 茶甁 - 주로 자기로 만들어 불에 올려 탕을 끓이는 병. 지금의 탕관.
  차를 넣어 보관하는 병이나 단지.
다병 : 茶餠 - 떡차의 형태를 한 차덩이
다병 : 茶缾 - 차를 달이거나 담는 그릇
다보 : 차보 : 茶譜 - 차의 계보, 모문석毛文錫이 지음, 건주의 北苑茶, 쌍정의
  白芽茶에 대한 기록담음. 송대 채양이 쓴 차 책.
다봉 : 茶捧 - 고려시대 관직 중 하나
다부 : 茶賦 - 조선 성종대 문인 한재 이목(1471-1498) 선생의 1495년 작품. 차
  를 칭송한 글이 없음은 어진이를 버려둠과 같기 때문에 쓴다고 함. 음차생
  활의 에서 얻은 체험을 기술한 것. 차의 오공 육덕 칠효능에 대한 예찬과
  조선 선비의 산문시이다. 김종직 선생의 문하생, 무오사화 때 참형
다분 : 茶粉 - 찻가루
다사 : 차사 : 茶事 - 차에 관한 여러가지 일. (일본의 茶會를 말함)
다사 : 차사 : 茶祀 - 차를 올리는 간소한 제사. 설이나 추석 등의 차례.
다사 : 茶肆 - 차 가게
다산 : 茶山 - 정조대 유학자 丁若鏞의 호. 선조대 문신 睦大欽의 호(茶山集)
다삼 : 茶蔘 - 대용차를 만드는 데 사용 할 인삼
다상 : 차상 : 茶商 - 차를 거래하는 상인(상단)
다상 : 차상 : 茶床 - 고려도경(宋나라 사신 서긍 1091-1153)에 붉은 찻상과 붉은
  비단 상보, 다구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 나무,도자기, 은 ,동 등으로 만듬.
  일본은 모든다구를 거두어 진열하는 것을 구열具列(床型과 架型)
다석 : 차석 : 茶席 - 차를 마시고 환담하는 자리
다선 : 차선 : 茶筅 - 대나무를 잘라 만든 차를 젓는 솔(차전茶筌) 차를
  포립(격불-거품내기)하는 도구. 문헌상 宋代 大罐茶論에 처음나온다.
다선 : 차선 : 茶船 - 차를 운반하는 선박
다선고 : 茶膳庫 - 중국 궁정의 차와 음식창고 
다선다신 : 茶仙茶神 - 차를 혼자서 달여마실 때의 경지를 이름
다선일미 : 茶禪一味 - 차와 선은 동일한 경지라는 비유
다성 : 茶聲 - 차를 끓일 때 나는 소리
다세 : 차세 : 茶稅 - 차로 인해 발생되는 세금
다소 : 茶疏 - 1607년 明代 허차서가 지은 茶書
다소 : 茶素 - 카페인. 1827년 영국 Oudry가 차에서 발견한 Theine 에 붙여짐
다소 : 茶所 - 차를 생산하는 곳
다수 : 차수 : 茶樹 - 차나무
다수 : 茶水 - 찻물. 달이거나 우린 찻물
다시 : 차시 : 茶時 - 조선시대 사헌부에서 관인들이 다시청에 모여 매일 한 차례
  차를 마시며 공정한 판결을 기하기 위해 서로의 불화를 화해하고 잘잘못, 부정
  불법을 서로 반성, 고발하는 자체 정화의 시간을 위하여 회석하던 시간
다시 : 茶市 - 차를 거래하며 무역하는 시장
다시 : 차시 : 茶匙 - 차를 뜨는 숟가락
다시 : 차시 ; 茶詩 - 차를 소재로 한 시. 고려시대 이후 문인들은 차 선물을 주고
  받으며 차시를 써서 화답하곤 함. 주로 차의 고마움과 마시면서의 고아한 인격과
  다구 등을 주제로 하여 수많은 차시가 읊어졌다.(1800년대 임하필기, 1567-1577
  미암일기, 1613년 지봉유설, 유산필기 등에서 차시를 설명)
다시청 : 茶時㕔 - 차를 마시는 관청마루
다식 : 茶食 - 송화가루나 콩, 깨, 밤 등의 가루를 엿이나 꿀에 반죽하여 다식판에
  박아낸 것(성호사설: 이익). 곡식가루 등을 모양별로 만든 차음식.
다식과 : 茶食菓 - 油蜜菓의 하나. 밀가루, 기름, 생강즙, 꿀, 소주 등을 섞어 반죽
  해 약과판에 박아내어 기름에 지져서 만든다.
다식판 : 茶食板 - 다식을 박아내는 틀(감나무, 밤나무, 참나무, 박달나무 등)
다신 : 茶神 - 차의 정신 즉 차의 향기와 맛 색깔. 전설의 왕 神農씨나 唐代 陸羽를
  기려 부를는 말
다신계 : 茶信契 - 다산 정약용이 전남 강진에 유배당시 그지역 제자들과 맺은 모임
다신전 : 茶神傳 - 초의 장의순이 1830년 '萬甫全書' 중 차에관한 것을 뽑아 편찬함
다실 : 차실 : 茶室 - 차를 달이거나 마시는 방. 차회로 사용하는 방. 다방.
다아 : 차아 : 茶芽 - 차나무의 싹
다약 : 茶蒻 - 차를 포장할 때 쓰는 갈대 잎
다애 : 茶靄 - 차를 끓일 때 나오는 아지랑이, 김
다연 : 차연 : 茶煙 - 차끓일 때 나는 연기
다연 : 차연 : 茶硏 - 차를 가는 기구. 맷돌
다연 : 차연 : 茶宴 : 茶燕 : 茶筵 - 차를 대접하여 마시며 즐기는 연회
다엽 : 차엽 : 茶葉 - 차나무 이파리. 차잎
다영 : 茶英 : 차를 귀히여겨 아름답게 표현한 낱말
다옥 : 차옥 : 茶屋 - 손님을 치르는 역관이나 별장
다옹 : 茶翁 - 茶經을 지은 陸羽를 가리킴
다완 : 차완 : 茶碗 : 茶椀 : 茶盌 - 찻사발. 가루차를 마시는데 쓰는 그릇으로 계절별,
   경조사별, 지역별, 태토별, 유약별, 사용 기능과 만드는 방법 등 그 종류가 다양해
  선조들의 미의식과 풍류를 엿볼 수 있는 다기이다. 그릇이 없었던 일본은 임진왜란
  때 수탈해간 정호다완을 국보로 모실정도로 탐닉하였다.(청자, 백자, 흑유, 분청 등)
다운 : 茶韻 - 차 마시는 운치, 분위기
다원 : 차원 : 茶園 - 차나무 밭, 차를 재배하는 농원, 큰밭
다원 : 茶院 - 손님대접 별장. 객잔
다위 : 茶衛 - 차의 위생을 말함. 조차 즉 차를 만들 때는 정선해야하고, 장다
  즉 저장할 때는 언제나 건조해야 한다. 차를 다룰 때는 정하고 건조하고
  청결해야 한다.
다유 : 茶乳 - 유향이 나는 차
다음 : 茶飮 - 마실거리로서의 차
다인 : 차인 : 茶人 - 차문화와 관련된 활동을 하며 차마시는 생활을 하는 사람
다자 : 茶瓷 - 찻잔. 찻그릇
다장 : 茶場 - 차를 거래하는 시장
다장 : 茶檣 - 차 가게에 차를 판다고 표시하는 막대와 기
다장 : 찻장 : 茶欌 - 차도구나 다과를 간수하는 함. 또는 장농
다재 : 茶滓(日本) - 차 찌꺼기
다재 : 茶材 - 차의 재료
다쟁 : 茶鎗 - 차를 달이는 솥. 찻그릇
다적 : 茶積 - 차를 너무 좋아한 나머지 마른차를 그대로 먹게되는 것을 이름
다전 : 茶錢 - 차값
다전 ; 茶田 - 차를 재배하는 밭
다전 : 茶奠 - 차례 때 차를 올림
다점 : 茶店 - 차를 파는 가게, 상점. 찻집, 다방
다정 : 차정 : 茶亭 -  다정자의 줄임말, 궁중연회시 다병 등을 올려놓는
  탁자 차를 마시기 위한 차림 중 하나. 차마시는 정자
다정 : 茶井 - 차사에 쓸 물 깃는 우물
다정 : 茶鼎 - 차를 덖거나 달이는 세발달린 솥
다정자 : 茶亭子 - 다과를 올려놓는 탁자
다제 : 茶祭 - 차를 올리는 제사
다조 : 茶俎 - 찻그릇의 하나
다조 : 茶竈 - 차를 달이는 부엌. 차를 우리는 부뚜막
다조 : 茶槽 : 茶俎 : 茶臼 - 차끓이는 부뚜막. 찻일을 하는 부엌이나 작업대
다종 : 차종 : 茶鐘 - 고려 때 사용된 청자다종, 놋다종, 은제다종 등 뚜껑이 있고
  잔대의 굽이 높다. 작은 종재기 모양의 잔
다종 : 차종 : 茶種 - 차나무의 종자. 종류
다주 : 茶廚 - 차를 만드는 부엌. 간편한 주방
다주 : 차주 : 茶酒 - 차와 술
다죽 : 차죽 : 茶粥 - 차 물로 끓인 죽
다준 : 茶樽 - 차통. 차단지
다즐링 : darjeeling - 인도의 유명한 홍차 생산지. 다즐링 지역에서 생산되는
 홍차. 중국의 기문祁門, 스리랑카의 우바Uva 홍차가 세계 3대 홍차이다.
다진 : 茶塵 - 찻가루. 차 부스러기
다찬 : 茶饌 - 차와 간단한 음식
다찬회 : 茶饌會 - 입식 티파티를 말함
다참 : 茶站 - 차 가게
다창 : 茶槍 - 창처럼 뾰족한 차의 싹
다창다기 : 茶槍茶旗 - 차순과 차의 싹
다채택 : 茶菜擇 - 차잎따기와 차잎 기를기
다천 : 茶泉 - 차끓일 물을 긷는 샘
다천 : 茶荈 - 차를 지칭하는 다른 표현
다초 : 茶草 - 차나무
다촌 : 茶村 - 차나무가 있는 마을. 고려시대, 중국 송대에 차를 재배하게 한곳
다추 : 차추 : 茶帚 - 찻가루를 쓸어 모으는 빗자루
다탁 : 차탁 : 茶托 - 찻잔받침. 재료는 나무, 도자기, 은, 주석, 구리, 대나무 등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배형, 사각형 등 (잔탁, 화탁)
다탑 : 차탑 : 茶榻 - 차마시는 의자. 걸상
다탕 : 차탕 : 茶湯 - 차를 넣고 끓임. 다 만들어진 찻물
  오래 달이지 않고, 끓는 소리는 산골 물소리 솔바람 소리 같아야 한다.
다편 : 茶片 - 납작한 덩이차
다포 - 茶包 - 찻상 위에까는 베나 면으로 된 천. 차가 담긴 꾸러미
다포 : 茶圃 - 차를 재배하는 밭
다표 : 茶杓 - 차구기
다표 : 茶瓢 - 차에 쓸 물을 뜨거나 차를 마시는 작은 표주박
다품 : 茶品 - 차의 품질. 등급
다필 : 茶畢 - 차의식을 마침. 찻자리가 끝난 것
다향 : 차향 : 茶香 - 차의 향기
다헌 : 차헌 : 茶軒 - 차실. 차를 마시기 위해 따로 지은 집. 마루나 방
다호 : 茶戶 - 차를 파는 집
다호 : 茶壺 - 차를 담아두는 뚜껑 있는 단지. 차를 우리는 다기.
다화 : 茶花 - 차꽃. 차실에 꽂아 아취를 나타내는 꽃
다화회 : 茶話會 - 차를 마시며 이야기 하는 모임
다회 : 차회 : 茶會 - 차를 마시는 사람들의 모임. 차를 주제로 한 모임
다회적채 : 多回摘採 - 일본의 일번차에서 사번차 까지 찻잎을 따는 것을 말함
단룡차 : 團龍茶 - 용무늬가 찍힌 최상의 단차
단유 : 丹乳 - 신선단약과 같은 좋은 차
단조 : 丹竈 - 신선의 단약을 만드는 부엌
단차 : 團茶 - 둥근 모양으로 만든 덩이차
담정 : 潭鼎 - 중국차의 한 종류
대다 : 대차 : 大茶 - 고려차의 한 종류.
대다완발 : 大茶碗鉢 - 큰 찻사발
대룡단 : 大龍團 - 최고급 단차인 용단 중 큰 것
대모다병 : 玳瑁茶甁 - 거북의 등껍질로 만든 다병
대소방 : 大小方 - 중국차의 한 종류
대엽 : 大葉 - 큰 찻잎. 중국차의 이름
대은완 : 大銀椀 - 은으로 만들어진 커다란 완
대척침 : 大拓枕 - 중국차의 한 종류
대표 : 大瓢 - 커다란 표주박
도곡음 : 陶穀飮 - 宋代 시인의 차시 중 찻자리 정취를 말함
도차변증설 : 도茶辯證說 -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이 지음. 씀바귀 도자가
  茶자의 원형임을 밝힌글, 도 대신 차를 처음쓴 사람은 唐나라 육우였다. 차의
  구난九難 등, 당시 조선의 차에 대한 인식과 현황을 기록했다. 우리가 차를
  마신 것은 체증을 해소하기 위해서였다고, 차를 종식하는 방법도 기록함(만보
  전서와 古今秘苑 인용)일찍 딴 것을 차, 늦으면 천荈이 된다. 또 일
  본차에 관한 기록 인용과 중국의 각종 다서 25종을 저자와 함께 소개했다.
도화차 : 桃花茶 - 복숭아 꽃으로 만든 대용차
독행 : 獨行 - 중국차 이름
동다기 : 동차기 東茶記 - 1785년경 이덕리 李德履(1728 ?)가 진도 유배지에서
  지은것, 茶記, 記茶, 茶說 등 네가지 명칭 존재.
  내용- 서설 5단락, 본문 15항목, 茶條 7항목으로 구성된 전체 14쪽 분량
동다시 : 銅茶匙 - 구리로 만든 찻숟가락
동로 : 銅爐 - 구리로 만든 화로
동마 : 銅磨 - 동으로 만든 차를 가는 기구
동명로 : 銅茗爐 - 차를 달이기 위해 구리로 만든 화로
동발 : 銅鉢 - 구리로 만든 찻그릇
동병 : 銅甁 - 구리 병
동수 : 東首 - 중국차 이름
동자 : 童子 - 어린 남자 아이
두강차 : 頭綱茶 - 중국차 이름
두금 : 頭金 - 중국차의 한 종류
두자미 : 杜子美 - 唐代 시인 두보를 말함
두자전 : 頭子錢 - 宋代 차에 대한 세금
등상 : 藤床 - 등나무로 만든 상
만감후 : 晩甘侯 - 차를 의인화해 부른 별칭.(도곡의 '청이록'에 '여초형부서'
  편지, 明茶寮記-육수성 지음)
만일암 : 다산이 '만일암기' '만일암사적' 등 여러편의 글을 남겼던 암자
옥온고 : 玉蘊膏 - 차를 말한다.(茶品- 빙허각 이씨 1759-1824)
차백희 : 茶百戱 - 차를 끓이는 방법이 만상의 모습을 형상하기에 차백희라 부른다.

고냉차 : 高冷茶 - 해발 2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된 차
고산차 : 高山茶 - 오룡차에 있어서 고산의 의미는 해발 1000m 이상의 다원에서 딴 차
고산오룔차 : 高山烏龍茶 - 대만의 해발 1000m 이상 운무와 일조량이 적은 고산지역 다원에서 자란 찻잎으로 만든다. 반구형 부분발효차로 맛이 감미롭고 중후하다.甘醇厚重, 여러번 우릴 수 있다. 향은 맑고 순수하다.淡雅淸純, (주요산지-大禹嶺, 福壽山, 杉林溪, 阿里山 등)
자순차 : 紫순茶 - 옛날 차의 異名. 싹이 보라색이라고 이렇게 이름한 것. 石花紫순, 靈芽眞순 이란 표현을 써왔다.
고유 : 苦窳 - 그릇이 얇아서 갈라지거나 깨지는 것을 말함.
고차 : 苦茶 - 쓴 차. 봄에 딴 차. 작설. 나무 종류이지 채소의 부류는 아니다
고차 : 陶罐과 쇠솥, 철판 등을 사용해 차를 구울 때 쉬지않고 뒤집고 흔든다. 차가 바삭바삭 해지고 향이나면 끓는 물을부어 마신다. 맛은 쓰다. 운남차는 본래 성질이 무겁고 강하며 맛이 쓴데 고차로 마시면 더욱 쓰다. 차관 안에는 차가 물보다 많다. 고차는 고원지방에 사는 사나이들이 불 주위에 둘러앉아 담소를 나누며 마시는 차이다.- 운남의 라후족, 와족, 리수족, 怒族, 이족, 白族, 苗族 등
고타차 : 송이버섯 모양의 타차를 말함
곡 : 穀 - 낙엽교목으로 닥나무 곡, 닥나무 상(桑)의 뜻
공대 : 차공대
공미 : 貢眉 - 백차의 생산 시기에 따라 붙여진 차의 이름
수미 : 壽眉 - " " " "
곡차 : 穀茶 - 현미, 보리, 옥수수 등 곡류를 가공해 현미차, 보리차, 옥숫차 등으로 우려내 마시는 차
곡우차 : 穀雨茶 - 매년 4월 20일경 곡우날을 중심으로 만든 차로 곡우 전에 잎을 따서 만든차를 雨前茶라 하고, 후에만든 차를 우후차라 한다.
곡화차 : 穀花茶 - 여름 벼꽃 피는 시기에 딴차
골든룰 : Goiden Rules - 홍차를 잘우리기 위한 방법(좋은 차의 선택, 신선한 물 끓임, 차의 양, 우림 시간조절, 다구의 예열, 고른 농도로 따르기 등)
골든링 : Golden Ring - 홍차의 테아플라빈 함량의 다소에 따라 우려진 홍차에 황금색의 테가 생기는 현상
골든칩 : Golden Chip - 황금색의 심아(芯芽)로 만든 홍차로 그 양이 많이 들어갈수록 고급으로 여기고 비싸진다.
공다 : 供茶 - 불교에서 차를 공양하는 것(佛茶供養)
공차 : 貢茶 - 나라에 공물로 바치는 차(당, 송대 부터)
공부차 : 工夫茶 - 중국 복건성 남부, 광동성 남부의 청차(靑茶 울롱차)를 정성을 드려 만든 차
공부차구 : 工夫茶具 - 청차류 전용 다기 세트(찻주전자 急須, 4개의 잔 茶杯, 앞접시 茶船 이 세가지가 기본이다)
관능검사 : 官能檢査 - 해당 검사자격을 갖춘 사람의 감각(시각, 후각, 미각, 촉각)에 의한 다양한 방법으로 차의 품질을 평가하는 검사
광동청차 : 廣東靑茶 - 중국 광동성에서 생산되는 오룡차류(봉황수선, 봉황단총, 광동철관음, 서암철관음 등)
교목 : 喬木 - 차나무 높이가 8m 이상 되는 대엽종으로 운남성의 오래된 차나무들
교반 : 搅拌 - 찻잎을 섞는 것
구곡홍매 : 九曲紅梅 - 중국 절강성 항주 서남부 전단강안에서 생산되는 홍차(一紅 또는 구곡오룡이라 함)
구구 : 九區 - 天下. 세상, 옛날 천하를 9등분으로 나눔
구결 : 口訣 - 비법을 전수하는 말
구기자차 : 枸杞子茶 - 구기자 잎과 열매로 만든 차
구방상마 : 九方相馬 - 명차를 잘 감별하는 사람을 뜻한다. 진秦나라 때 구방고九方皐가 천리마를 잘 알아보듯
구비 : 救沸 - 끓는 물을 식히는 것
구화 : 謳和 - 노래로 화답한다는 말
국균발효차 : 麴菌醱酵茶 - 균류 즉 170 여종의 미생물 발효차(중국의 보이차, 육보차,
방포전차, 복전차, 일본의 기석차(바둑돌차), 흑차 등)
국화차 : 菊花茶 - 국화 곷으로 만든 대용차. 간장을 보하고 눈, 머리를 맑게하고 향과 맛이 좋아 여성 차의 대표로 꼽힌다. 만드는 법은 군방보(621), 증보산림경제(1766), 임원심육지(1827), 규합총서(1815), 조선요리제법(1934, 1942),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43)
군산은침 : 群山銀針 - 중국 호남성 악양현 동정호 가운데 섬인 군산지방에서 생산된 황차의 하나로 청대에 황실에 바치던 귀한 차. 원래 녹차를 생산하다 후대 에 황차로 바뀌어 짐. 이차에 더운 물을 부으면 차싹이 곧게 뜨다가 천천히 가라앉아 三起三落(세 번 떳다가 세 번 가라앉는 모양)이라 이름
궁정다례 : 宮廷茶禮 - 궁궐안팎에서 조정규례에 따라 행하여지는 다례 차례는 삭망, 명절, 조상의 생일 등 아침에 차를 올리는 제사 의전이다.
궁중다례 : 宮中茶禮 - 궁 안에서 행하는 조정규례 이외의 다례를 말함.신라 문무왕이 즉위한(661년 3월)뒤 매년 정월 3일과 7일, 5월 단옷날, 8월5일과 보름에 차례지냄.  고려 조정의 茶房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례를 집행 하였다
吉禮- 원자 탄생의 축하의식, 왕세자의 책봉의식, 왕자비의 책봉의식, 공주의 탄생 축하의식, 공주의 혼례에 다례를 집행함.
嘉禮- 명절인 팔관회(음 11.14-15), 연등회(음 2.15), 元正, 동지의 조하의식, 대관전에서의 君臣 연회에 다례
賓禮- 노인의 사연(賜宴)의식, 北朝 사신의 영접의식에 다례
凶禮- 엄중처벌에 대하여 임금께 대답하는 의식인 중형주대의(重刑奏對儀)에 다례가 있었다.조선시대는 다방, 사옹원, 內局의 주방, 봉상사 등의 관아에 의해 집례됨.사신을 맞을 때는 원접다례(의주, 정주, 안주, 평양, 황주, 개경 등에서),태평관에서 친림다례, 인정전에서 접견다례 등 엄격하고 복잡한 절차에 따라 거행됨.
권 : 권 - 나무를 휘어서 만든 바리, 틀
귓대사발 : 귀때사발 : 귀대접 : 熟盂 - 물을 따르기 편리하게 귀대가 달린 사발
규 : 規 - 병차를 찍어내는 규격에 맞는 틀(거푸집). 둥근 그림을 그리는 공구, 원형, 법도, 모의 등의 뜻
규방다례 : 閨房茶禮 - 부녀자가 거처하는 안방에서 행하는 다례
규합총서 : 1815년경 빙허각 이씨 - 조선시대 한글판 가정백과 책이다.茶品조에 宋代 도곡이 지은 천명록(荈茗錄 970년)의 차백희 등 인용됨
다품- 다백희, 계장, 귀계장, 매화차, 포도차, 매실차, 국화차
귤강차 : 橘薑茶 - 귤껍질(귤홍, 홍피)과 생강, 작설차를 함께 달여 걸른 차
귤화차 : 橘花茶 - 귤꽃을 말려 끓인물에 우린 차
그린티 : Green Tea - 발효하지 않은 녹차를 말함
그린티 라떼 : 가루차(말차)와 설탕을 혼합해 데운 우유를 부으면서 잘섞어 만든 차
금당기주 : 琴堂記珠 - 신헌(申櫶 1811-1884)의 신대장군집 권5에 수록된 기록문, 내용의 상당부분이 초의와 다산에 관계된 것들이다.
금법조 : 金法曹 - 연이 정해진 궤도를 이탈하지 않고 제 궤도를 지킨다는 뜻
긴압차 : 緊壓茶 - 돌, 유압기 등을 이용해 일정한 압력을 주어 다양한 모양을 만든 차 四川地方 긴압차
重慶타茶- 雲南 대엽종, 福鼎大白茶 등 녹차로 만든 타차이다 康전茶, 金尖茶 湖南黑茶 花전茶(종전 花卷茶), 100년 역사의 천량차千兩茶1860년경 부터 생산된 茯전茶(特茯, 普茯), 中茶牌복전차, 湘尖茶, 黑전茶 廣西黑茶 六堡茶- 해발 1000-1500m 관목형 중엽종 주류
湖北 靑전茶 - 100년 역사 차 표면에 川자 상표가 새겨짐
安徽 安茶 - 육안차 라고도 한다. 200년 역사, 반발효의 일종, 기문홍차로 유명한
안휘성 祁門이 주생산지 - 동남아 열대시장에서 주로 소비
米전茶 - 홍차 부스러기나 저급 홍차 분말을 눌러 만든 차. 홍전, 화향전 이라고도함. 벽돌모양에 도안은 '牌樓牌', 별과 기차가 그려진 '火車頭牌', '鳳凰牌'가 유명하다.
구형 녹차, 청차 : 球形 - 찻잎의 형태가 공처럼 둥글게 말린 형태(銀球茶, 鐵觀音)
권형 녹차 : 卷形 - 소라의 형태와 같이 말린 녹차. 나형螺形 이라고도 함
나추밀 : 羅樞密 - 비단으로 만든 체를 의인화한 말(羅合)
나형 : 螺形 - 찻잎 외형이 소라와 같이 둥글게 말려있는 모양(洞庭碧螺春)
낙노 : 酪奴 - 육우가 다경에서 품평했던 고급차. 휘종 선화 2년 정가간이 만든차
낙장 : 酪漿 - 소나 염소의 젓
난석토 : 爛石土 - 風化腐爛之石의 준말. 사암이나 석회암 등이 풍화작용으로 푸석푸석한 땅으로 약산성 부식토가 많다. 차나무가 자라기 제일 좋은 땅이다.물빠짐이 좋고 적당한 습도를 오래 유지하고 영양분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난향 : 蘭香 - 난초향 같이 차의 향이 좋은 것을 말한다.
남경우화차 : 南京雨花茶 - 중국 강소성 남경시에서 생산되는 녹차로 그곳 기념탑인 雨花臺에서 유래함
남방의 가목 : 嘉木 - 육우의 다경 권두에 쓰여진 문구로 차의 명사로 가목은 차나무를 말하고, 남방은 江南을 이름이다.
남당 : 南唐 - 937년에 남경을 중심으로 한 금릉에서 이변이 세운 나라.
남방록 : 南方錄 - 일본의 다도를 대성시킨 센리큐의 제자인 난보소케이가 스승을 모시면서 익힌 다도의 소양을 기록한 책. 전9권으로 에도시대 遠州流, 石州流에게 영향끼쳐
납면차 : 蠟面茶 - 宋代 복건성에서 나는 건차를 달이면 찻물위에 녹은 밀랍과 같은 유액상(乳液狀)의 거품이 뜨는 윤기에 따라 붙인 차이름
납전차 : 臘前茶 - 찻닢따는 시기에 따라 붙인 차이름. 동지 뒤의 세번째 戌日인 臘日 직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를 말함. 조선시대에도 납전차를 땃다.
납후차 : 臘後茶 - 동지 후 납일 직후에 차 잎을 따서 만든 차
역양토 : 역壤土 - 난석이 더 풍화된 사질토. 작은 자갈이 섞여 표토가 깊고 물이 잘 빠진다. 차나무에 두번째 좋은 땅이다.
황토 : 黃土 - 거의 부식이 다 된 토질로 비에 휩쓸려서 평지에 쌓여 일반 농작물 재배에 좋다. 점성이 많아 여러모로 이용 한다. 여기서 자란 차는 하등품으로 친다.
난화형 녹차: 蘭花形 - 난초 줄기처럼 길게 뻗은 상태로 선단이 살짝 휘어진 형태 尖形 녹차라고도 한다(太平후魁)
남차병서 : 南茶幷序 - 1830. 11. 15 금령 박영보(朴永輔 1808-1872)가 지음. 초의와 가장 가까웠던 인물로 벗인 이산중에게서 초의의 떡차를 조금 얻어 맛보고 반해 즉시 붓을들어 일면식도 없던 초의에게 장편의 시를지어 감사의 뜻을 전하고 화답을 청한내용으로, 초의차를 세상에 알린 詩작품 시를 받은 초의도 감격, 친구하자며 '증교'시 두수를 화답했다. 신위도 화답하여 '납차시 병서'를 지어 초의에게 주었다.
납면 : 蠟面 - 증청 단차로 만들 때 향료와 고유를 넣어서 끓인 후에 유화가 납이 엉긴 듯이 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낭청 : 浪靑 - 대만의 청차(오룡차) 제다과정의 요청(搖靑) 방식을 말함
내질 : 內質 - 차의 품질평가에서 찻물의 색깔, 향기, 맛을 가리킨다. 이것과 달리 형상, 광택은 외관이라 한다.
내차 : 奶茶 - 버터차, 밀크차. 주로 티베트, 몽골에서 마시는 차로 병차, 단차, 전차류를 끓여 소다, 소금, 버터를 넣어 교반하여 따라 마신다. 또 티베트에서는 밀가루를 이 차로 반죽하여 주식으로 한다.
냉녹차 : 冷綠茶 - 차를 제조할 때찻잎의 수증기에 의한 증제과정 시간을 보통 때보다 길게하여 성분이 찬물에도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만든차
냉장차 : 冷藏茶 - 냉장창고에서 저장한 차. 창고내의 온도를 0-5도C 이내로 보존하면 변질되지 않고 신선한 풍미를 유지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직후에 냉장하여 9월경부터 출하한다.
냉접 : 冷摺 - 차를 가열하지 않고 마찰기로 마찰하여 빛깔을 변화시키는 방법(부초차 釜炒茶, 아프리카 전용 옥록차)
네물차 : 녹차 제조시기에 따라 분류되는 차이름. 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초순까지 만든 차를 말함
노옥천 : 盧玉川 - 이름 노동盧同. 당대 시인. 호는 玉川子
노제 : 路祭 - 발인하여 장지로 가는 도중에 마을 앞이나 고인의 근무처 및 좋아하던 곳에서 간략히 지내는 제사.
노차 : 老茶 - 오래된 차
노차 : 露茶 - 이슬 맞은 차싹
노미차 : 老米茶 - 차가 귀한 곳에서 쌀을 볶아서 대용하는데 이것을 노미차라 한다.
노죽대방 : 老竹大方 - 중국 明代 안휘성 음현에서 생산된 녹차를 말함
노지 : 露地 - 일본 차실의 부속 뜰로 茶庭이라함
노차장 : 老茶壯 - 중국의 차를 파는 오래된 상점
녹수낭 : 鹿水囊 - 물 거르는 자루
녹지삽 : 綠枝揷 - 초여름에 가지를 삽목하여 뿌리를 내리게 하는 것
녹차 : 綠茶 - 불발효차 동백나무과(Theaceae 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 찻잎을 화열로 덖거나(釜炒) 증기로 쪄서 잎속의
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산화를 방지하고 고유의 녹색을 보존시킨 차. green tea
녹차용은 소엽종으로 탄닌 함량이 적은 새로돋은 어린잎을 사용한다.
차는 향과 색을 중요시 한다. 향에는 순향(純香 안팎이 똑같은 향), 청향(淸香 설
지도 너무 익지도 않은향), 난향(蘭香 고루 든향), 진향(眞香 곡우전 차신이 충분
히 갖추어진 향)이 있고, 함향(含香), 누향(漏香), 간향(間香) 등은 하품에 속한다.
색은 맑고 푸르러야 좋고, 황, 흑, 홍, 혼(昏 어둠)은 불합격에 속한다.
맛은 녹차 특유의 향기가 그윽하고 묵직한 느낌을 주며 매끄럽게 삼켜지는 맛-
녹차의 날(한국) : 1981년 5월 25일 진주 촉석루에서 (사)한국차인연합회에서 차의
날로 제정 선포한 날로서 매년 5월 25일을 차의 날 기념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녹차의 날(일본) : 매년 5월 1일 또는 2일(팔팔밤)을 녹차의 날로 제정 캠페인을 통
하여 녹차의 보급을 꾀하고 있다. 또 4/29 푸른 날, 5/5 어린이 날 까지 녹차 주간
으로 하여 각지에서 차 잔치 행사를 한다.
농차 : 濃茶 - 농도를 진하게 죽같이 걸죽하게 타는 차를 말한다. 여러 사람이 돌아
가며 마신다. 말차
농차 : 籠茶 : Basket fired tea - 블랙 퍼스트 티 - 수출용 일본 녹차
뇌소차 : 雷笑茶 - 곡우 전에 딴차를 이르는 조선시대 명칭
뇌원차 : 腦原茶 - 고려 때의 단차로 새로나온 차잎을 쪄서 찧어만든 덩이차
맷돌에 가루를 내 타서 마시는 단차인데 989년-1049년 때의 어용차
팔관회, 연등회 등의 국가행사에 사용함
뇌차 : 중국 호남성 도원현 일대의 차습속
누와라에리야 - 스리랑카 남서부 산악지대의 중심이되는 피서지로 실론 홍차 생산
지의 하나 해발 1800m 고지/ 남동에 우바 서쪽에 덴브라와 고급홍차 산지가 있다.
닐기리 차 : Nilgiri Tea - 인도 남부 산맥의 구릉지에서 생산되는 홍차
떫은 맛이 적고 맛이 깔끔하다. 스리랑카와 비슷한 기후라 실론티와 유사하다.
다검 : 茶鈐 - 차 집게, 차를 굽는데 사용하는 집게로 청죽이나 금, 쇠로 만든다.
다구 : 茶具 - 풍로, 숯 광주리(거), 탄과(숯 깨는 기구), 화협(火箸/부젓가락), 솥,
교상交床, 협(夾집게), 체(합合), 지낭(紙囊종이주머니), 맷돌(연拂末/가루 털개),
칙(則찻숟가락), 네모난 물통(水方), 녹수낭(물 여과자루)
표주박(희표犧瓢나무표주박), 대젓가락(竹夾), 소금단지(차궤게/소금 숟가락),
숙우熟盂, 다완茶碗, 삼태기(분), 솔(찰札), 개수통(척방滌方), 찌꺼기통(재방滓旁),
수건(巾), 차선반(구열具列/진열대), 다기를 담는 모듬 바구니(도람都籃) 등
다도 : 茶饕 - 차욕심쟁이
다도정신 : 茶道精神 - 한국은 중정中正, 중국은 정행검덕精行儉德, 일본은 화경청적
和敬淸寂 이다. 차실의 분위기, 다구의 아름다움, 차의 성품, 차를 달이는 여러가지
일 등에 상징적인 의미를 담아 다도정신이라 함
다라 : 茶羅 - 차를 거르는 체
다로 : 茶爐 - 차를 달이는 풍로나 화로
다록 : 茶錄 - 채양(蔡襄 1012-1067)이 복건 전운사로 있을 때, 차에 관한 과정을 20여
단락으로 나누어 저술한 차서. 상편- 논차論茶 즉 색향미와 장다, 적다, 연다, 나다,
후탕, 협잔, 점다 등/ 하편- 논기論器 즉 분다기, 다롱, 다연, 다라, 다잔, 다시, 탕병
채양은 송대의 학자, 문인, 차인, 행정가. 소용단 제조
다롱 : 茶籠 - 차를 대나무 잎으로 싸서 밀봉 높은 곳에 둔다.
다배 : 茶焙 - 차를 보관하기 위해 불에 쬐 말림
다보 : 茶譜 - 五代십국 시대(10세기 초-960년) 전촉蜀사람 모문석毛文錫이 찬함.
내용은 차가 생산되는 여러 지역과 그곳 차들의 이름과 특징을 주로 많이 기록함
사류부주, 다경 등 고전을 인용한 것도 있다. 이 외에도
明代 주권(朱權 1378-1448 태조 朱元璋의 제17자로 호는-구선, 함허자, 단구선생)
이 1440년경 지은 다보에는 가루차를 격불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6항목으로 말
차 만드는 법, 연고차 등을 이야기하고, 마지막에는 무어라 해도 모든 생물의
자연적 성질을 발휘하는 데는 엽차로 달여마시는 것이 제일이라고 함.
宋代 상장桑莊이 찬한 속다보, 明代 전춘년이 쓰고 고원경이 산수한 다보가 있다.
明代 손대수가 쓴 다보외집도 있다.
다산 ; 茶山 - 정약용의 아호. 우리 차문화의 중흥조, 20대 초반에 이미 차를 가까이함
보림사 죽로차와 강진의 만불차를 구증구포의 제다법을 처음 알려준 것과 惠藏
(1772-1811)에게 구체적인 제다법을 알려준 것. 초의도 1809년 처음 인사를 올린 후
제다법을 배워. 다산은 1810년 이미 자신이 차를 자급자족하고 나눠줄 정도였다.
차에 원기를 손상시키는 해독이 있음을 알고 있었고, 체기를 내리는 약용으로만
마셨다. 다산과 초의는 애초에 사제로 만났다. 1809년 당시 48세 초의가 24세였다.
초당으로 다산을 찾아와 배움을 청했다. 다산은 주역과 논어 등의 유교경전을 가르
쳤다. 초의가 본격적으로 차를 알게된 것도 다산을 통해서였다.
다산은 틈날 때마다 초의에게 유학의 도리를 가르치고 불교의 허망함을 지적하여
초의를 유학으로 이끌려는 뜻을 피력하곤 했다.
다숙 : 茶熟 - 충분히 갈린 차
다신계 절목 : 茶信契 - 1818년 8월 그믐날에 정약용이 18년 귀양살이가 풀려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자 18 제자들과 계를 묶은 약조이다.(강진읍내 8년, 다산에서 11년 귀양)
새삼스럽게 다신계를 결성한 것이 아니라 상호결속과 유대를 다지면서 그전부터 해
오던 채다와 제다를 계속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방편이 다신계였던 것
다연 : 茶硏 - 은이나 쇠로 만든 차를 가는 도구
다잔탁 : 茶盞托 - 차탁자茶託子
다찬회 : 茶饌會 - 서양의 입식 티파티를 말함
다창다기 : 茶槍茶旗 - 차 순과 차 싹
다촌 : 茶村 - 차나무가 있는 마을. 중국 육유의 시속에 나온다. 고려시대에 형성됨
다탁 : 차탁 : 茶托 -
다탕 : 차탕 : 茶湯 -
다호 : 차호 : 茶壺 - 차를 넣어두는 단지모양의 통
단 : 簞 - 대광주리, 소쿠리
단경기 : 端境期 - 11월~4월경까지 햇차가 나오기 직전의 기간, 특히 2~3월경
단구자 : 丹邱子 - 한나라 때의 선인仙人, 차인茶人
단당류 : 單糖類 -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등과 같이 가수분해에 의하여 그 이상
작은 분자로 분해되지 않는 기본단위의 당질로 지구상의 가장 풍부한 생명분자
단독채제 : 單獨採製 - 중국 靑茶(오룡차류의 총칭)의 명품종을 위한 전통적 번식법
잡종이 안되게 순수품종을 재배 제조한 제품(單一採製)
단립 : 團粒 - 차 재배시 지력유지에 효과적인 토양상태로 흙의 단위 입자가 뭉쳐서
된 하나의 덩어리를 일컫는 말(粒團, 홑알)
단모 : 單毛 - 하나의 세포로 된 털
단물 : 연수(軟水) - 경도가 100 이하의 물
단백질 : 蛋白質 : protein -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 기본단위는 아미노산으로
차의 단백질에는 20 여가지의 아미노산이 들어있다.
단성화 : 單性花 - 꽃의 암술과 수술 중 하나뿐인 꽃
단엽 : 單葉 - 식물에서 한 개의 잎몸으로 된 잎
단유 : 團유 ; 包유 - 철관음차나 대만 동정오룡차를 만들 때의 유념법으로 지금은
거의가 기계화 되어 있다.
단자 : 單子 -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금액을 기록한 종이로 물목기物目記 라한다.
단조식 : 單條植 - 나무를 일렬로 일정한 간격으로 심는것
단차 : 團茶 : 덩어리차 - 중국 고형차의 하나, 唐代는 餠茶라 부르고 五代부터 宋代
에 단차라고 하였다. 둥근 것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보통 70~100g 정도 였으나
큰것은 3kg 정도로 人頭茶라 부르기도함. 갈아서 가루로 조제한 차.
호남성, 사천성, 운남성에서 유명한 단차를 생산한다.(餠茶, 타차, 緊茶 등)
담 : 擔 - 1900년대 중량의 단위, 100근(斤)을 1담이라 하며 1근은 600g 이다.
당부 : 唐釜 - 손으로 덖는 부초차를 만들 때 쓰는 철제 솥
대 : 대 - 방아, 절구
대관다론 : 大觀茶論 - 북송대 휘종제(徽宗帝 재위 1100~25년)가 지은 차서로
20편-서문외에 산출지, 하늘의 때, 가려내기, 흰차, 체와 맷돌, 잔, 차솔, 병,
구기, 물, 차타기, 맛, 향기, 빛깔, 간직 불쪼임, 품명, 외배 등이 담겨 있다.
대나무의 차선이 처음 등장한다. 휘종은 시문 서화에도 능한 황제였다.
대만차 품종 - 대차 12호, 대차 13호, 청심대유, 청심오룡
대만오룡차 : 臺灣烏龍茶 - 보자기로 싸서 유념을 하여 외형은 반구형 혹은 구형이다.
찻물색은 밝고 금황색을 띠며 향기는 짙고 선명하다. 맛은 甘醇하다.(전지역)
대만포종차 : 臺灣包種茶 - 차의 모양은 條形이며 짙은 녹색을 띤다. 찻물색은 密綠
金黃色, 맛은 달고 상쾌하다. 우아한 꽃향을 지니고 있다. (신북시 문산차구 평림)
대목 : 臺木 - 차나무를 접목할 때 뿌리가 남아 있는 쪽
대방차 : 大方茶 - 절강성이나 안휘성에서 생산되는 하급의 용정차의 일종(화대방)
대백차 : 大白茶 - 중구의 대표적인 소교목형 차나무로 어린 싹에는 흰털이 많다.
백호은침白毫銀鍼, 백목단白牧丹이 유명하고,홍차는 백림공부白琳工夫라고 한다.
대엽종 : 大葉種 - 운남 아삼종계를 소엽종과 분류해 부르는 호칭이다.
운남 홍차(진홍)나 운남 보이차를 만드는데 알맞은 품종이다.
대용차 : 代用茶 - 차나무 잎으로 만들지 않은 일반 민속차류를 말함.
대용차 종류 - 감잎차, 감초차, 개암차, 검정콩차, 결명자차, 계피차, 구기자차, 귤피
  차, 냉이차, 다시마차, 단너삼차, 당귀차, 대추차, 더덕차, 도라지차, 도토리차, 동
  백차, 동아차, 두충차, 둥글레차, 들국화차, 들깨차, 마름차, 만병초차, 만삼차, 매
  실차, 메꽃차, 모과차, 민들레차, 박하차, 보리차, 복숭아차, 비파잎차, 뽕잎차, 산
  딸기차, 산수유차, 살구차, 삼지구엽차, 삽주차, 새삼차, 생강차, 석류차, 솔잎차,
  쑥차, 아가위차, 아욱차, 어성초차, 연차, 오갈피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율무차, 으름덩굴차, 은행차, 인동덩굴차, 인삼차, 잇꽃차, 잔대차, 정과차, 진달래
  차, 질경이차, 치자차, 칡차, 탱자차, 하늘타리차, 해당화차, 해바라기차, 현미차,
  호도차, 호박차, 회화차 등
대자 : - 선반
대작 : 大作 - 찻잎이 다자란 가장 큰 잎으로 만든 차. 세작, 중작, 대작으로 부른다.
대해 : 大海 : 다이카이 - 일본용어로 황차荒茶를 넣어 운반하는 큰(40kg) 종이포대
대홍포 : 大紅袍 - 靑代 초기에 발견된 차나무 잎으로 만든 차로 天心岩大紅袍,
武夷岩茶, 네그루 밖에 없어 전설과 병치료 효과 등으로 유명해져, 1940년의 실제
생산량이 330g(1근)으로 요즘 자손을 퍼뜨려 재배한다고
대화차 : 大和茶 - 일본의 옛지명으로 나라현에서 생산되는 차의 총칭
806년 空海라는 승려가 당나라에서 차 종자를 가져와 퍼뜨린 산간언덕지대
더스트 : Dust : 微細粉 : 泥粉 - 전차를 마무리할 때 나오는 미세분을 말한다.
홍차에서는 더욱 미세한 크기 PDC(Pekoe Dust), D1(Dust One), D(Dust)가 포함됨
덖음차 : 釜炒茶 - 생잎이 산화효소를 파괴시키기 위해 솥에서 젓고 비벼 만드는 법
손으로 덖은 차는 황녹색에 고소한 맛과 향이 제조자마다 다르다.,
기계로 제조된 것은 맛이 강하고 색이 일정하다.
도 : 도 - 唐代 차자茶字가 없을때 차를 의미하는 문자로 사용된 글자이다. 木-示
도가의 다례 : 도교의 다례 - 예복차림으로 제사 때 차탕을 함께차려 놓고 거행
도균모첨 : 都勻毛尖 - 중국 귀주성 도균에서 생산되는 녹차류. 외형은 녹색에 흰
털로 덮여 구부러져 있는데 맑은 향에 맛이 진하고 뒷맛은 단맛이 남다.
도기 : 陶器 - 1200도 전후의 온도에서 소성燒成한 그릇, 거칠고 흡수성이 있어
유약釉藥을 바르는 수가 많다. 토기土器가 진보한 것
도란형 : 到卵形 - 거꾸로 선 달걀모양
도람 : 都籃 - 모듬바구니
도보문 : 陶寶文 - 흑유잔黑釉盞을 말한다. 질로 만든 찻그릇
도엽 : 盜葉 - 새 가지의 잎을 싸고 자라는 흰 것
차를 만들 때 백합(맛이 쓰고 떫게해)과 오체(색을 검게해), 도엽은 쓰지 않는다.
도자기 : 陶磁器 - 도기류와 자기류의 총칭. 자기는 소지가 잘 소성되어 굳어져
유리화되고(1300도 전후) 흡수성이 없는 순백, 투명성의 소물을 말한다.(中-瓷器)
넓은 의미로 토기, 도기, 석기, 자기를 모두 일컫는 말이다.
자기를 만들 수 있는 나라는 한국, 중국, 베트남 정도였다.
도장 : 徒長 - 식물의 웃자람(도장묘, 도장지)
돌 : 突 - 굴뚝
동가열 : 胴加熱 - 철판제의 몸통을 밖에서 가열하여 차잎을 비비거나 화입을 하는
방법. 고정된 동과 회전하는 동이 있다.
동계시다록 : 東溪試茶錄 - 1064년 송자안이 쓴 차에 관한 3천여자의 기록
내용은 정위와 채양의 '다록'을 보충한 것. 8개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함
동다기 : 東茶記 - 이전에는 정약용의 작품으로 알았으나 이덕리李德履의 시문집
 江心에 수록된 기다記茶라는 작품으로 추정된다. 기다는 1785년 이덕리가 전남
 진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중에 저술한 것으로, 차나무의 생리, 찻잎 따는 시기,
 차의 제조법, 명차의 이름과 생산지, 차에 대한 공정한 가격, 세금 부과법, 차의
 종류, 차의 관리, 차의 효능 등을 설명하였다.
동다송 : 東茶頌 - 조선 후기 1837년경 승려 초의草衣가 일지암一枝菴에서 차에
 대하여 송頌 형식으로 지은 책. 저자가 홍현주洪顯周의 부탁으로 중국과 한국의
  여러 문헌을 인용하여 차에 얽힌 전설과 효혐을 읊고, 한국차의 우수성을 칭송
 하였다.
동방미인차 : 東方美人茶 : 백호오룡 : 팽풍차 : 膨風茶 - 어린싹이 뾰족하고 백호
가 많을수록 고급차로 본다. 짙은 과일향과 달콤하고 매끄러운 맛을 지니고 있다.
만차를 대표하는 유명한 차다.(산지-신죽, 묘율, 용담, 평림, 석정차구)
동양의 차문화 : 차나무는 하나님이 창세기에 사람을 창조하기전 셋째날에 내셨다.
중국에서는 BC 2737년경 신화의 신농씨가 지었다는 식경의 기록을 통해 심신의
건강을 추구해 오면서 동양의 차문화는 다례를 통해 차를 정신수양의 매개체로
사용해 서양의 사교와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홍차문화와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최초의 다례는 BC 6세기 윤희가 노자에게 불멸의 차를 대접한 것으로 전한다.
唐代에 선종불교와 만나면서 차와 선은 한 가지 맛이라는 '차선일미라' 하였고,
동아시아 3국 한중일의 차문화가 특징을 보이는데 중국에서는 향을 중시하며
정행검덕을, 한국은 맛과 멋을 중시하며 중정을, 일본은 색을 중시하며 화경청적
을 차정신으로 삼고있다. 특히 한국은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 좋은 물이 있어
좋은 차를 우릴 수 있었고, 선비들의 검소하고 절제된 모습으로 고아함을 일상화
함으로써 심성을 순화하고 나아가 윗사람을 공경하는 예절을 근본으로 삼았다.
동의보감 : 東醫寶鑑 - 광해군 2년(1610년) 허준許俊 찬. 우리나라와 중국의 의서를
모아 집대성한 한의서의 백과전서.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된 임상서이다.
여기에 차는 수많은 약재중의 하나로서 자주 나타난다. 머리, 눈, 내상, 해수, 제창
에 이용되었고, 차의 성질과 약리적 작용은 탕액편 고다苦茶 항목에 기록됨
동인도회사 : 東印度會社 - 17세기초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이 동양에 대한 독점
무역권을 부여받아 동인도에 설립한 회사 리름 또는 홍차브랜드
동정벽라춘 : 洞庭碧螺春 - 중국 강소성 소주 오흥현 태호 동정산 벽록봉 아래에서
나는 녹차, 찻물이 벽록색으로 향기가 높고 맛이 부드럽다. 제조된 차잎은 소라
고동처럼 나선형이고 털이 있다. 1~7등급이 있는데 낮은 등급일수록 잎이 크고
털이 적어진다. 잎이 모두 어린데 춘분과 곡우 사이에 만들기 때문이다.
정오룡차 : 凍頂烏龍茶 - 대만 중부 남투현 동쪽 동정산 주변에서 생산되는 차.
대만의 대표적인 차로 무이암차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진주처럼 말린 잎으로
견실한 球形, 색상은 짙은 녹색墨綠, 맛이 감미롭고 甘醇滑重, 향이 강하며 단맛
이 남는 것이 특징이다.喉韻, 대만의 국책사업으로 매화의 개수로 등급을 표시한
다. 다섯개가 최고의 품질이고, 포장에서 선명한 붉은 색은 반발효차이고, 암홍색
은 발효차이다. (남투현, 녹곡향)
동해 : 凍害 : 寒害 : 赤枯 - 영하 12도~이하에서 차나무가 얼어 죽는다. 차잎은
단기간에 갈색 낙엽한다. 줄기나 가지에 생기는 경우는 裂像型凍害라 한다.
중국종은 추위에 강하나 아삼종은 약한편이다.
동차기 : 東茶記 ; 記茶: 동다기 - 다산이 강진康津에서 유배생활 때 지은책 /
조선 영조-정조대 무관 이덕리(李德履 1728-?)의 저술. 1785년 전후한 진도 유배
시절 완성한 것으로 서설, 본문, 다조茶條 등 3부로 구성됨
동차송 : 東茶頌 : 동다송 - 1837년 초의 장의순(1786-1866)이 52세 때 海居道人 홍현
주(洪顯周 정조 임금의 둘째 사위)가 진도부사 변지화卞持和를 통하여 초의에게
茶道에 관해 알고자 하여 저술하여 보낸 것이다.
우리나라 차를 예찬한 68행의 칠언구七言句의 古詩 형식으로 32송에 각 주를 달
았다. -생장개화, 꽃과 싹, 고사, 제다, 제품, 동차 실황 송찬, 선으로 구성-
여기서 우리나라 차가 色香氣味에 있어 결코 중국차에 뒤지 않는다고 찬탄함
육우의 다경과 모환문의 다경채요의 중원 차의 옛일로 채워짐
두강차 : 頭綱茶 - 왕실에 바치기 위해 공차貢茶소에서 그해에 첫 번째로 만든 차
두륜산 : 頭輪山 - 해남 대흥사大興寺 뒷산
두물차 : 6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만든 우리차 특유의 우리말 호칭이다. 맛이 강한편
두차 : 頭茶 : 頭 - 끝마무리 고정 중 체질에서 남는 큰 차잎을 말함. 체 구멍으로 빠
진 것이 煎茶이다. 두차는 주로 유차柳茶나 번차(番茶 질 낮은 엽차)로 사용한다.
두충차 : 杜沖茶 - 대용차로 두충나무과의 낙엽고목 두충의 생잎을 배전하여 차와
같이 달여 마신다. 고혈압, 간장증, 관절염, 류마티즘, 이뇨, 노화방지 효과 있다고
둥글레차 : 대용차로 둥글레 뿌리를 이용해 만든 차
들국화차 : 감국 : 대용차로 꽃이피는 10월에 채취하여 통풍이 좋은 그늘에서 말려
건조한 곳에 보관-달여 마신다.
(산국: 고의苦薏: 일반 들국화-줄기 푸른색, 개화기 6~10월)
들깨차 : 대용차로 들깨 열매인 백소자白蘇子를 알맞게 볶아 가루내어 이용한다.
들깨잎을 백소엽 또는 임엽이라 하는데 잎을 말려 가루내어 차로 쓰기도 한다.
디엔에이 : DNA : 디옥시리보핵산 - 생물체의 유전자 본체인 고분자화합물.
딤불라 : Dimbula - 스리랑카 남서부의 고지대 홍차 생산지. 이 지역 홍차는 빨간갈
색이며 부드러운 장미향이 특징이다.(스리랑카 남동쪽의 우바, 누와라엘리야)
떡병 : 떡病 : 차떡병 - 잎과 신초新梢에 발생한다. 담자균에 의한 병해이다.
떫은 맛 : 삽미(澁味)
떡차 : 병차(餠茶) - 익힌 찻잎을 찧어서 떡처럼 만든차. 고려시대 뇌원차, 유차孺茶
청태전靑苔錢, 동전 모양의 돈차(錢茶), 둥근 달 모양의 단차, 인절미 모양의 떡차,
크기도 다양하다.
뜸냄새 : 생차잎의 제조나 보관 중에 통기가 나빠 온도가 올라가 생기는 냄새